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선미, "현행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역사용어에 대한 연구 : '애국계몽운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 노명희, "현대국어 한자어의 단어구조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3 노명희, "한자어 형태론 연구의 몇 문제 -고재설(2007)과 관련하여-" 11 (11): 119-133, 2009
4 최은동, "한자를 이용한 과학 용어 학습이 학생들의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조경래, "한글어의 언어심리학적 분석 : 한글어에 대한 한자어, 순수한글어, 영자어의 비교"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6 이의한, "한국지리 교과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형관련 용어에 대한 재검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10): 173-187, 2007
7 김정은, "한국어 파생용어 교육 연구" 22 : 91-139, 1997
8 유췌, "한·중 한자 사자성어 비교연구 : 형태와 의미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1
9 박희무, "학습자 특성에 따른 지구과학 관련 영역의 한자 과학용어에 대한 이해 수준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0 유성호, "학습용어 설정을 통한 국어교과서 진술의 개산 방안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30 (30): 53-89, 2004
1 이선미, "현행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역사용어에 대한 연구 : '애국계몽운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 노명희, "현대국어 한자어의 단어구조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3 노명희, "한자어 형태론 연구의 몇 문제 -고재설(2007)과 관련하여-" 11 (11): 119-133, 2009
4 최은동, "한자를 이용한 과학 용어 학습이 학생들의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5 조경래, "한글어의 언어심리학적 분석 : 한글어에 대한 한자어, 순수한글어, 영자어의 비교"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6 이의한, "한국지리 교과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형관련 용어에 대한 재검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10): 173-187, 2007
7 김정은, "한국어 파생용어 교육 연구" 22 : 91-139, 1997
8 유췌, "한·중 한자 사자성어 비교연구 : 형태와 의미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1
9 박희무, "학습자 특성에 따른 지구과학 관련 영역의 한자 과학용어에 대한 이해 수준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0 유성호, "학습용어 설정을 통한 국어교과서 진술의 개산 방안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30 (30): 53-89, 2004
11 장슈엔원, "학문목적 학습자를 위한 전공별 한자어 교육 연구 : 인문·상경 계열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12 김한종, "피아제의 인지발달론과 역사교육연구" 1 : 19-68, 1995
13 고영근, "파생접사의 분석문제"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5 (25): 1989
14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사회과 교사용 해설서" 두산동아 2011
15 정필례,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한자어 분석을 통한 한자 교육 : 6학년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6 이연우,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의 사고도구어 비교 연구 :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7 박행숙,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역사용어 이해 수준과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8 주웅영, "초등 사회과 어휘 교수의 전략 탐색"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3 (13): 1-25, 2006
19 주웅영, "초등 6학년「사회」교과서의 어휘 분석과 교수·학습자료와의 관련성 탐색"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5 (15): 137-161, 2008
20 정진우, "중학생들의 학습 양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에 따른 한자기반 지구과학용어에 대한 이해" 한국지구과학회 28 (28): 24-34, 2007
21 김민지,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역사용어서술 실태와 개선방안" 역사교육학회 37 (37): 3-40, 2006
22 한정윤, "중학교 국사교과서 용어 이해 실태: 충남 아산지역 5학년에서 9학년 학생과 중학교 교사의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16 : 79-114, 2008
23 성혜진, "제7차 중학교 「사회Ⅰ」 교과서의 자연지리 용어에 대한 양적·질적 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4 조은경, "전문용어의 어휘형태적 특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25 정선영, "역사용어의 성격과 그 교육적 이용" 56 : 163-171, 1994
26 정선영, "역사교육의 이해" 삼지사 2011
27 김한종,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연구" 선인 2006
28 김혜인, "어휘 제시 방법이 고등학생의 영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29 이은상, "스키마 활성화의 뇌과학적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0 Jensen, E., "두뇌기반교수" 푸른 세상 2000
31 이영효, "내러티브 양식의 역사서술체제 개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2 (42): 5-104, 2003
32 신명선, "국어 사고도구어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33 송현주, "국어 구조와 의미 간의 동기화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34 이문기, "국사교과서의 역사용어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 모색" 1-40, 2005
35 구난희,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일제강점기 관련 서술의 양상 변화와 요인"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7 (17): 35-56, 2010
36 유정순,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역사용어 이해실태와 개선방안" 35 : 107-155, 2005
37 Keith C. Barton, "Teaching History for the Common Good" LEA Publisher 2004
38 E. A. Peel., "Problems in the Psychology of History Teaching" Routledge & Kegan Paul 1965
39 Kieran Egan., "Layers of Historical Understanding" 152 (152): 280-294,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