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상담자의 발달수준과 작업동맹의 관계에서 진정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담자의 진정성과 발달수준, 작업동맹에 대한 상담자의 경력에 따른 차이점을 보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751199
서울 :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1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 성인상담전공 , 2021. 2
2021
한국어
서울
v, 70 p. : 삽도 ; 26 cm.
부록 수록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지도교수: 장유진
참고문헌 : p. 43-54
I804:11062-00000011621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상담자의 발달수준과 작업동맹의 관계에서 진정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담자의 진정성과 발달수준, 작업동맹에 대한 상담자의 경력에 따른 차이점을 보이...
본 연구는 상담자의 발달수준과 작업동맹의 관계에서 진정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담자의 진정성과 발달수준, 작업동맹에 대한 상담자의 경력에 따른 차이점을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 소재한 사설 상담기관, 공공 상담기관, 대학 상담기관, wee 센터, 사회복지기관 등에서 상담업무를 수행 중인 상담자 305명을 대상으로 상담자 진정성 척도, 상담자 발달수준 척도, 작업동맹 척도를 포함하는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26.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발달수준과 작업동맹, 진정성은 각각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가? 둘째, 상담자 진정성은 발달수준과 작업동맹간의 관계를 조절하는가? 이다.
먼저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 진정성과 발달수준, 작업동맹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즉 상담자의 진정성은 상담자의 발달수준과 작업동맹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담자의 진정성이 발달수준과 작업동맹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주요 변인들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상담자의 진정성이 높고 상담자의 전문성이 높을수록 작업동맹에 미치는 조절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상담성과를 예측하는 주요 변인인 작업동맹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알아보고 그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효율적인 상담을 이룰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자료를 제시 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