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승준, "블록체인 기술의 이해와 개발 현황 및 시사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소프트웨어산업진흥본부 1-18, 2018
2 김건식, "미국의 증권예탁결제제도" 3 (3): 64-, 1996
3 김범준,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er)의 활용과 금융투자자 보호 -미국의 규제체계가 주는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법학회 17 (17): 71-98, 2017
4 한국금융연구원, "렌딩클럽의 추락과 P2P 대출업 회의론 부상" 25 (25): 16-17, 2016
5 이중기, "금융기관의 충실의무와 이익충돌, 그 해소방안: 정보차단장치 및 공시와 승인의 법적 효력을 중심으로" 한국증권법학회 7 (7): 67-122, 2006
6 정순섭,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금융회사의 거시건전성규제 도입 현황과 감독·정책과제" 국회입법조사처 102-105, 2017
7 최해옥, "규제 샌드박스(Regulatory Sandbox)」정책 동향 및 시사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20, 2017
8 김종호, "가상화폐의 출현으로 인한 핀테크(FinTech) 산업혁명의 현상과 법적과제" 한국지급결제학회 9 (9): 95-130, 2017
9 김종호, "가상화폐와 핀테크 산업의 발전에 따른 금융기관의 대응방향 - 일본의 경험을 중심으로 -" 한국법학회 18 (18): 211-245, 2018
10 안성배, "가상통화 관련 주요국의 정책 현황과 시사점" 18 (18): 1-26, 2018
1 강승준, "블록체인 기술의 이해와 개발 현황 및 시사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소프트웨어산업진흥본부 1-18, 2018
2 김건식, "미국의 증권예탁결제제도" 3 (3): 64-, 1996
3 김범준,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er)의 활용과 금융투자자 보호 -미국의 규제체계가 주는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법학회 17 (17): 71-98, 2017
4 한국금융연구원, "렌딩클럽의 추락과 P2P 대출업 회의론 부상" 25 (25): 16-17, 2016
5 이중기, "금융기관의 충실의무와 이익충돌, 그 해소방안: 정보차단장치 및 공시와 승인의 법적 효력을 중심으로" 한국증권법학회 7 (7): 67-122, 2006
6 정순섭,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금융회사의 거시건전성규제 도입 현황과 감독·정책과제" 국회입법조사처 102-105, 2017
7 최해옥, "규제 샌드박스(Regulatory Sandbox)」정책 동향 및 시사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20, 2017
8 김종호, "가상화폐의 출현으로 인한 핀테크(FinTech) 산업혁명의 현상과 법적과제" 한국지급결제학회 9 (9): 95-130, 2017
9 김종호, "가상화폐와 핀테크 산업의 발전에 따른 금융기관의 대응방향 - 일본의 경험을 중심으로 -" 한국법학회 18 (18): 211-245, 2018
10 안성배, "가상통화 관련 주요국의 정책 현황과 시사점" 18 (18): 1-26, 2018
11 Cynthia Dwork, "Pricing via Processing, or, Combatting Junk Mail, Advances in Cryptology" Springer (740) : 139-147, 1993
12 Economist Staff, "Blockchains: The great chain of being sure about things, [Subtitle] The technology behind bitcoin lets people who do not know or trust each other build a dependable ledger. This has implications far beyond the crypto curr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