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핀테크(FinTech) 시대 지급결제 제도의 과제와 전망 = The Challenges and Prospects of Payment System in the FinTech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421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financial innovation using a new information technology called FinTech has attracted worldwide attention. The FinTech is called the global financial inclusion of financial services, including in emerging and developing countries. This has had widespread impact on financial services, such as accelerating new entry into the financial sector, intensifying competition, big data, and heightening the importance of the IT platform. Therefore, this article discusses the block chain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DLT), which is a representative technology behind FinTech, and introduces how to apply these technologies to a wide range of financial services such as payment settlement.
      FinTech has the potential to promote financial services globally, including emerging and developing countries, and to globalize financial services. It also contributes to seamless personalization that provides financial services tailored to each user’s needs, and seamlessly provides services other than monetary and finance, utilizing AI, big data, and smartphones. Through these, the FinTech can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new economic activities and economic development, while at the same time contributing to the solution of social problems such as the protection of the fraud surrounding financial transactions.
      For the new development of the FinTech, to encourage dialogue and cooperation among a wide range of users, to engage in new transactions such as virtual currency transactions, and to fully understand the risks, in addition to making efforts, it is required that the relevant persons take appropriate action on various risks including new risks such as information security or cyber attacks.
      The central banks of each country are also making various efforts on the FinTech. Neighboring Bank of Japan is establishing the FinTech Center in April 2016 and is carrying out various activities to support the FinTech. It also conducts various research activities an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including the Project Stella, a joint survey with the European Central Bank for DLT, and is actively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discussions. We also ne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the global FinTech industry.
      번역하기

      Recently, financial innovation using a new information technology called FinTech has attracted worldwide attention. The FinTech is called the global financial inclusion of financial services, including in emerging and developing countries. This has ha...

      Recently, financial innovation using a new information technology called FinTech has attracted worldwide attention. The FinTech is called the global financial inclusion of financial services, including in emerging and developing countries. This has had widespread impact on financial services, such as accelerating new entry into the financial sector, intensifying competition, big data, and heightening the importance of the IT platform. Therefore, this article discusses the block chain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DLT), which is a representative technology behind FinTech, and introduces how to apply these technologies to a wide range of financial services such as payment settlement.
      FinTech has the potential to promote financial services globally, including emerging and developing countries, and to globalize financial services. It also contributes to seamless personalization that provides financial services tailored to each user’s needs, and seamlessly provides services other than monetary and finance, utilizing AI, big data, and smartphones. Through these, the FinTech can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new economic activities and economic development, while at the same time contributing to the solution of social problems such as the protection of the fraud surrounding financial transactions.
      For the new development of the FinTech, to encourage dialogue and cooperation among a wide range of users, to engage in new transactions such as virtual currency transactions, and to fully understand the risks, in addition to making efforts, it is required that the relevant persons take appropriate action on various risks including new risks such as information security or cyber attacks.
      The central banks of each country are also making various efforts on the FinTech. Neighboring Bank of Japan is establishing the FinTech Center in April 2016 and is carrying out various activities to support the FinTech. It also conducts various research activities and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including the Project Stella, a joint survey with the European Central Bank for DLT, and is actively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discussions. We also ne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the global FinTech indust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핀테크(FinTech)라 불리는 새로운 정보기술을 활용한 금융 이노베이션이 세계적 주목을 받고 있다. 핀테크(FinTech)는 신흥국이나 개도국도 포함한 금융 서비스의 세계적인 금융포섭(financial inclusion)이라고 불린다. 이것은 금융분야로의 신규참가의 촉진이나 경쟁의 격화, 빅 데이터, IT플랫폼의 중요성 고조 등 금융 서비스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핀테크(FinTech)의 배경이 된 대표적인 기술인 블록체인 분산형 대장 기술(DLT) 등에 대해서 언급한 후, 이들의 기술을 지급결제 등 광범위한 금융 서비스에 응용하는 대처방안 등을 소개한다.
      핀테크(FinTech)는 금융 서비스를 신흥국과 개도국도 포함하여 세계에 보급하고 금융 서비스의 글로벌화를 진행하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또 AI와 빅 데이터, 스마트 폰 등을 활용하고, 각 사용자의 요구에 맞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화와 금융과 금융 외의 서비스를 단절 없이 제공하는 심리스(seamless)화에도 기여한다. 이들을 통해서 핀테크(FinTech)를 새로운 경제활동의 활성화와 경제발전에 기여하는 동시에 금융거래를 둘러싼 약자보호 등 사회적 문제해결에 기여할 수도 있다.
      핀테크(FinTech)의 새로운 발전을 위해서는 ① 폭넓은 활용 주체의 대화와 협력을 촉구하기, ② 가상화폐 거래 등 새로 등장한 거래에 대해서 거래에 참여한 자가 그 위험을 충분히 인식하는 동시에 서비스 제공자 측도 충분한 설명에 힘쓰는 것 외에, ③ 정보보안 저하나 사이버 공격 등 새로운 리스크도 포함하여 다양한 리스크에 대한 관계자가 적절한 대응을 취하는 것 등이 요구된다.
      각국 중앙은행도 핀테크(FinTech)에 관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웃 일본은행은 2016년 4월에 결제기구 국내에 FinTech센터를 설립하고 핀테크(FinTech)를 지원하는 다양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또 DLT에 관한 유럽 중앙은행과의 공동조사 ‘프로젝트 스텔라’(Project Stella)를 포함한 각종 조사연구 활동이나 정보발신을 실시하는 한편, 국제적인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가하고 있다. 우리도 글로벌 핀테크 산업의 발전과정에 적극 동참해야 한다.
      번역하기

