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주의극복을 위한 선거제도 개편방안: 독일식 정당명부제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147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have been elected through a direct voting since the 17th General Elec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double ballot system, and the systematic reform of distributing the proportional seats at the National Assembly based on the vote acquisition rate of political parties rather than the vote acquisition rate by each region as done in the past has also been achieved. However, provision of the reform measure for a more fundamental system has been raised as the key pending issue since improvement of a regional vote convergence caused by regionalism even under the changed election system is beginning to show the limit.
      The Germany's PR system that harmonized representativeness and proportionality has been evaluated positively as an alternative model of the present election system. However, the issue concerning the 'loss of directly-elected seats' and 'system immanent' contradictions, such as the 'negative Stimmgewicht', have been discovered, and the effects of overcoming the regionalism have also been analyzed as being little compared with the 'uniform allocation PR'. Although a criticism of a uniform allocation PR being intentiona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portional seat allocation method and violating the principle of a direct voting has been raised, its systematic purpose bears the priority value for preventing a regional monopoly by a specific political party through enhancing regional representation of political parties; thus, it seems to be appropriate as a reform plan. In addition, in order to add the systematic effects of such uniform allocation PR, it should be linked with the 'city-rural combined electoral district system'.
      번역하기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have been elected through a direct voting since the 17th General Elec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double ballot system, and the systematic reform of distributing the proportional seats at the National Assembly bas...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have been elected through a direct voting since the 17th General Elec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double ballot system, and the systematic reform of distributing the proportional seats at the National Assembly based on the vote acquisition rate of political parties rather than the vote acquisition rate by each region as done in the past has also been achieved. However, provision of the reform measure for a more fundamental system has been raised as the key pending issue since improvement of a regional vote convergence caused by regionalism even under the changed election system is beginning to show the limit.
      The Germany's PR system that harmonized representativeness and proportionality has been evaluated positively as an alternative model of the present election system. However, the issue concerning the 'loss of directly-elected seats' and 'system immanent' contradictions, such as the 'negative Stimmgewicht', have been discovered, and the effects of overcoming the regionalism have also been analyzed as being little compared with the 'uniform allocation PR'. Although a criticism of a uniform allocation PR being intentiona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portional seat allocation method and violating the principle of a direct voting has been raised, its systematic purpose bears the priority value for preventing a regional monopoly by a specific political party through enhancing regional representation of political parties; thus, it seems to be appropriate as a reform plan. In addition, in order to add the systematic effects of such uniform allocation PR, it should be linked with the 'city-rural combined electoral district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7대 총선부터 1인 2표제의 도입으로 비례의석을 직접투표로 선출하게 되었으며, 비례의석 배분에서도 종전의 지역구득표율이 아닌 정당득표율로 배분하는 제도적 개혁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변화된 선거제도 하에서도 지역주의로 인한 투표의 지역집중현상을 개선하는데 한계를 노정하고 있어 보다 근본적인 제도개편책의 마련이 정치권의 핵심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현행 선거제도의 대안적 모델로서 대표성과 비례성을 조화시킨 독일식 정당명부제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독일식 정당명부제는 '직선의석상실'의 문제, '부정적 득표비중'(negative Stimmgewicht)현상 등과 같은 모순점들을 내재하고 있으며, 지역주의의 극복효과 또한 일률배분식 비례대표제에 비해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일률배분식이 비례의석 배분방식에 있어서 작위적이며 직접투표의 원칙에 위배된다는 비판이 제기되지만, 정당의 ‘지역대표성’(regional representativeness)을 제고하여 특정정당의 지역독점을 막기 위한 제도적 취지가 우선적 가치를 지니므로 개편안으로서 타당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일률배분식의 제도적 효과를 배가하기 위해서는 도농복합 선거구제와의 결합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17대 총선부터 1인 2표제의 도입으로 비례의석을 직접투표로 선출하게 되었으며, 비례의석 배분에서도 종전의 지역구득표율이 아닌 정당득표율로 배분하는 제도적 개혁이 이루어졌다. 하지...

      17대 총선부터 1인 2표제의 도입으로 비례의석을 직접투표로 선출하게 되었으며, 비례의석 배분에서도 종전의 지역구득표율이 아닌 정당득표율로 배분하는 제도적 개혁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변화된 선거제도 하에서도 지역주의로 인한 투표의 지역집중현상을 개선하는데 한계를 노정하고 있어 보다 근본적인 제도개편책의 마련이 정치권의 핵심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현행 선거제도의 대안적 모델로서 대표성과 비례성을 조화시킨 독일식 정당명부제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독일식 정당명부제는 '직선의석상실'의 문제, '부정적 득표비중'(negative Stimmgewicht)현상 등과 같은 모순점들을 내재하고 있으며, 지역주의의 극복효과 또한 일률배분식 비례대표제에 비해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일률배분식이 비례의석 배분방식에 있어서 작위적이며 직접투표의 원칙에 위배된다는 비판이 제기되지만, 정당의 ‘지역대표성’(regional representativeness)을 제고하여 특정정당의 지역독점을 막기 위한 제도적 취지가 우선적 가치를 지니므로 개편안으로서 타당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일률배분식의 제도적 효과를 배가하기 위해서는 도농복합 선거구제와의 결합이 요구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국가전략
      외국어명 : National Strateg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6 0.711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