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체육학에 있어서 Q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탐색 = Exploration on the Applicability of Q methodology in Research in AP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279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0년대에 이르러 특수체육(Adapted Physical Activity)은 그 패러다임이 변화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특수체 육학에 다양한 연구를 시도할 수 있게 하였다. 그 중, 질적 연구는 사용자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연구방법으로 써 인간의 내면을 바라본다는 점에서 당위성을 갖고 있다. 그와 동시에 학계에서는 질적 연구와 관련하여 연구 본연의 가치 및 연구자의 준비, 연구방법의 혼란 등과 관련하여 우려의 목소리 역시 끊임없이 계속되어 왔다. 이러한 이분법적 구조 대립에 대해서 주관성과 객관성 사이의 긴장을 해소시킬 수 있는 연구방법으로서 스티 븐슨은 Q방법론을 제안하였으며, 1970년대 국내에 소개되어 광고학, 정치학, 정책학, 간호학 분야에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Q방법론을 특수체육 분야의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탐 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헌을 고찰하고 최근 이루어진 다양한 연구 결과물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특수체육연구에 Q방법론을 적용하는 것은 심리적 세분화, 가설 발견적 연구, 효과검증 연구, 연구대상자의 확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체육에서 Q방법론은 특수체육의 다양한 욕구나 기대, 의견대립 탐색에 대한 기여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특수체육에서 다루는 중요한 연구 분야의 하나인 인간의 가치나 장애인을 둘러싼 타자의 태도, 장애 관련 종사자의 신념 등 과 관련된 주관성을 보다 과학적으로 접근하는데 있어 Q방법론의 유용성과 기여가능성이 높음을 제시한다. 이 에 추후 특수체육학 연구에 있어서 Q방법론을 이용한 주관성 연구가 보다 많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번역하기

      2000년대에 이르러 특수체육(Adapted Physical Activity)은 그 패러다임이 변화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특수체 육학에 다양한 연구를 시도할 수 있게 하였다. 그 중, 질적 연구는 사용자가 계속 증가하...

      2000년대에 이르러 특수체육(Adapted Physical Activity)은 그 패러다임이 변화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특수체 육학에 다양한 연구를 시도할 수 있게 하였다. 그 중, 질적 연구는 사용자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연구방법으로 써 인간의 내면을 바라본다는 점에서 당위성을 갖고 있다. 그와 동시에 학계에서는 질적 연구와 관련하여 연구 본연의 가치 및 연구자의 준비, 연구방법의 혼란 등과 관련하여 우려의 목소리 역시 끊임없이 계속되어 왔다. 이러한 이분법적 구조 대립에 대해서 주관성과 객관성 사이의 긴장을 해소시킬 수 있는 연구방법으로서 스티 븐슨은 Q방법론을 제안하였으며, 1970년대 국내에 소개되어 광고학, 정치학, 정책학, 간호학 분야에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Q방법론을 특수체육 분야의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탐 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헌을 고찰하고 최근 이루어진 다양한 연구 결과물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특수체육연구에 Q방법론을 적용하는 것은 심리적 세분화, 가설 발견적 연구, 효과검증 연구, 연구대상자의 확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체육에서 Q방법론은 특수체육의 다양한 욕구나 기대, 의견대립 탐색에 대한 기여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특수체육에서 다루는 중요한 연구 분야의 하나인 인간의 가치나 장애인을 둘러싼 타자의 태도, 장애 관련 종사자의 신념 등 과 관련된 주관성을 보다 과학적으로 접근하는데 있어 Q방법론의 유용성과 기여가능성이 높음을 제시한다. 이 에 추후 특수체육학 연구에 있어서 Q방법론을 이용한 주관성 연구가 보다 많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ound the time of 2000, adapted physical activity is freed from the past paradigm focused on rehabilitation and training but has the altered frame of view grounded on the various research of the disabled to realize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with minimized limited environment and let the disabled participate in society. Among them, qualitative research is a method of research constantly increasing and has the appropriateness from the viewpoint to see the inside of human beings. Along with this, the academic circles have also continually made voices of concern regarding the ultimate value of research, preparation of researchers, or confusion of research methods. As a research method to get rid of such tension between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regarding such dichotomy structural contrast, Stephenson suggested Q methodology. As it was introduced in the 1970`s into Korea, it has been used for the research in the areas of advertisement, politics, policy science, or nursing. Thereupon, with the research method of reviewing, this paper aims to explore and discuss the applicability of Q methodology to adapted physical activity. To attain the research goal concretely, this study considered diverse books and analyzed various research results we have recently acquired. And this study g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regarding the areas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that can apply Q methodology, this study implies it can be appropriate to psychological specification, research for discovering hypotheses, research for verifying effects, or the expansion of research subjects. Second,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Q methodology will contribute to exploring various needs or expectations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or conflicts.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provide the ground to approach more scientifically to subjectivity related with the mankind value or the others` attitudes towards the disabled, one of the crucial research areas dealt with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or the beliefs of disability-related workers. And it is hoped that in the research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this kind of subjectivity research will be performed more often afterwards.
      번역하기