      최근 핀테크(FinTech)라 불리는 새로운 정보기술을 활용한 금융 이노베이션이 세계적 주목을 받고 있다. 핀테크(FinTech)는 신흥국이나 개도국도 포함한 금융 서비스의 세계적인 금융포섭(financia...

      최근 핀테크(FinTech)라 불리는 새로운 정보기술을 활용한 금융 이노베이션이 세계적 주목을 받고 있다. 핀테크(FinTech)는 신흥국이나 개도국도 포함한 금융 서비스의 세계적인 금융포섭(financial inclusion)이라고 불린다. 이것은 금융분야로의 신규참가의 촉진이나 경쟁의 격화, 빅 데이터, IT플랫폼의 중요성 고조 등 금융 서비스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핀테크(FinTech)의 배경이 된 대표적인 기술인 블록체인 분산형 대장 기술(DLT) 등에 대해서 언급한 후, 이들의 기술을 지급결제 등 광범위한 금융 서비스에 응용하는 대처방안 등을 소개한다.
      핀테크(FinTech)는 금융 서비스를 신흥국과 개도국도 포함하여 세계에 보급하고 금융 서비스의 글로벌화를 진행하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또 AI와 빅 데이터, 스마트 폰 등을 활용하고, 각 사용자의 요구에 맞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화와 금융과 금융 외의 서비스를 단절 없이 제공하는 심리스(seamless)화에도 기여한다. 이들을 통해서 핀테크(FinTech)를 새로운 경제활동의 활성화와 경제발전에 기여하는 동시에 금융거래를 둘러싼 약자보호 등 사회적 문제해결에 기여할 수도 있다.
      핀테크(FinTech)의 새로운 발전을 위해서는 ① 폭넓은 활용 주체의 대화와 협력을 촉구하기, ② 가상화폐 거래 등 새로 등장한 거래에 대해서 거래에 참여한 자가 그 위험을 충분히 인식하는 동시에 서비스 제공자 측도 충분한 설명에 힘쓰는 것 외에, ③ 정보보안 저하나 사이버 공격 등 새로운 리스크도 포함하여 다양한 리스크에 대한 관계자가 적절한 대응을 취하는 것 등이 요구된다.
      각국 중앙은행도 핀테크(FinTech)에 관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웃 일본은행은 2016년 4월에 결제기구 국내에 FinTech센터를 설립하고 핀테크(FinTech)를 지원하는 다양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또 DLT에 관한 유럽 중앙은행과의 공동조사 ‘프로젝트 스텔라’(Project Stella)를 포함한 각종 조사연구 활동이나 정보발신을 실시하는 한편, 국제적인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가하고 있다. 우리도 글로벌 핀테크 산업의 발전과정에 적극 동참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승준, "블록체인 기술의 이해와 개발 현황 및 시사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소프트웨어산업진흥본부 1-18, 2018

