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근·현대 民村의 사회공간적 성격과 영역성 -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의 사례 - = A Study on the Territoriality and the Socio-spatial Characteristics of a Commoner s Settlement in Modern Tim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8400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근·현대 民村의 사회공간적 성격과 영역성에 접근하는 일환으로 촌락민의 제 관계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촌락권의 중층성 문제를 탐구한 것이다. 연구 지역인 부여군 장암면 장...

      이 논문은 근·현대 民村의 사회공간적 성격과 영역성에 접근하는 일환으로 촌락민의 제 관계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촌락권의 중층성 문제를 탐구한 것이다. 연구 지역인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는 금강 범람원 변에 입지한 민촌적 배경의 진주강씨 종족마을이다. 이 촌락은 마을이 형성된 17세기 이후 지금까지 견고한 사회적 집단성을 바탕으로 20세기 중후반의 이른바 촌락 해체기를 경험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특히 근·현대시기를 지나면서 이 마을에는 촌락민들을 둘러싼 제 관계를 반영하며 촌락 영역의 다양한 경계들, 즉 중층적 촌락권이 만들어져 왔다. 필자는 촌락민을 둘러싼 제 관계를 인간-자연관계, 사회적 관계, 정치적 관계라는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서 각각에 상응하는 촌락권의 범위와 내용을 검토하였다. 장하리와 검신들을 묶는 인간-자연 관계의 촌락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장하리와 북고리를 연결하는 통혼권에 기초한 사회적 관계의 촌락권이 19세기 이후 여전히 존속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최근에는 장하리, 북고리, 상황리, 하황리로 연결되는 정치적 연대의 촌락권이 출현하였음을 포착할 수 있었다. 과거의 신분 관계에 기초한 통혼권의 경우처럼 특정 촌락권이 소멸하기도 하지만 근·현대 이후 사회·경제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새로운 유형의 촌락권이 탄생하는 경우도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요컨대 중층적 촌락권으로 대변되는 이 마을의 영역성은 장하리 주민들이 처했던 환경적 특수성을 표현하고 사회·문화적 차별성을 표상하며 정치적 연대성을 함축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the author inquired the multi-layered sphere of a commener's settlement of Jangha-ri in modern times to approach the territoriality and socio-spatial characteristics of it. This settlement has originated in a lineage settlement of Jin...

      In this article, the author inquired the multi-layered sphere of a commener's settlement of Jangha-ri in modern times to approach the territoriality and socio-spatial characteristics of it. This settlement has originated in a lineage settlement of Jinju-Gang, and has experienced socio-spatial cohesion since its making(the 17th Century). Especially, it is found that the territoriality of Jangha-ri has fluctuated in times and has obtained multi-layeredness according to the human-nature relationship, to the social relationship, and to the political relationship of villagers. As a result, it is interpreted that the socio-spatial characteristics and territoriality of Jangha-ri in modern times do not only have a physical reality, but also social, political, cultural on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머리말 : '관계'를 통한 촌락 읽기
      • 2. 선행 연구의 검토
      • 3. 마을의 형성과정과 민촌적 성격
      • 요약
      • Abstract
      • 1. 머리말 : '관계'를 통한 촌락 읽기
      • 2. 선행 연구의 검토
      • 3. 마을의 형성과정과 민촌적 성격
      • 4. 촌락민의 '제 관계'를 통해 본 마을의 촌락권
      • 5. 맺음말

      • 文獻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