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07 개정 초등 사회과(역사) 교과서에 나타난 역사용어의 구조적 패턴 분석 = The historical terms used in elementary school history textbook revision in 2007 analysis of the structural patter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590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historical terms in the society(history area) text book used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structural pattern in order to figure out whether the method used by the learner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terms can be changed from personal understanding to structural understanding.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 have transcripted the text book and extracted the historical terms, classified the Sino-Korean words into single, composed, derived terms, and analyzed their linguistic pattern. As a result most of the single terms were consisted mainly of 2 syllables and the composed terms were analyzed to have 2+2 single+single term pattern, 2+3+2 single+derived+single pattern, 2+2+2 extensive pattern, and so on. Also the derived terms mainly consisted of 3 syllables of single term(stem)+affix in 2+1 or 1+2 form and most of them were composed of suffix. Therefore, if we use structural pattern of the historical terms as a cognitive linguistics schema with the basic historical terms study, it will be effective in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term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historical terms in the society(history area) text book used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structural pattern in order to figure out whether the method used by the learner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ter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historical terms in the society(history area) text book used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structural pattern in order to figure out whether the method used by the learner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terms can be changed from personal understanding to structural understanding.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 have transcripted the text book and extracted the historical terms, classified the Sino-Korean words into single, composed, derived terms, and analyzed their linguistic pattern. As a result most of the single terms were consisted mainly of 2 syllables and the composed terms were analyzed to have 2+2 single+single term pattern, 2+3+2 single+derived+single pattern, 2+2+2 extensive pattern, and so on. Also the derived terms mainly consisted of 3 syllables of single term(stem)+affix in 2+1 or 1+2 form and most of them were composed of suffix. Therefore, if we use structural pattern of the historical terms as a cognitive linguistics schema with the basic historical terms study, it will be effective in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ter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사회(역사 영역) 교과서의 역사용어를 구조적 패턴으로 분석하여 학습자가 역사용어를 이해하는 방식이 개별적 이해의 방식에서 구조적 이해의 방식으로 전환 가능한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 목적을 위해 교과서를 전사하여 역사용어를 추출한 뒤, 대부분 한자어로 이루어진 역사용어를 단일용어, 합성용어, 파생용어로 분류하여 그 용어의 조어(造語)적 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단일용어는 대부분 2음절로 이루어진 용어이며 합성용어는 2+2 형태의 단일용어+단일용어의 조어적 패턴, 2+3+2 형태의 단일용어+파생용어+단일용어의 조어적 패턴, 2+2+2의 확장적 패턴 등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파생용어는 2+1 또는 1+2 형태의 단일용어(어간)+접사로 합성되어 3음절로 구성된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그 중 접미사로 구성된 용어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기본 역사용어 학습과 더불어 역사용어의 구조적 패턴을 역사용어의 인지언어학적 스키마로 학습한다면 학습자의 역사용어 이해에 효과적일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사회(역사 영역) 교과서의 역사용어를 구조적 패턴으로 분석하여 학습자가 역사용어를 이해하는 방식이 개별적 이해의 방식에서 구조적 이해의 방식으로 전환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사회(역사 영역) 교과서의 역사용어를 구조적 패턴으로 분석하여 학습자가 역사용어를 이해하는 방식이 개별적 이해의 방식에서 구조적 이해의 방식으로 전환 가능한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 목적을 위해 교과서를 전사하여 역사용어를 추출한 뒤, 대부분 한자어로 이루어진 역사용어를 단일용어, 합성용어, 파생용어로 분류하여 그 용어의 조어(造語)적 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단일용어는 대부분 2음절로 이루어진 용어이며 합성용어는 2+2 형태의 단일용어+단일용어의 조어적 패턴, 2+3+2 형태의 단일용어+파생용어+단일용어의 조어적 패턴, 2+2+2의 확장적 패턴 등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파생용어는 2+1 또는 1+2 형태의 단일용어(어간)+접사로 합성되어 3음절로 구성된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그 중 접미사로 구성된 용어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기본 역사용어 학습과 더불어 역사용어의 구조적 패턴을 역사용어의 인지언어학적 스키마로 학습한다면 학습자의 역사용어 이해에 효과적일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선미, "현행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역사용어에 대한 연구 : '애국계몽운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 노명희, "현대국어 한자어의 단어구조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3 노명희, "한자어 형태론 연구의 몇 문제 -고재설(2007)과 관련하여-" 11 (11): 119-133, 2009

