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광개토왕비문의 新判讀과 해석 = The New Deciphering and Interpretation of King Gwanggaeto's Monu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438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ombstone of King Gwanggaeto has been the first class historical monument of Goguryeo, which has the research history of about 140 years since it was rediscovered around 1880. Accurate decipherment of the tombstone has been difficult due to the problem of its stone quality and the damage of its surface resulting from fire disaster after rediscovery. Up to now, many different deciphered epitaphs have been suggested by many researchers, but there still exist controversial characters. This study selected and deciphered the characters which are deemed necessary to be reviewed out of those controversial ones. Ultimately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a more valid reading by comparing the shapes of characters across each rubbed copy for the previously conflicting readings, and presenting examples of other Geumseokmun font. Especially, 1-5-㉖: [妄], 1-7-⑭: [嗣], 1-9-㉝: [六], 2-1-㉒: [咸], and 2-1-㉟: [水] are the characters identified in new decipherment. Despite long years of the research history, the work of decipherment of King Gwanggaeto's epitaph is still in progress, not yet finished. Therefore still remain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new interpretation and historical images in the process of decipherment.
      번역하기

      The tombstone of King Gwanggaeto has been the first class historical monument of Goguryeo, which has the research history of about 140 years since it was rediscovered around 1880. Accurate decipherment of the tombstone has been difficult due to the pr...

      The tombstone of King Gwanggaeto has been the first class historical monument of Goguryeo, which has the research history of about 140 years since it was rediscovered around 1880. Accurate decipherment of the tombstone has been difficult due to the problem of its stone quality and the damage of its surface resulting from fire disaster after rediscovery. Up to now, many different deciphered epitaphs have been suggested by many researchers, but there still exist controversial characters. This study selected and deciphered the characters which are deemed necessary to be reviewed out of those controversial ones. Ultimately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a more valid reading by comparing the shapes of characters across each rubbed copy for the previously conflicting readings, and presenting examples of other Geumseokmun font. Especially, 1-5-㉖: [妄], 1-7-⑭: [嗣], 1-9-㉝: [六], 2-1-㉒: [咸], and 2-1-㉟: [水] are the characters identified in new decipherment. Despite long years of the research history, the work of decipherment of King Gwanggaeto's epitaph is still in progress, not yet finished. Therefore still remain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new interpretation and historical images in the process of decipher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광개토왕비는 1880년 무렵 재발견된 이후 약 140년 가량의 연구사를 가지고 있는 고구려사의 일급 사료이다. 비의 석질 문제와 재발견 이후 火難으로 인한 비면의 손상으로 정확한 판독에 어려움이 있다. 지금까지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판독문이 제시되었지만, 여전히 논란이 있는 글자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그중 검토가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글자들을 선별하여 판독 작업을 수행하였다. 기존에 대립하던 판독안들에 대해 탁본별로 자형을 대조하고, 다른 금석문 서체의 사례를 제시하여 보다 타당한 판독안을 판별하고자 하였다. 특히1-5-㉖: [妄], 1-7-⑭: [嗣], 1-9-㉝: [六], 2-1-㉒: [咸], 2-1-㉟: [水]의 경우는 새로운 판독안이다. 오랜 연구사에도 불구하고 광개토왕비문의 판독 작업은 아직 완료가 아닌 진행중이며, 판독 과정에서 새로운 해석과 역사상이 도출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번역하기

      광개토왕비는 1880년 무렵 재발견된 이후 약 140년 가량의 연구사를 가지고 있는 고구려사의 일급 사료이다. 비의 석질 문제와 재발견 이후 火難으로 인한 비면의 손상으로 정확한 판독에 어...

      광개토왕비는 1880년 무렵 재발견된 이후 약 140년 가량의 연구사를 가지고 있는 고구려사의 일급 사료이다. 비의 석질 문제와 재발견 이후 火難으로 인한 비면의 손상으로 정확한 판독에 어려움이 있다. 지금까지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판독문이 제시되었지만, 여전히 논란이 있는 글자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그중 검토가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글자들을 선별하여 판독 작업을 수행하였다. 기존에 대립하던 판독안들에 대해 탁본별로 자형을 대조하고, 다른 금석문 서체의 사례를 제시하여 보다 타당한 판독안을 판별하고자 하였다. 특히1-5-㉖: [妄], 1-7-⑭: [嗣], 1-9-㉝: [六], 2-1-㉒: [咸], 2-1-㉟: [水]의 경우는 새로운 판독안이다. 오랜 연구사에도 불구하고 광개토왕비문의 판독 작업은 아직 완료가 아닌 진행중이며, 판독 과정에서 새로운 해석과 역사상이 도출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진석, "호태왕비와 고대조일관계연구" 연변대학출판사 1993

