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에서의 실험연극 운동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760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아방가르드, 즉 전위예술이라는 최근 예술, 한국에서 벌어졌던 아방가르드의 소개와 파장을 연구한 것이다. 예술의 근간이 창조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창조는 도전과 응전의 결과물이라는 역사의식을 비울 수 없다. 즉, 인류 문명과 문화예술의 발전에 있어서 도전과 충돌의 결과라는 것을 부정 할 수 없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인류는 새로운 사상과 예술을 갈구했다. 새로운 사상과 예술의 등장은 과거 전통의 거부와 단절을 선언한다. 즉 전위예술, 아방가르드의 탄생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류의 문명은 그 태동에서부터 끊임없이 새로운 예술의 발전을 거듭해 왔다. 오늘날에 이르러 예술은 모더니즘 에서 포스트모더니즘, 전위예술로 발전을 했다. 전위예술, 아방가르드는 1960년을 기점으로 한국에 소개 되었다. 해방과 6.25전쟁을 통해 미국 문물의 여과 없는 급속한 유입의 한 방편으로 더불어 이루어졌다. 한국 연극이 있어서 전위예술다운 실험연극을 했던 극단은 무체극을 주창했던 ‘극단 에저또’(방태수)와 <관객모독>을 대표작으로 했던 ‘극단 76’(기국서)이 그 중심에 있었다. ‘극단 에저또’는 1980년 이후 실험 극에의 공연을 외면하고 극단의 존재조차 유야무야 시 되었다. ‘극단 76’도 원년멤버들이 손을 놓은 상태 로 그저 소극장 운영에만 골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그들의 실험정신은 아직도 대학로의 젊은 연 극인들에 전승되어 명맥을 이어오고 있으며 현재에 이르러는 ‘극단 하땅세’가 아방가르드에 가까운 공연 을 무대에 올려 그 맥을 잇고 있다. 한국의 연극은 1960년 대 이후 비약적인 발전을 했다고 하나 아직 세 계연극계의 변방에 머무르는 수준이다. 중국, 일본에 비해 세계연극사에 한국 연극에 대한 한 줄의 언급 도 찾아볼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이는 우리의 연극계가 우리 연극사의 정립을 못했음에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한국 연극에서의 아방가르드(실험연극)에 대한 연구를 그 목적으로 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아방가르드, 즉 전위예술이라는 최근 예술, 한국에서 벌어졌던 아방가르드의 소개와 파장을 연구한 것이다. 예술의 근간이 창조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창조는 도전과 응...

      이 연구는 아방가르드, 즉 전위예술이라는 최근 예술, 한국에서 벌어졌던 아방가르드의 소개와 파장을 연구한 것이다. 예술의 근간이 창조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창조는 도전과 응전의 결과물이라는 역사의식을 비울 수 없다. 즉, 인류 문명과 문화예술의 발전에 있어서 도전과 충돌의 결과라는 것을 부정 할 수 없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인류는 새로운 사상과 예술을 갈구했다. 새로운 사상과 예술의 등장은 과거 전통의 거부와 단절을 선언한다. 즉 전위예술, 아방가르드의 탄생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류의 문명은 그 태동에서부터 끊임없이 새로운 예술의 발전을 거듭해 왔다. 오늘날에 이르러 예술은 모더니즘 에서 포스트모더니즘, 전위예술로 발전을 했다. 전위예술, 아방가르드는 1960년을 기점으로 한국에 소개 되었다. 해방과 6.25전쟁을 통해 미국 문물의 여과 없는 급속한 유입의 한 방편으로 더불어 이루어졌다. 한국 연극이 있어서 전위예술다운 실험연극을 했던 극단은 무체극을 주창했던 ‘극단 에저또’(방태수)와 <관객모독>을 대표작으로 했던 ‘극단 76’(기국서)이 그 중심에 있었다. ‘극단 에저또’는 1980년 이후 실험 극에의 공연을 외면하고 극단의 존재조차 유야무야 시 되었다. ‘극단 76’도 원년멤버들이 손을 놓은 상태 로 그저 소극장 운영에만 골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그들의 실험정신은 아직도 대학로의 젊은 연 극인들에 전승되어 명맥을 이어오고 있으며 현재에 이르러는 ‘극단 하땅세’가 아방가르드에 가까운 공연 을 무대에 올려 그 맥을 잇고 있다. 한국의 연극은 1960년 대 이후 비약적인 발전을 했다고 하나 아직 세 계연극계의 변방에 머무르는 수준이다. 중국, 일본에 비해 세계연극사에 한국 연극에 대한 한 줄의 언급 도 찾아볼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이는 우리의 연극계가 우리 연극사의 정립을 못했음에 그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한국 연극에서의 아방가르드(실험연극)에 대한 연구를 그 목적으로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reative is all art with life. Play art also absolutely proposition with life in creative, so it can not be free of that. We can not be deny there result from challenge and collision at Human-Being’s development. This research is “A study of Avant-Garde in Korea”, which is most resent idea of art. Korean play is still stay countryside on culturally in the world. Hereupon this study is research of the Korea’s pulsation of Avant-Garde and research it’s flow influence to recent theatrical world. After The Second World War humankind long for a new ideology and art. Appearance of a new ideology and art declare rejection and severance of tradition. That is we say Avant-Garde. Avant-Garde, it’s movement is continuous test and deny and destruct one-self. Avant-Garde was introduced fiducial, the year of 1960 to Korea. But the Korea government do not allow because of evil influence-long hair, hippie, drug- to artist. Nevertheless ‘Silhum Theater’ was founded with the purpose of play-experimentation, but there slogan was fall in fabrication. The ‘Silhum Theater’ only participate in a play several plays, and actually the ‘Theater Ejotto’ take over the experimental art of Korea and The ‘Theater 76’ took over the pulsation of the experimental art and it be now. We can clearly notice Avant-Garde is diffused pushing the boundaries art and life, obstinately it get out of literary value that bring to a focus special human’s life so. Korean Avant-Garde hardly seen the trace of Korean creation in experimental art that only to look follows of foreign trend.
      번역하기