      Around the time of 2000, adapted physical activity is freed from the past paradigm focused on rehabilitation and training but has the altered frame of view grounded on the various research of the disabled to realize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activ...

      Around the time of 2000, adapted physical activity is freed from the past paradigm focused on rehabilitation and training but has the altered frame of view grounded on the various research of the disabled to realize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with minimized limited environment and let the disabled participate in society. Among them, qualitative research is a method of research constantly increasing and has the appropriateness from the viewpoint to see the inside of human beings. Along with this, the academic circles have also continually made voices of concern regarding the ultimate value of research, preparation of researchers, or confusion of research methods. As a research method to get rid of such tension between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regarding such dichotomy structural contrast, Stephenson suggested Q methodology. As it was introduced in the 1970`s into Korea, it has been used for the research in the areas of advertisement, politics, policy science, or nursing. Thereupon, with the research method of reviewing, this paper aims to explore and discuss the applicability of Q methodology to adapted physical activity. To attain the research goal concretely, this study considered diverse books and analyzed various research results we have recently acquired. And this study g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regarding the areas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that can apply Q methodology, this study implies it can be appropriate to psychological specification, research for discovering hypotheses, research for verifying effects, or the expansion of research subjects. Second,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Q methodology will contribute to exploring various needs or expectations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or conflicts.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will provide the ground to approach more scientifically to subjectivity related with the mankind value or the others` attitudes towards the disabled, one of the crucial research areas dealt with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or the beliefs of disability-related workers. And it is hoped that in the research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this kind of subjectivity research will be performed more often afterward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승권, "한국형 장애인체육구조 모형 개발" 4 : 1-14, 2006

      2 이현수, "한국과 미국의 특수체육 연구동향 비교분석(2006-2010): APAE와 APAQ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체육학회 19 (19): 63-74, 2011

      3 이현수, "한국과 미국의 특수체육 연구동향 비교분석(2001-2005): APAE와 APAQ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45 (45): 505-514, 2006

      4 강유석, "특수체육학 분야의 질적연구 동향 고찰" 한국특수체육학회 17 (17): 285-310, 2009

      5 이경준, "특수체육 질적연구 패러다임들의 기여와 한계" 한국특수체육학회 19 (19): 83-101, 2011

      6 이건범, "통합체육에 관한 중등교사 태도의 Q방법론적 이해" 한국체육학회 42 (42): 739-752, 2003

      7 조용환, "질적연구와 양적연구. 교육연구의질적접근, 그 방법과 쟁점" 3-24, 1998

      8 이인경, "질적연구 담금질을 시작하며......" 한국특수체육학회 14 (14): 61-86, 2006

      9 박성희,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원미사 2004

      10 박병도,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의 체육수업 어려움 해결하기" 한국특수체육학회 15 (15): 1-26, 2007

      1 최승권, "한국형 장애인체육구조 모형 개발" 4 : 1-14, 2006

      2 이현수, "한국과 미국의 특수체육 연구동향 비교분석(2006-2010): APAE와 APAQ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체육학회 19 (19): 63-74, 2011

