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경찰활동에 대한 신뢰도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562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과거 우리나라의 경찰은 정권유지를 위한 도구적 수단에 불과하다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선진 여러 나라에서는 국민의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

      과거 우리나라의 경찰은 정권유지를 위한 도구적 수단에 불과하다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선진 여러 나라에서는 국민의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찰활동 즉, 치안유지와 서비스․봉사를 함께하는 경찰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세계의 경찰은 이제 주민들을 감시하고 억압하는 경찰이 아닌 주민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봉사하는 경찰로 변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안들을 강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찰활동에 대한 주민의 신뢰도를 평가하고 전반적인 경찰활동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들을 찾아내기 위해 시민들을 대상으로 현재 우리나라 경찰활동에 대한 신뢰도를 먼저 확인하고자 조사하였다. 경찰활동에 대한 주민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인계통계학적으로 조사하였으며, 가설의 설정을 6가지(성별, 연령, 수입, 주거, 학력, 직업)로 설정하여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본 연구결과의 결과치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lice activities have been progressing respectively in accordance with every cultural trait and the difference in national consciousness. The police all over the world have been devising a variety of means in order to change the police serving on...

      The police activities have been progressing respectively in accordance with every cultural trait and the difference in national consciousness. The police all over the world have been devising a variety of means in order to change the police serving on the basis of the public confidence, not the police keeping serveillance and suppressing from the police activities which are nothing but means to stay in power to the police activities which have a direct effect on qualities of the national life. As a result, this study deals with an evaluation on the public confidence rating and means to enhance the confidence rating of police activities. The demographical analysis of the public confidence rating shows as follows: Firstly, the public general confidence rating on the police activities has been showing high numerical value of 3.3458 per 5. This result is equal to the 66.76% average value during a period of 5 years that 'the survey of the national satisfaction rating on the police administration' is carried into effect by the Gallup poll every year. Secondly, according to sex, women have a 3.3560 higher confidence on the police activities as compared with men. In accordance with age, the confidence rating shows twenties, forties, under twenties, thirties, and fifties respectively in order. Depending on occupations, professional careers show a high confidence rating while the first industry such as agriculture a low confidence rating. According to an academic background and monthly income, the confidence rating and quantities have correlation. In accordance with residential districts, metropolitan cities shows a high confidence rating and a municipality, cities, and counties follow metropolitan cities. As a result, the public confidence rating on the police activities shows differently depending on a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II. 선행연구의 검토 및 가설의 설정
      • 1. 국내 연구
      • 2. 국외 연구
      • 요약
      • I. 서론
      • II. 선행연구의 검토 및 가설의 설정
      • 1. 국내 연구
      • 2. 국외 연구
      • 3. 가설의 설정
      • III.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1. 연구의 범위
      • 2. 연구의 방법
      • IV. 조사결과의 분석
      • 1. 설문의 구성
      • 2. 성별에 따른 경찰활동에 관한 신뢰도
      • 3. 연령에 따른 경찰활동에 관한 신뢰도
      • 4. 직업에 따른 경찰활동에 관한 신뢰도
      • 5. 학력에 따른 경찰활동에 관한 신뢰도
      • 6. 거주 지역에 따른 경찰활동의 신뢰도
      • 7. 월수입에 따른 경찰활동에 대한 신뢰도
      • 8. 가설의 검증
      • V.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구, "지역경찰활동에 있어서 경찰신뢰의 영향에 관한 실증적 분석: 경찰활동과 성과 측면을 중심으로" 9 (9): 2005

      2 배병룡, "정부불신의 원인과 결과" 22 (22): 1988

      3 임준태, "범죄통제론" 좋은세상 2003

      4 이헌수, "국민의 행정 신뢰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공무원에 대한 신뢰를 중심으로" 33 (33): 1999

      5 이황우, "경찰행정학제4판" 법문사 2005

      6 경찰청, "경찰행정 국민 만족도 조사보고서" 경찰청 2006

      7 김상호, "경찰학개론" 법문사 2004

      8 이황우, "경찰학 개론"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3

      9 최인섭, "경찰에 대한 시민의 의식에 관한 연구" 2 (2): 1991

      10 이황우, "경찰에 대한 국민의 의식구조에 관한 연구" 4 : 1984

      1 김구, "지역경찰활동에 있어서 경찰신뢰의 영향에 관한 실증적 분석: 경찰활동과 성과 측면을 중심으로" 9 (9): 2005

      2 배병룡, "정부불신의 원인과 결과" 22 (22): 1988

      3 임준태, "범죄통제론" 좋은세상 2003

      4 이헌수, "국민의 행정 신뢰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공무원에 대한 신뢰를 중심으로" 33 (33): 1999

      5 이황우, "경찰행정학제4판" 법문사 2005

      6 경찰청, "경찰행정 국민 만족도 조사보고서" 경찰청 2006

      7 김상호, "경찰학개론" 법문사 2004

      8 이황우, "경찰학 개론"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3

      9 최인섭, "경찰에 대한 시민의 의식에 관한 연구" 2 (2): 1991

      10 이황우, "경찰에 대한 국민의 의식구조에 관한 연구" 4 : 1984

      11 Poister, T. H, "Victims' Evaluation of Police Performance" 6 : 1978

      12 Cao, L., "Race, Community Context and Confidence in the Police" XV (XV): 1996

      13 Correia, M, "Public Perceptions of State Police: An Analysis of Individual-Level and Contextual Variables" 24 : 1996

      14 Cao, L., "Public Confidence in the Police: A Comparative Study between Japan and America" 26 (26): 1998

      15 Gaines, L, "Policing in America.Cincinnati" OH7 Anderson Publishing 1994

      16 Sampson, R. J, "Legal Cynicism and Subcultural Tolerance of Deviance: The Neighborhood Context of Racial Differences" 32 : 1998

      17 Thuman, Q, "Community Policing in a Community Era: An Introduction and Exploration" Roxbury Publishing Company 2001

      18 Decker,S., "Citizen Attitudes Toward the Police: A Review of Past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Policy" 9 : 1981

      19 Winfree, T, "Adolescent Attitudes Towards the Police, Juvenile Delinquency: Little Brother Grows Up" Sage 19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4-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1 1.03 1.09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