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육군 훈련소 및 사단 신병 교육대대에 근무하는 훈련부사관 소대장들의 직무를 분석하는 것이다. 미래 전쟁의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특성에 대비하기 위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85104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19-452(3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육군 훈련소 및 사단 신병 교육대대에 근무하는 훈련부사관 소대장들의 직무를 분석하는 것이다. 미래 전쟁의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특성에 대비하기 위해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육군 훈련소 및 사단 신병 교육대대에 근무하는 훈련부사관 소대장들의 직무를 분석하는 것이다. 미래 전쟁의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특성에 대비하기 위해 군 인력의 체계적인 개발은 필수적이다. 훈련부사관은 용사들이 군 생활에 원활히 적응함은 물론 전투에서 요구되는 기초 역량을 습득하도록 지도하는 핵심 교육의 주체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훈련부사관의 직무는 단순한 교육 수행을 넘어 군 전력의 질적 수준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훈련부사관의 직무에 대해 명확하고 구조적인 분석은 아직까지 충분히 제시 되어 있지 않는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전에 적합한 병력 양성을 위해 훈련부사관의 역할과 직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유능한 군 인력을 양성하는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직무분석을 위한 방법은 데이컴(DACUM) 방법을 실시하였다. 1단계는 총 12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워크숍을 통해 1차 직무모델 안을 마련하였다. 2단계는 1차 직무모델 안에 대하여 전문가 평가 위원들로부터 타당도를 검증하여 2차 직무모델 안을 도출 하였다. 3단계는 현재 임무수행 중에 있는 훈련부사관 소대장들을 대상으로 2차 직무모델 안에 대한 타당도, 중요도, 수행정도를 확인 후 최종 직무모델 표준안을 구성 하였다.
연구결과: 훈련부사관 소대장의 직무모델은 10개의 책무와 99개의 과업으로 구성되었다. 책무의 경우 인사. 교육훈련, 작전, 정보, 정보통신, 공보정훈, 감찰, 동원 10개로 구성되었다. 각 책무별 과업으로는 인사 : 37개, 교육훈련 : 40개 작전 : 3개, 정보 : 2개, 의무 : 9개, 군수 : 9개, 공보정훈 : 2개, 정보통신 : 1개, 감찰 : 1개, 동원 : 1개의 과업을 포함하고 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훈련부사관 소대장의 명확한 직무분석을 통해 이들이 수행 해야 할 구체적인 책무와 과업을 제시하였다. 이런 점에서 향후 훈련부사관 관련 영역에 대한 이론적 지평 확대와 연구 현장의 적용 가능성을 기대할 것으로 내다본다. 또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훈련부사관 소대장, 중대장, 교관 등 해당 직책에 맞는 직무에 반드시 필요시 되는 역량을 판단 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시 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platoon leaders serving as drill sergeant at the Korea Army Training Center and Division Recruit Training Battalions.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military personnel is essen...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platoon leaders serving as drill sergeant at the Korea Army Training Center and Division Recruit Training Battalions.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military personnel is essential in preparing for the complex and rapidly evolving nature of future warfare. In particular, drill sergeants play a vital role in helping new recruits adapt to military life and develop the combat capabilities necessary for operational success. Their responsibilities go beyond basic instruction, serving as a core element in determining the qualitative strength of military forces.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ir role, a clear and structured analysis of the duties of drill sergeants has yet to be fully presented. In response to this gap,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clarify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drill sergeants, providing foundational insight into enhancing their effectiveness and supporting the broader goal of cultivating capable military personnel for future battlefields.
The job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ACUM (Developing A Curriculum) method. In the first stage, a draft job model was developed through three rounds of workshops involving a total of 12 participants.In the second stage, the validity of the first draft job model was verified by a panel of expert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a second draft job model. In the third stage, the validity,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s of the second draft
model were assessed by current drill sergeant platoon leaders, resulting in the establishment of the final standardized job model. The job model for drill sergeant platoon leaders consists of 10 responsibilities and 99 tasks. The responsibilities are categorized into personnel, training and education, operations, intelligenc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ublic affairs, inspection, and mobilization. The tasks under each responsibility include personnel (37 tasks), training and education (40 tasks), operations (3 tasks), intelligence (2 tasks), medical services (9 tasks), public affairs (2 tasks),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1 task), inspection (1 task), and mobilization (1 task). This study provides a clear delineation of the specific responsibilities and tasks performed by drill sergeant platoon leaders, enhancing both theoretical understanding and practical application in this field. Future research is recommended to identify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not only for drill sergeant platoon leaders but also for other related positions such as company commanders and instructors.
육사 생도들의 생활 스트레스가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업지연행동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
영상정보 기반 지능형 표적 조준점 탐색 알고리즘의 실험적 검증 결과
수요 불확실성을 고려한 군 원격의료 시스템 설계 최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