      2 쉬젠신, "호태왕비 발견과 초기 탁본 제작에 관한 새로운 자료」, 『광개토왕비의 탐색" 동북아역사재단 2015

      3 박지훈, "요사·금사·원사 외국전 역주" 동북아역사재단 2014

      4 고광의, "광개토왕비의 재조명" 동북아역사재단 2013

      5 권인한, "광개토왕비문 신연구" 박문사 2015

      6 사회과학원, "광개토왕릉비문 연구" 중심 2001

      7 박시형, "광개토왕릉비" 사회과학원출판사 1966

      8 三宅米吉, "高麗古碑考追加" 2 (2): 1898

      9 三宅米吉, "高麗古碑考" 2 (2): 1898

      10 任世權, "韓國金石文集成(1)-高句麗1" 韓國國學振興院ㆍ靑溟文化財團 2002

      1 박진석, "호태왕비와 고대조일관계연구" 연변대학출판사 1993

      2 쉬젠신, "호태왕비 발견과 초기 탁본 제작에 관한 새로운 자료」, 『광개토왕비의 탐색" 동북아역사재단 2015

      3 박지훈, "요사·금사·원사 외국전 역주" 동북아역사재단 2014

      4 고광의, "광개토왕비의 재조명" 동북아역사재단 2013

      5 권인한, "광개토왕비문 신연구" 박문사 2015

      6 사회과학원, "광개토왕릉비문 연구" 중심 2001

      7 박시형, "광개토왕릉비" 사회과학원출판사 1966

      8 三宅米吉, "高麗古碑考追加" 2 (2): 1898

      9 三宅米吉, "高麗古碑考" 2 (2): 1898

      10 任世權, "韓國金石文集成(1)-高句麗1" 韓國國學振興院ㆍ靑溟文化財團 2002

      11 노태돈,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제1권(고구려ㆍ백제ㆍ낙랑 편)"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12 羅振玉, "神州國光集" 1905

      13 前間恭作, "朝鮮金石總覽-上" 1919

      14 橫井忠直, "會餘錄" 1885

      15 福宿孝夫, "日本古器銘と好太王碑文" 中国書店 1991

      16 이형구, "廣開土王陵碑新硏究" 同和出版公社 1986

      17 權仁瀚, "廣開土王陵碑文의 새로운 판독과 해석" 8 : 2011

      18 國立文化財硏究所, "廣開土王陵碑 拓本圖錄(國內所藏)" 국립문화재연구소 1996

      19 白崎昭一郎, "廣開土王碑文の研究" 吉川弘文館 1993

      20 武田幸男, "廣開土王碑原石拓本集成" 東京大學出版會 1988

      21 武田幸男, "廣開土王碑原石拓本集成" 東京大學出版會 1988

      22 林基中, "廣開土王碑原石初期拓本集成" 東國大學校出版部 1995

      23 백승옥, "廣開土太王陵碑文 辛卯年條에 대한 新解釋" 동양학연구원 (58) : 251-277, 2015

      24 고광의, "廣開土太王碑의 제1면 9행 13자 釋文 검토" 한국고대사학회 (77) : 149-177, 2015

      25 고광의, "廣開土太王碑 釋文 一考" 백산학회 (100) : 279-307, 2014

      26 武田幸男, "広開土王碑墨本の研究" 吉川弘文館 2009

      27 藤田友治, "好太王碑論爭の解明" 新泉社 1986

      28 水谷悌二郞, "好太王碑考" 100 : 1959

      29 王健群, "好太王碑硏究" 吉林人民出版社 1984

      30 朴眞奭, "好太王碑拓本硏究" 黑龍江朝鮮民族出版社 2001

      31 耿鐵華, "好太王碑‘辛卯年’句考釋" 1992 (1992): 1992

      32 金毓黻, "奉天通志" 193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1-07-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Balhae -> Association of Koguryo Balha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2-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 -> 고구려발해연구
      외국어명 : The Koguryo Yonku -> The KoguryoBalhae Yonku
      KCI등재후보
      2008-02-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회 -> 고구려발해학회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 Institute of KoguryoBalha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3 2.013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