      Creative is all art with life. Play art also absolutely proposition with life in creative, so it can not be free of that. We can not be deny there result from challenge and collision at Human-Being’s development. This research is “A study of Avant...

      Creative is all art with life. Play art also absolutely proposition with life in creative, so it can not be free of that. We can not be deny there result from challenge and collision at Human-Being’s development. This research is “A study of Avant-Garde in Korea”, which is most resent idea of art. Korean play is still stay countryside on culturally in the world. Hereupon this study is research of the Korea’s pulsation of Avant-Garde and research it’s flow influence to recent theatrical world. After The Second World War humankind long for a new ideology and art. Appearance of a new ideology and art declare rejection and severance of tradition. That is we say Avant-Garde. Avant-Garde, it’s movement is continuous test and deny and destruct one-self. Avant-Garde was introduced fiducial, the year of 1960 to Korea. But the Korea government do not allow because of evil influence-long hair, hippie, drug- to artist. Nevertheless ‘Silhum Theater’ was founded with the purpose of play-experimentation, but there slogan was fall in fabrication. The ‘Silhum Theater’ only participate in a play several plays, and actually the ‘Theater Ejotto’ take over the experimental art of Korea and The ‘Theater 76’ took over the pulsation of the experimental art and it be now. We can clearly notice Avant-Garde is diffused pushing the boundaries art and life, obstinately it get out of literary value that bring to a focus special human’s life so. Korean Avant-Garde hardly seen the trace of Korean creation in experimental art that only to look follows of foreign tren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1.1. 연구의 목적
      • 1.2. 연구의 방법
      • Ⅱ. 세계에서의 실험연극 운동
      • 국문초록
      • Ⅰ. 서론
      • 1.1. 연구의 목적
      • 1.2. 연구의 방법
      • Ⅱ. 세계에서의 실험연극 운동
      • 2.1. 서구에서의 실험연극 운동의 시대적 배경
      • 2.2. 서구에서의 실험연극의 태동
      • 2.3. 서구 실험연극의 실제
      • Ⅲ. 한국에서의 실험연극
      • 3.1. 한국 실험연극 운동의 시대적 배경
      • 3.2. 한국 실험연극의 태동
      • 3.3. 한국 실험연극의 실제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윤환, "한국의 전위예술" 신동아 1975

      2 서연호, "한국연극사" 연극과 인간 2005

      3 신정옥, "한국에서의 서양연극 1" 소화 1999

      4 유민영, "한국근대연극사" 단국대학교출판부 1996

      5 Wilson A., "세계연극사" 한신문화사 2000

      6 서영석, "극단 에저또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8

      7 김의경, "극단 실험극장 최초의 5년" 352-, 1999

      1 장윤환, "한국의 전위예술" 신동아 1975

      2 서연호, "한국연극사" 연극과 인간 2005

      3 신정옥, "한국에서의 서양연극 1" 소화 1999

      4 유민영, "한국근대연극사" 단국대학교출판부 1996

      5 Wilson A., "세계연극사" 한신문화사 2000

      6 서영석, "극단 에저또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8

      7 김의경, "극단 실험극장 최초의 5년" 352-,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Society of Acting Studies -> Journal of Acting & Art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