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갈색날개매미충의 발육단계별 기주선호성 = Host Preference of Ricania spp. (Hemiptera: Ricaniidae)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811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갈색날개매미충은 발육단계별로 선호하는 기주에 차이가 있었다. 약충기간에는 수목류에 서식하기 보다는 바람과 비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진 약충들이 1년생 초종부터 관...

      갈색날개매미충은 발육단계별로 선호하는 기주에 차이가 있었다. 약충기간에는 수목류에 서식하기 보다는 바람과 비 등의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진 약충들이 1년생 초종부터 관목류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식물체를 섭식하였으며 특히 공주시 팔봉산 산림 속의 경우 노린재나무, 노박덩굴, 화살나무, 엄나무, 두릅나무, 때죽나무, 멍석딸기, 복분자, 산딸기, 상수리나무, 산수유, 싸리나무, 자귀나무, 조록싸리, 철쭉, 영산홍을 선호하였다. 성충 출현 이후 홍성군 용봉산 조사에서 산란전기간의 성충은 주로 해바라기, 달맞이꽃, 까마중을 가장 선호하였고 산란기에 접어 들면서 이들 해바라기, 달맞이꽃, 까마중 같은 1년생 초종에서의 거의 볼 수 없었고 대부분은 산란을 위하여 수목류나 관목류의 목본류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공주시 팔봉산 조사에서 산란기주는 주로 병꽃나무, 가죽나무, 갈참나무, 개모시, 고욤나무, 대추나무, 때죽나무, 매실나무, 벚나무, 조팝나무, 산딸기, 버드나무, 산철쭉, 층층나무 였다. 갈색날개매미충의 산란정도, 산란수, 성충수는 산림 속 음지보다는 양지에서 월등히 밀도가 높았으며 산란정도와 산란수의 경우 고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성충수는 고도가 낮을수록 발생량이 많았다. 본 결과는 갈색날개매미충의 발육단계별 선호기주에 관한 보고로서 특정 시기에 선호하기는 기주를 선발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추후 갈색날개매미충 유인트랩식물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host preference of Ricania app.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to select the effective control methods. Ricania spp.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preferred different host plants. During the nymphal period, individuals moved...

      We investigated the host preference of Ricania app.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to select the effective control methods. Ricania spp.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preferred different host plants. During the nymphal period, individuals moved to the bottom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ind and rain, rather than inhabiting trees, and fed on various plants ranging from 1 year-old herbaceous plants to shrubs. Especially, at Palbong Mt. in Gonju, Ricania spp. nymphs preferred Symplocos chinensis f. pilosa, Celastrus orbiculatus, Euonymus alatus, Kalopanax septemlobus, Aralia elata, Styrax japonicas, Rubus parvifolius, Ru. coreanus, Ru. crataegifolius, Quercus acutissima, Cornus officinalis, Lespedeza bicolor, Albizia julibrissin, L. maximowiczii,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Rh. indicum. At Yongbong Mt. in Hongseong, Ricania spp. adults preferred herbaceous plants, such as Helianthus annuus, Solanum nigrum, and Oenothera biennis rather than trees during the pre-oviposition stage. Subsequently, as the oviposition season began, Ricania spp. adults were rarely found in H. annuus, S. nigrum, or O. biennis and appeared to migrate to the perennial trees and shrubs hosts to lay eggs. At Palbong Mt., the main laying hosts of Ricania spp. adults were Weigela subsessilis, Ailanthus altissima, Q. aliena, Boehmeria platanifolia, Diospyros lotus, Ziziphus jujubae var. inermis, St. japonicus, Prunus mume, P. serrulata var. spontanea, Spiraea prunifolia f. simpliciflora, Ru. crataegifolius, Salix koreensis, Ru. yedoense f. poukhanense, and Co. controversa. The degree of egg laying, number of egg masses and adult Ricania spp.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unlit areas than in shaded areas, in addition, the lower the altitude, the more adults were present. This study contributes toward the development of traps that can attract and control Ricania spp. and reduce the density of Ricania spp. that disturb the ecosyst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지두, "꽃매미(Lycorma delicatula)의 생태 특성 및 약제 살충 효과" 한국응용곤충학회 48 (48): 53-57, 2009

      2 최용석, "과수의 신종해충인 날개매미충 일종의 산란특성" 한국응용곤충학회 50 (50): 367-372, 2011

      3 최덕수, "갈색날개매미충(신칭, Ricania sp.)의 발생생태와 친환경 방제자재 선발" 한국응용곤충학회 51 (51): 141-148, 2012

      4 김동언, "갈색날개매미충(Pochazia shantungensis) (Hemiptera: Ricaniidae)의 기주식물, 발생지역 및 잠재서식지 예측" 한국응용곤충학회 54 (54): 179-189, 2015

      5 강택준, "갈색날개매미충 월동 알의 부화율과 온도발육기간" 한국응용곤충학회 52 (52): 431-436, 2013

      6 Xu, C.Q, "The genus Euricania melichar (Hemiptera: Ricaniidae) from China" 54 : 1-10, 2006

      7 Jo, S.J, "Study on the control and ecology of Pochazia shantungensis" 19 : 35-44, 2014

      8 Kim, Y. E, "New record of an exotic flatid species, Metcalfa pruinosa (Say) (Hemiptera: Flaticdae) in Korea" 117-, 2009

      9 한민정,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Auchenorrhyncha: Fulgoridae: Aphaeninae) finally, but suddenly arrived in Korea" 한국곤충학회 38 (38): 281-286, 2008

      10 Meehl, G,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1 박지두, "꽃매미(Lycorma delicatula)의 생태 특성 및 약제 살충 효과" 한국응용곤충학회 48 (48): 53-57, 2009

      2 최용석, "과수의 신종해충인 날개매미충 일종의 산란특성" 한국응용곤충학회 50 (50): 367-372, 2011

      3 최덕수, "갈색날개매미충(신칭, Ricania sp.)의 발생생태와 친환경 방제자재 선발" 한국응용곤충학회 51 (51): 141-148, 2012

      4 김동언, "갈색날개매미충(Pochazia shantungensis) (Hemiptera: Ricaniidae)의 기주식물, 발생지역 및 잠재서식지 예측" 한국응용곤충학회 54 (54): 179-189, 2015

      5 강택준, "갈색날개매미충 월동 알의 부화율과 온도발육기간" 한국응용곤충학회 52 (52): 431-436, 2013

      6 Xu, C.Q, "The genus Euricania melichar (Hemiptera: Ricaniidae) from China" 54 : 1-10, 2006

      7 Jo, S.J, "Study on the control and ecology of Pochazia shantungensis" 19 : 35-44, 2014

      8 Kim, Y. E, "New record of an exotic flatid species, Metcalfa pruinosa (Say) (Hemiptera: Flaticdae) in Korea" 117-, 2009

      9 한민정,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Auchenorrhyncha: Fulgoridae: Aphaeninae) finally, but suddenly arrived in Korea" 한국곤충학회 38 (38): 281-286, 2008

      10 Meehl, G,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1 0.41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