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국어 교과서 구현 양상 -8학년, ‘문법’ 영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spect of 8th grade Korean Textbook published by the Korean education curriculum 2007 revised ver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590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researching about the 8th grade Korean textbook which was published by the 7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revised version) in 2007. The textbook is a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that embodies the intention and content of the curriculum. It takes an important role in the domain of education. We have used a kind of Korean textbook provided government-published textbook, the 7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 since 2000. But we will select a new kind of textbook from 23 kinds of Korean textbooks last year. And, we will select a new kind of textbook from 15 kinds of Korean textbooks this year. So I studied the grammar domain that is a part of Korean education curriculum of 2007 revised version in Chapter Ⅱ.
      Second, in chapter Ⅲ, I am researching about aspects of the authorized textbook that has expressed five achievement standards established by the Korean education curriculum of 2007 revised version. As a result, I found it was very different in every textbook. So I think that it is important select very carefully the textbook for teaching students. And that, it is more important that each teacher study the 7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revised version) in 2007.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at researching about the 8th grade Korean textbook which was published by the 7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revised version) in 2007. The textbook is a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that embodies the intention and content of the cur...

      This paper aims at researching about the 8th grade Korean textbook which was published by the 7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revised version) in 2007. The textbook is a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that embodies the intention and content of the curriculum. It takes an important role in the domain of education. We have used a kind of Korean textbook provided government-published textbook, the 7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 since 2000. But we will select a new kind of textbook from 23 kinds of Korean textbooks last year. And, we will select a new kind of textbook from 15 kinds of Korean textbooks this year. So I studied the grammar domain that is a part of Korean education curriculum of 2007 revised version in Chapter Ⅱ.
      Second, in chapter Ⅲ, I am researching about aspects of the authorized textbook that has expressed five achievement standards established by the Korean education curriculum of 2007 revised version. As a result, I found it was very different in every textbook. So I think that it is important select very carefully the textbook for teaching students. And that, it is more important that each teacher study the 7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revised version) in 200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Ⅲ"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8

      2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교육 과정 해설 Ⅱ"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9

      3 정혜승(鄭惠丞), "좋은 國語 敎科書의 요건과 單元 構成의 방향"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379-400, 2006

      4 이용숙, "제7차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와 미국 교과서 내용구성 체계 비교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187-220, 2005

      5 임 지 룡,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본 의미의 본질" 한국어의미학회 21 : 1-29, 2006

      6 권영민, "생활 국어 2-2" (주)새롬교육 2011

      7 김상욱, "생활 국어 2-2" (주)창비 2011

      8 김종철, "생활 국어 2-2" (주)도서출판 디딤돌 2011

      9 남미영, "생활 국어 2-2" (주)교학사 2011

      10 노미숙, "생활 국어 2-2" (주)천재교육 2011

      1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Ⅲ"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8

      2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교육 과정 해설 Ⅱ"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9

      3 정혜승(鄭惠丞), "좋은 國語 敎科書의 요건과 單元 構成의 방향"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379-400, 2006

      4 이용숙, "제7차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와 미국 교과서 내용구성 체계 비교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187-220, 2005

      5 임 지 룡,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본 의미의 본질" 한국어의미학회 21 : 1-29, 2006

