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재서, "도교와 문학 그리고 상상력" 푸른숲 2000
2 林起煥, "고구려의 정치ㆍ경제와 사회 in: 한국사" 171-172, 1996
3 정재서, "고구려 고분벽화의 신화․도교적 제제에 대한 새로운 인식 in: 동양적인 것의 슬픔" 동양적인 것의 슬픔 141-142, 1996
4 魏存成, "高句麗考古" 吉林大學出版社 1994
5 耿鐵華, "高句麗瓦當硏究" 吉林人民出版社 2001
6 李梅, "高句麗瓦當發現与硏究" 吉林大學 2002
7 정재서, "高句麗 古墳壁畵에 表現된 道敎 圖像의 意味" 고구려발해학회 16 : 10-, 2003
8 國立文化財硏究所, "韓國考古學事典" 학연문화사 159-, 2003
9 林永周, "韓國紋樣史" 미진사 1983
10 金暘玉, "韓半島 靑銅器時代 紋樣의 硏究 - 새와 사슴 문양을 중심으로 -" 韓國考古學硏究會 10 : 42-, 1981
1 정재서, "도교와 문학 그리고 상상력" 푸른숲 2000
2 林起煥, "고구려의 정치ㆍ경제와 사회 in: 한국사" 171-172, 1996
3 정재서, "고구려 고분벽화의 신화․도교적 제제에 대한 새로운 인식 in: 동양적인 것의 슬픔" 동양적인 것의 슬픔 141-142, 1996
4 魏存成, "高句麗考古" 吉林大學出版社 1994
5 耿鐵華, "高句麗瓦當硏究" 吉林人民出版社 2001
6 李梅, "高句麗瓦當發現与硏究" 吉林大學 2002
7 정재서, "高句麗 古墳壁畵에 表現된 道敎 圖像의 意味" 고구려발해학회 16 : 10-, 2003
8 國立文化財硏究所, "韓國考古學事典" 학연문화사 159-, 2003
9 林永周, "韓國紋樣史" 미진사 1983
10 金暘玉, "韓半島 靑銅器時代 紋樣의 硏究 - 새와 사슴 문양을 중심으로 -" 韓國考古學硏究會 10 : 42-, 1981
11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集安高句麗王陵" 文物出版社 2004
12 吉林省文物志編委會, "集安縣文物志" 1983
13 林至德, "集安出土的高句麗瓦當及其年代" 7 : 1985
14 耿鐵華, "集安出土卷雲紋瓦當硏究" 4 : 20-, 2007
15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通溝古墓群禹山墓區JYM3319號墓發掘報告" 6 : 23-, 2005
16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國內城" 文物出版社 2004
17 "三國史記"
18 "『舊唐書』 卷199 上, 東夷, 高麗傳"
19 "『抱朴子』 內篇"
20 "『帝王韻紀』 東明王篇 自注"
21 "『太平經』 卷99 乘雲駕龍圖"
22 "『三國志』 卷30, 魏書30, 東夷, 高句麗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