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송원용, "형태론과 공시태.통시태" 국어국문학회 131 : 169-194, 2002
2 송원용, "현대국어 임시어의 형태론" 2 (2): 1-16, 2000
3 송철의, "파생어 형성과 통시성의 문제" 12 : 47-72, 1983
4 구본관, "파생어 형성과 의미" 국어학회 39 : 105-135, 2002
5 이상욱, "임시어의 위상 정립을 위한 소고" 형태론 9 (9): 47-67, 2007
6 채현식, "유추에 의한 복합명사 형성 연구" 서울대 2000
7 이광호, "연결망과 단어형성" 국어학회 46 (46): 125-146, 2005
8 김성규, "어휘소 설정과 음운현상" 77 : 1987
9 채현식, "어휘부의 자기조직화" 한국언어문학회 63 (63): 129-145, 2007
10 구본관, "생성문법과 국어 조어법 연구 방법론" 9 : 50-77, 1992
1 송원용, "형태론과 공시태.통시태" 국어국문학회 131 : 169-194, 2002
2 송원용, "현대국어 임시어의 형태론" 2 (2): 1-16, 2000
3 송철의, "파생어 형성과 통시성의 문제" 12 : 47-72, 1983
4 구본관, "파생어 형성과 의미" 국어학회 39 : 105-135, 2002
5 이상욱, "임시어의 위상 정립을 위한 소고" 형태론 9 (9): 47-67, 2007
6 채현식, "유추에 의한 복합명사 형성 연구" 서울대 2000
7 이광호, "연결망과 단어형성" 국어학회 46 (46): 125-146, 2005
8 김성규, "어휘소 설정과 음운현상" 77 : 1987
9 채현식, "어휘부의 자기조직화" 한국언어문학회 63 (63): 129-145, 2007
10 구본관, "생성문법과 국어 조어법 연구 방법론" 9 : 50-77, 1992
11 송원용, "문장형 고유명의 형태론 문법과 텍스트" 서울대학교 출판부 277-294, 2002
12 채현식, "대치(代置)에 의한 단어형성" 형태론 5 (5): 1-21, 2003
13 이호승, "단어형성법의 분류기준에 대하여" 한국어문학회 85 (85): 85-110, 2004
14 이호승, "단어형성과정의 공시성과 통시성" 3 (3): 113-119, 2001
15 최형용, "단어 형성과 직접 성분 분석" 36 : 161-190, 2000
16 양정호, "단어 형성 과정 기술의 몇 문제 -구본관(1998)을 중심으로-" 형태론 10 (10): 421-435, 2008
17 김완진, "노걸대의 언해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연구원 1976
18 시정곤, "규칙은 과연 필요 없는가?" 1 (1): 261-283, 1999
19 채현식, "규칙과 유추의 틀 이병근선생퇴임기념 국어학총론" 태학사 567-583, 2005
20 시정곤, "국어의 어휘부 사전에 대한 연구" 한국현대언어학회 17 (17): 163-184, 2001
21 송원용, "국어의 단어형성체계 재론" 진단학회 104 (104): 105-126, 2007
22 김창섭, "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연구" 태학사 1996
23 시정곤, "국어의 단어형성 원리" 국학자료원 1998
24 임홍빈, "국어 피동화의 통사와 의미" 탑출판사 1983
25 구본관, "국어 접미사의 범위" 1 (1): 1-23, 1999
26 송원용, "국어 어휘부와 단어 형성" 태학사 2005
27 채현식, "국어 어휘부 등재소에 관한 연구" 122 : 1994
28 이광호, "派生接尾辭의 생산성과 派生語 집합의 빈도특성-計量的 接近-"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219-250, 2006
29 송원용, "新語의 語彙部 登載 時點 硏究 -어휘 지식 유무 검사를 통한 검증-" 국어학회 46 (46): 97-124, 2005
30 양정호, "名詞形 語尾 體系의 變化에 대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3 (33): 57-80, 2005
31 구본관, "15세기 국어 파생법에 대한 연구" 태학사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