      4 최은동, "한자를 이용한 과학 용어 학습이 학생들의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조경래, "한글어의 언어심리학적 분석 : 한글어에 대한 한자어, 순수한글어, 영자어의 비교"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6 이의한, "한국지리 교과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형관련 용어에 대한 재검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10): 173-187, 2007

      7 김정은, "한국어 파생용어 교육 연구" 22 : 91-139, 1997

      8 유췌, "한·중 한자 사자성어 비교연구 : 형태와 의미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1

      9 박희무, "학습자 특성에 따른 지구과학 관련 영역의 한자 과학용어에 대한 이해 수준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0 유성호, "학습용어 설정을 통한 국어교과서 진술의 개산 방안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30 (30): 53-89, 2004

      1 이선미, "현행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역사용어에 대한 연구 : '애국계몽운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 노명희, "현대국어 한자어의 단어구조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3 노명희, "한자어 형태론 연구의 몇 문제 -고재설(2007)과 관련하여-" 11 (11): 119-133, 2009

      4 최은동, "한자를 이용한 과학 용어 학습이 학생들의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조경래, "한글어의 언어심리학적 분석 : 한글어에 대한 한자어, 순수한글어, 영자어의 비교"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6 이의한, "한국지리 교과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형관련 용어에 대한 재검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10): 173-187, 2007

      7 김정은, "한국어 파생용어 교육 연구" 22 : 91-139, 1997

      8 유췌, "한·중 한자 사자성어 비교연구 : 형태와 의미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1

      9 박희무, "학습자 특성에 따른 지구과학 관련 영역의 한자 과학용어에 대한 이해 수준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0 유성호, "학습용어 설정을 통한 국어교과서 진술의 개산 방안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30 (30): 53-89, 2004

      11 장슈엔원, "학문목적 학습자를 위한 전공별 한자어 교육 연구 : 인문·상경 계열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12 김한종, "피아제의 인지발달론과 역사교육연구" 1 : 19-68, 1995

      13 고영근, "파생접사의 분석문제"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5 (25): 1989

      14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사회과 교사용 해설서" 두산동아 2011

      15 정필례,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한자어 분석을 통한 한자 교육 : 6학년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6 이연우,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의 사고도구어 비교 연구 :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7 박행숙,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역사용어 이해 수준과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8 주웅영, "초등 사회과 어휘 교수의 전략 탐색"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3 (13): 1-25, 2006

      19 주웅영, "초등 6학년「사회」교과서의 어휘 분석과 교수·학습자료와의 관련성 탐색"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5 (15): 137-161, 2008

      20 정진우, "중학생들의 학습 양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에 따른 한자기반 지구과학용어에 대한 이해" 한국지구과학회 28 (28): 24-34, 2007

      21 김민지,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역사용어서술 실태와 개선방안" 역사교육학회 37 (37): 3-40, 2006

      22 한정윤, "중학교 국사교과서 용어 이해 실태: 충남 아산지역 5학년에서 9학년 학생과 중학교 교사의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16 : 79-114, 2008

      23 성혜진, "제7차 중학교 「사회Ⅰ」 교과서의 자연지리 용어에 대한 양적·질적 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4 조은경, "전문용어의 어휘형태적 특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25 정선영, "역사용어의 성격과 그 교육적 이용" 56 : 163-171, 1994

      26 정선영, "역사교육의 이해" 삼지사 2011

      27 김한종,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연구" 선인 2006

      28 김혜인, "어휘 제시 방법이 고등학생의 영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29 이은상, "스키마 활성화의 뇌과학적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0 Jensen, E., "두뇌기반교수" 푸른 세상 2000

      31 이영효, "내러티브 양식의 역사서술체제 개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2 (42): 5-104, 2003

      32 신명선, "국어 사고도구어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33 송현주, "국어 구조와 의미 간의 동기화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34 이문기, "국사교과서의 역사용어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 모색" 1-40, 2005

      35 구난희,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일제강점기 관련 서술의 양상 변화와 요인"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7 (17): 35-56, 2010

      36 유정순,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역사용어 이해실태와 개선방안" 35 : 107-155, 2005

      37 Keith C. Barton, "Teaching History for the Common Good" LEA Publisher 2004

      38 E. A. Peel., "Problems in the Psychology of History Teaching" Routledge & Kegan Paul 1965

      39 Kieran Egan., "Layers of Historical Understanding" 152 (152): 280-294,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과정평가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7 1.353 0.8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