      3 이현수, "한국과 미국의 특수체육 연구동향 비교분석(2001-2005): APAE와 APAQ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45 (45): 505-514, 2006

      4 강유석, "특수체육학 분야의 질적연구 동향 고찰" 한국특수체육학회 17 (17): 285-310, 2009

      5 이경준, "특수체육 질적연구 패러다임들의 기여와 한계" 한국특수체육학회 19 (19): 83-101, 2011

      6 이건범, "통합체육에 관한 중등교사 태도의 Q방법론적 이해" 한국체육학회 42 (42): 739-752, 2003

      7 조용환, "질적연구와 양적연구. 교육연구의질적접근, 그 방법과 쟁점" 3-24, 1998

      8 이인경, "질적연구 담금질을 시작하며......" 한국특수체육학회 14 (14): 61-86, 2006

      9 박성희,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원미사 2004

      10 박병도, "지체부자유학교 교사의 체육수업 어려움 해결하기" 한국특수체육학회 15 (15): 1-26, 2007

      11 이희경, "유치원 교사의 역할 Q-set개발을위한 기초연구" 17 : 117-142, 1996

      12 김석진, "신체활동참여 및 장애등급에 따른 뇌성마비장애인의 신체적 자기개념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16 (16): 25-46, 2008

      13 신원식, "사회복지 정책분석에서 Q 방법론의활용" 16 : 121-135, 2002

      14 이인경, "미국 통합교육의 성격 분석에 기초한 한국의 통합 특수체육교육모델 수립을 위한 제안" 1 (1): 11-32, 2003

      15 정성호, "대학교수의 비언어적 요소가 수업성취도에 미친 영향의 유형에 과난 연구:Q 방법론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2 (12): 90-117, 2004

      16 국제특수체육학회, "What is APA?"

      17 Denniss, K. E., "Weight Control self-efficacy types and transitions affect weight-loss outcomes in obese woman" 21 : 103-116, 1996

      18 Combes, H., "Using Q-methodology to involv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evaluating person-centered planning" 17 : 149-159, 2004

      19 Bryant, L. D., "Understanding of Down's syndro me: A Q methodological investigation" 63 : 1188-1112, 2006

      20 Stephenson, W., "The study of behavior: Q-technique and its methodolog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3

      21 Reid, G., "The politics of self-determinati on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140-, 2001

      22 Elhoweris, H., "Teacher's attitudes towards inclusion" 21 (21): 115-118, 2006

      23 Pease, D., "Reliability of the Q-Sort Inventory of Parenting Behaviors" 49 : 11-17, 1989

      24 이도희, "Q방법을 활용한 장애 인식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조사연구소 6 (6): 109-138, 2005

      25 김순은, "Q방법론의 이론적 배경과 비판적고찰" 7 (7): 5-25, 1999

      26 김흥규, "Q방법론의 유용성 연구" 1 : 15-33, 1996

      27 남미영, "Q방법론을 이용한 유치원교사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통합교육학회 5 (5): 83-102, 2010

      28 김헌수, "Q방법론(연구방법 7)" 교육과학사 2000

      29 김흥규, "Q방법론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30 Taylor, P., "Q-methodol ogy in the study of child phenomenology" 44 (44): 171-183, 1994

      31 Brown, S. R.,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in politic al science" Yale University Press 1980

      32 Stephenson, W., "Newton's fifth rule and Q methodology : Application to education al psychology" 35 : 882-889, 1980

      33 Sørensen, M., "Integration of disability sport in the Norwegian sport organizations: Lessons learned" 23 : 184-202, 2006

      34 Zambelli, F., "Beliefs of teachers in Italian schools concerning the inclusion of disabled students : A Q-sort analysis" 19 (19): 351-366, 2004

      35 Goodman, G., "Adoption of assistive technology for co mputer access among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24 : 80-92, 2002

      36 Sherrill, C., "Adapted physical activity, recreation and sport: Crossdisciplinary and Lifespan" WC B/McGraw-Hill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2-0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8 1.31 1.18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