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말토올리고당과 변성 전분 혼합 사용 떡의 품질 특성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Rice Cakes (Karedduk) with a Mixture of Maltooligosaccharide and Modified Sta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893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rice cakes (Karedduk) with a mixture of maltooligosaccharide and OSA (octenyl succinic acid starch) added, after 2 and 24 hr of storage at 5℃, was analyzed. A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used for arrangement of treatment.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selected for retarding retrogradation analysis were amounts of maltooligosaccharide (x) and OSA (y). Maltooligosaccharide was added at 0, 3, 6, 9, and 12% levels, and OSA added at 0, 0.3, 0.6, 0.9, and 1.2% levels, to dry rice flour. The texture properties analysis using a Texture Analyzer revealed that the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p<0.01), chewiness, gumminess and hardness (p<0.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fter 24 hr of storage at 5℃. The effect of retarding retrogradation of Korean rice cakes with added mixtures of maltooligosaccharide and OSA showed an increasing trend as the amount of maltooligosaccharide increased. Overall, the instrumental texture propertie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sensory characteristic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ding a mixture of 6% maltooligosaccharide and 0.6% OSA to Korean rice cakes (Karedduk) is effective for retarding retrogradation.
      번역하기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rice cakes (Karedduk) with a mixture of maltooligosaccharide and OSA (octenyl succinic acid starch) added, after 2 and 24 hr of storage at 5℃, was analyzed. A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used for arrangement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rice cakes (Karedduk) with a mixture of maltooligosaccharide and OSA (octenyl succinic acid starch) added, after 2 and 24 hr of storage at 5℃, was analyzed. A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used for arrangement of treatment.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selected for retarding retrogradation analysis were amounts of maltooligosaccharide (x) and OSA (y). Maltooligosaccharide was added at 0, 3, 6, 9, and 12% levels, and OSA added at 0, 0.3, 0.6, 0.9, and 1.2% levels, to dry rice flour. The texture properties analysis using a Texture Analyzer revealed that the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p<0.01), chewiness, gumminess and hardness (p<0.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fter 24 hr of storage at 5℃. The effect of retarding retrogradation of Korean rice cakes with added mixtures of maltooligosaccharide and OSA showed an increasing trend as the amount of maltooligosaccharide increased. Overall, the instrumental texture propertie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sensory characteristic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ding a mixture of 6% maltooligosaccharide and 0.6% OSA to Korean rice cakes (Karedduk) is effective for retarding retrograd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말토올리고당과 변성 전분인 OSA 전분의 혼합사용 떡의 노화 억제 효과 분석을 위하여 중심합성계획법에따라 쌀가루 기준으로 말토올리고당은 0, 3, 6, 9 또는 12% 농도로, OSA 전분은 0, 0.3, 0.6, 0.9 또는 1.2% 농도로 혼합사용하여 제조한 떡을 5℃ 저장 2시간 및 24시간 후 Texture Analyzer에 의해 기계적 텍스처 특성을 측정하였고, 전문 패널에 의한 관능적 묘사 특성을 분석하였다. 떡의 텍스처 변화에서 제조 24시간 후 부착성을 제외하고, 탄성과 응집성(p< 0.01), 씹힘성, 검성 및 경도(p<0.001)에서 실험군간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두 첨가물 혼합 사용 효과에서 말토올리고당과OSA 전분은 양이 많아질수록 떡의 경도가 낮아지는 경향을보여주었으며, 말토올리고당 6%와 OSA 전분 0.6% 범위에서혼합 사용할 경우 경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관능적 묘사 특성에서는 말토올리고당의 함량이 높을수록 경도는 낮아지고 단맛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떡의 기계적 텍스처변화와 관능적 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계적 텍스처 변화 중에서 탄성, 응집성, 씹힘성, 검성, 부착성 및 경도등은 관능적 특성 부착성, 경도 및 응집성(p<0.001)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전문 패널들이 평가한 단단한 떡일수록기계적으로 측정된 경도가 높았으며, 기계적으로 측정된 응집성과 부착성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말토올리고당과 변성 전분인 OSA 전분의 혼합 사용의 경우 말토올리고당 6% 와 OSA 전분 0.6% 농도 수준으로 혼합 첨가하면 기계적 텍스처 변화와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보여주어 저장 중 떡의노화 억제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말토올리고당과 변성 전분인 OSA 전분의 혼합사용 떡의 노화 억제 효과 분석을 위하여 중심합성계획법에따라 쌀가루 기준으로 말토올리고당은 0, 3, 6, 9 또는 12% 농도로, OSA 전분은 ...