      6 권영민, "생활 국어 2-2" (주)새롬교육 2011

      7 김상욱, "생활 국어 2-2" (주)창비 2011

      8 김종철, "생활 국어 2-2" (주)도서출판 디딤돌 2011

      9 남미영, "생활 국어 2-2" (주)교학사 2011

      10 노미숙, "생활 국어 2-2" (주)천재교육 2011

      11 박경신, "생활 국어 2-2" (주)대교 2011

      12 방민호, "생활 국어 2-2" (주)지학사 2011

      13 왕문용, "생활 국어 2-2" (주)대교 2011

      14 윤여탁, "생활 국어 2-2" 2011

      15 윤희원, "생활 국어 2-2" (주)금성출판사 2011

      16 이남호, "생활 국어 2-2" (주)미래엔컬처그룹 2011

      17 이숭원, "생활 국어 2-2" (주)좋은책신사고 2011

      18 이용남, "생활 국어 2-2" (주)지학사 2011

      19 조동길, "생활 국어 2-2" (주)비상교육 2011

      20 왕문용, "생활 국어 2-1" (주)대교 2011

      21 김상욱, "생활 국어 2-1" (주)창비 2011

      22 이숭원, "생활 국어 2-1" (주)좋은책신사고 2011

      23 오세영, "생활 국어 2-1" (주)해냄에듀 2011

      24 오세영, "생활 국어 2-1" (주)해냄에듀 2011

      25 김종철, "생활 국어 2-1" (주)도서출판 디딤돌 2011

      26 권영민, "생활 국어 2-1" (주)새롬교육 2011

      27 남미영, "생활 국어 2-1" (주)교학사 2011

      28 이남호, "생활 국어 2-1" (주)미래엔컬처그룹 2011

      29 방민호, "생활 국어 2-1" (주)지학사 2011

      30 윤희원, "생활 국어 2-1" (주)금성출판사 2011

      31 박경신, "생활 국어 2-1" (주)대교 2011

      32 윤여탁, "생활 국어 2-1" (주)미래엔컬처그룹 2011

      33 조동길, "생활 국어 2-1" (주)비상교육 2011

      34 이용남, "생활 국어 2-1" (주)지학사 2011

      35 노미숙, "생활 국어 2-1" (주)천재교육 2011

      36 정혜승, "미국의 국어 교과서 분석 연구" 한국독서학회 (14) : 335-372, 2005

      37 이동혁, "문장의 의미 해석을 위한 의미영역의 역할 - ≪상거래≫를 중심으로 -" 한국어의미학회 26 : 183-209, 2008

      38 이문규, "문법 교육의 성격과 학교 문법의 내용" 언어과학회 (46) : 23-41, 2008

      39 최웅환, "문법 교육에서의 교수적 변환론"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5) : 321-346, 2009

      40 최미숙, "국어교육의 이해" (주)사회평론 2008

      41 윤여탁, "국어교육의 본질과 교과서" 36 : 531-552, 2008

      42 신호철, "국어교육에서 연계성의 개념과 양상 - 문법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1) : 183-212, 2009

      43 이창수, "국어과 교육과정이 교과서에 반영되는 유헝에 따른 분석 연구(2)" 배달말학회 (41) : 257-298, 2007

      44 정혜승, "국어과 교육과정이 교과서에 반영되는 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어학회 15 : 11-258, 2002

      45 교육인적자원부, "국어과 교육과정-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별책5】"

      46 임지룡, "국어 어휘교육의 과제와 방향" 한국어의미학회 33 : 259-296, 2010

      47 정혜승, "국어 교과서 평가 방안 연구" 국어교육학회 (21) : 433-476, 2004

      48 송현정, "국어 교과서 검정제에 관한 실태 분석과 도입의 방향 탐색" 이중언어학회 (28) : 161-183, 2005

      49 방민호, "국어 2-2" (주)지학사 2011

      50 이남호, "국어 2-2" (주)미래엔컬처그룹 2011

      51 오세영, "국어 2-2" (주)해냄에듀 2011

      52 이숭원, "국어 2-2" (주)좋은책신사고 2011

      53 왕문용, "국어 2-2" 2011

      54 이용남, "국어 2-2" (주)지학사 2011

      55 윤희원, "국어 2-2" (주)금성출판사 2011

      56 박경신, "국어 2-2" (주)대교 2011

      57 윤여탁, "국어 2-2" (주)미래엔컬처그룹 2011

      58 노미숙, "국어 2-2" (주)천재교육 2011

      59 권영민, "국어 2-2" (주)새롬교육 2011

      60 남미영, "국어 2-2" (주)교학사 2011

      61 조동길, "국어 2-2" (주)비상교육 2011

      62 김상욱, "국어 2-2" (주)창비 2011

      63 김종철, "국어 2-2" (주)도서출판 디딤돌 2011

      64 이용남, "국어 2-1" (주)지학사 2011

      65 이숭원, "국어 2-1" (주)좋은책신사고 2011

      66 이남호, "국어 2-1" (주)미래엔컬처그룹 2011

      67 윤희원, "국어 2-1" (주)금성출판사 2011

      68 윤여탁, "국어 2-1" (주)미래엔컬처그룹 2011

      69 왕문용, "국어 2-1" (주)대교 2011

      70 오세영, "국어 2-1" (주)해냄에듀 2011

      71 방민호, "국어 2-1" (주)지학사 2011

      72 노미숙, "국어 2-1" (주)천재교육 2011

      73 남미영, "국어 2-1" (주)교학사 2011

      74 김종철, "국어 2-1" (주)도서출판 디딤돌 2011

      75 김상욱, "국어 2-1" (주)창비 2011

      76 권영민, "국어 2-1" (주)새롬교육 2011

      77 박경신, "국어 2-1" (주)대교 2011

      78 조동길, "국어 2-1" (주)비상교육 2011

      79 함수곤, "교육과정과 교과서" 대한교과서 2000

      80 김억조, "개정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7학년 교과서 구현 양상 연구" 국제언어문학회 21 : 49-87,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과정평가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7 1.353 0.8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