      2 김건식, "미국의 증권예탁결제제도" 3 (3): 64-, 1996

      3 김범준,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er)의 활용과 금융투자자 보호 -미국의 규제체계가 주는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법학회 17 (17): 71-98, 2017

      4 한국금융연구원, "렌딩클럽의 추락과 P2P 대출업 회의론 부상" 25 (25): 16-17, 2016

      5 이중기, "금융기관의 충실의무와 이익충돌, 그 해소방안: 정보차단장치 및 공시와 승인의 법적 효력을 중심으로" 한국증권법학회 7 (7): 67-122, 2006

      6 정순섭,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금융회사의 거시건전성규제 도입 현황과 감독·정책과제" 국회입법조사처 102-105, 2017

      7 최해옥, "규제 샌드박스(Regulatory Sandbox)」정책 동향 및 시사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20, 2017

      8 김종호, "가상화폐의 출현으로 인한 핀테크(FinTech) 산업혁명의 현상과 법적과제" 한국지급결제학회 9 (9): 95-130, 2017

      9 김종호, "가상화폐와 핀테크 산업의 발전에 따른 금융기관의 대응방향 - 일본의 경험을 중심으로 -" 한국법학회 18 (18): 211-245, 2018

      10 안성배, "가상통화 관련 주요국의 정책 현황과 시사점" 18 (18): 1-26, 2018

      1 강승준, "블록체인 기술의 이해와 개발 현황 및 시사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소프트웨어산업진흥본부 1-18, 2018

      2 김건식, "미국의 증권예탁결제제도" 3 (3): 64-, 1996

      3 김범준, "로보-어드바이저(Robo-Adviser)의 활용과 금융투자자 보호 -미국의 규제체계가 주는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법학회 17 (17): 71-98, 2017

      4 한국금융연구원, "렌딩클럽의 추락과 P2P 대출업 회의론 부상" 25 (25): 16-17, 2016

      5 이중기, "금융기관의 충실의무와 이익충돌, 그 해소방안: 정보차단장치 및 공시와 승인의 법적 효력을 중심으로" 한국증권법학회 7 (7): 67-122, 2006

      6 정순섭,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금융회사의 거시건전성규제 도입 현황과 감독·정책과제" 국회입법조사처 102-105, 2017

      7 최해옥, "규제 샌드박스(Regulatory Sandbox)」정책 동향 및 시사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20, 2017

      8 김종호, "가상화폐의 출현으로 인한 핀테크(FinTech) 산업혁명의 현상과 법적과제" 한국지급결제학회 9 (9): 95-130, 2017

      9 김종호, "가상화폐와 핀테크 산업의 발전에 따른 금융기관의 대응방향 - 일본의 경험을 중심으로 -" 한국법학회 18 (18): 211-245, 2018

      10 안성배, "가상통화 관련 주요국의 정책 현황과 시사점" 18 (18): 1-26, 2018

      11 Cynthia Dwork, "Pricing via Processing, or, Combatting Junk Mail, Advances in Cryptology" Springer (740) : 139-147, 1993

      12 Economist Staff, "Blockchains: The great chain of being sure about things, [Subtitle] The technology behind bitcoin lets people who do not know or trust each other build a dependable ledger. This has implications far beyond the crypto currenc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