      본 연구는 말토올리고당과 변성 전분인 OSA 전분의 혼합사용 떡의 노화 억제 효과 분석을 위하여 중심합성계획법에따라 쌀가루 기준으로 말토올리고당은 0, 3, 6, 9 또는 12% 농도로, OSA 전분은 0, 0.3, 0.6, 0.9 또는 1.2% 농도로 혼합사용하여 제조한 떡을 5℃ 저장 2시간 및 24시간 후 Texture Analyzer에 의해 기계적 텍스처 특성을 측정하였고, 전문 패널에 의한 관능적 묘사 특성을 분석하였다. 떡의 텍스처 변화에서 제조 24시간 후 부착성을 제외하고, 탄성과 응집성(p< 0.01), 씹힘성, 검성 및 경도(p<0.001)에서 실험군간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두 첨가물 혼합 사용 효과에서 말토올리고당과OSA 전분은 양이 많아질수록 떡의 경도가 낮아지는 경향을보여주었으며, 말토올리고당 6%와 OSA 전분 0.6% 범위에서혼합 사용할 경우 경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관능적 묘사 특성에서는 말토올리고당의 함량이 높을수록 경도는 낮아지고 단맛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떡의 기계적 텍스처변화와 관능적 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계적 텍스처 변화 중에서 탄성, 응집성, 씹힘성, 검성, 부착성 및 경도등은 관능적 특성 부착성, 경도 및 응집성(p<0.001)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전문 패널들이 평가한 단단한 떡일수록기계적으로 측정된 경도가 높았으며, 기계적으로 측정된 응집성과 부착성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말토올리고당과 변성 전분인 OSA 전분의 혼합 사용의 경우 말토올리고당 6% 와 OSA 전분 0.6% 농도 수준으로 혼합 첨가하면 기계적 텍스처 변화와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보여주어 저장 중 떡의노화 억제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재철, "친수성콜로이드류의 떡 응고방지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1253-1261, 2003

      2 임영옥, "중소도시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비만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7 (7): 10-714, 2002

      3 김상숙, "올리고당 첨가 가래떡의 텍스처 변화와 노화 억제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533-538, 2012

      4 송재철, "떡노화에 대한 전분분해효소류의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1262-1269, 2003

      5 정혜영, "당류 물질 첨가 가래떡의 텍스처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1205-1210, 2007

      6 신완철, "다양한 Surfactants의 가래떡 노화 억제 기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1218-1223, 2004

      7 Cross HR, "Training and testing judges for sensory analysis of meat quality" 32 : 48-54, 1978

      8 Atwell WA, "The terminology and methodology associated with basic starch phenomena" 33 : 306-311, 1988

      9 Bourne MC, "Texture profile analysis" 32 : 62-72, 1978

      10 Kim KO, "Sensory Evaluation Method and Application" Sinkwang 161-169, 1993

      1 송재철, "친수성콜로이드류의 떡 응고방지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1253-1261, 2003

      2 임영옥, "중소도시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비만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7 (7): 10-714, 2002

      3 김상숙, "올리고당 첨가 가래떡의 텍스처 변화와 노화 억제 분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533-538, 2012

      4 송재철, "떡노화에 대한 전분분해효소류의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1262-1269, 2003

      5 정혜영, "당류 물질 첨가 가래떡의 텍스처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1205-1210, 2007

      6 신완철, "다양한 Surfactants의 가래떡 노화 억제 기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1218-1223, 2004

      7 Cross HR, "Training and testing judges for sensory analysis of meat quality" 32 : 48-54, 1978

      8 Atwell WA, "The terminology and methodology associated with basic starch phenomena" 33 : 306-311, 1988

      9 Bourne MC, "Texture profile analysis" 32 : 62-72, 1978

      10 Kim KO, "Sensory Evaluation Method and Application" Sinkwang 161-169, 1993

      11 Gacula MC, "Product Optimization. In: Design and Analysis of Sensory Optimization" Food & Nutrition press 105-236, 1993

      12 Hoseney RC, "Principles of Cereal Science and Technology"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Inc 54-, 1986

      13 박정욱, "Maltitol 첨가와 가래떡의 노화억제"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175-180, 2003

      14 Miura M, "Influence of addition of polyols and food emulsifiers on the retrogradation rate of starch" 11 : 225-236, 1992

      15 Cho SH, "Food Chemistry" Kyomunsa 226-227, 2004

      16 Kim DH, "Food Chemistry" Tamgudang 300-307, 1992

      17 Choi CR, "Effects of sugars on the retrogradation of rice flour gels" 28 : 904-909, 1996

      18 Katsuta K, "Effects of saccharides on stabilities of rice starch gels. Ⅱ. Oligosaccharides" 6 : 399-408, 1992

      19 Lee SY, "Effects of alum on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25 : 355-359, 1993

      20 Kim SS, "Development of anti-staling agents for rice processed products to enhance rice consumption"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2005

      21 Stone H, "Descriptive Analysis. In: Sensory Evaluation Practices" Academic press 194-, 1985

      22 Lee YH, "Composition, water-holding capacity and effect on starch retrogradation of rice bran dietary fiber" 26 : 288-294, 1994

      23 Kohyama K, "Cellulose derivatives effects on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of sweet potato starch" 57 : 128-131, 1992

      24 Katsuta K, "Antifirming efficacy of food emulsifiers on rice starch gel" 49 : 145-152,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6 1.10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