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부 농어촌지역 교육기관 종사자들의 피로도에 따른 생활습관행태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Life Pattern Based on Various Degree of Fatigue of Employee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on their Subjective Oral Health Cond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416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samples for the survey were collected from teachers working at five elementary schools, three middle schools and five high schools located at the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Degree of fatigue, life pattern and oral health condition of the teaching staff were collected in order to promote and maintain their oral health. In total, 407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the collected data, a post-test was conduct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 test, using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for the difference in lifestyle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emale responden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ere in good health and perceived better oral health status showed better lifestyle. In comparison,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ere in bad health and perceived poorer oral health status showed higher levels of fatigue. The higher level of fatigue resulted in higher level of smoking, halitosis, perceived oral symptoms, and discomfort. Higher level of smoking was correlated to higher level of alcohol intake, halitosis, and xerostama symptoms. The higher level of alcohol intake showed higher level of bad eating habits, halitosis,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xerostama symptoms. Also, higher level of bad eating habits led to higher level of every factor for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The higher level of fatigue was related to poorer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higher level of halitosis, higher level of perceived oral symptoms and poorer temporomandibular joint. Poorer lifestyle was related to poorer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higher level of halitosis, xerostama symptoms, perceived oral symptoms, discomfort and poorer temporomandibular joint. While the level of fatigue had no impact on lifestyle in general, the higher level of smoking showed higher level of fatigue. Judging from the above findings, it seems that the degree of fatigue, life pattern and oral health condition had an impact on each other. Such results can be used to reduc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of teaching staff. In addition, education on oral health and the collection of basic data are essential for the formation of proper eating habits.
      번역하기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samples for the survey were collected from teachers working at five elementary schools, three middle schools and five high schools located at the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D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samples for the survey were collected from teachers working at five elementary schools, three middle schools and five high schools located at the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Degree of fatigue, life pattern and oral health condition of the teaching staff were collected in order to promote and maintain their oral health. In total, 407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the collected data, a post-test was conduct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 test, using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for the difference in lifestyle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emale responden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ere in good health and perceived better oral health status showed better lifestyle. In comparison,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ere in bad health and perceived poorer oral health status showed higher levels of fatigue. The higher level of fatigue resulted in higher level of smoking, halitosis, perceived oral symptoms, and discomfort. Higher level of smoking was correlated to higher level of alcohol intake, halitosis, and xerostama symptoms. The higher level of alcohol intake showed higher level of bad eating habits, halitosis,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xerostama symptoms. Also, higher level of bad eating habits led to higher level of every factor for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The higher level of fatigue was related to poorer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higher level of halitosis, higher level of perceived oral symptoms and poorer temporomandibular joint. Poorer lifestyle was related to poorer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higher level of halitosis, xerostama symptoms, perceived oral symptoms, discomfort and poorer temporomandibular joint. While the level of fatigue had no impact on lifestyle in general, the higher level of smoking showed higher level of fatigue. Judging from the above findings, it seems that the degree of fatigue, life pattern and oral health condition had an impact on each other. Such results can be used to reduce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of teaching staff. In addition, education on oral health and the collection of basic data are essential for the formation of proper eating habi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서연, "현장활동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흡연과 니코틴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2 장세진,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7 (17): 297-317, 2005

      3 권성준, "택시기사의 근로환경이 스트레스, 흡연 그리고 음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총신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4 한경진,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6 (6): 113-137, 2007

      5 안현우,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스트레스 반응,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K공사 직원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2004

      6 이미라, "주관적으로 인지한 구강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PRECEDE 모형 적용"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8 (28): 23-35, 2011

      7 소병교, "전문분야별 방사선사의 스트레스 수준과 스트레스 중재 요인과의 관련성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3

      8 김신혜, "일부병사들의 흡연행태와 스트레스 수준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9 정은숙, "일개 생산직 근로자들의 작업수행과 피로도와의 관계"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2 (22): 420-428, 2011

      10 이봉재, "음주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음주로 인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3 (23): 193-212, 2007

      1 최서연, "현장활동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흡연과 니코틴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2 장세진,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7 (17): 297-317, 2005

      3 권성준, "택시기사의 근로환경이 스트레스, 흡연 그리고 음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총신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4 한경진,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6 (6): 113-137, 2007

      5 안현우,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스트레스 반응,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K공사 직원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2004

      6 이미라, "주관적으로 인지한 구강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PRECEDE 모형 적용"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8 (28): 23-35, 2011

      7 소병교, "전문분야별 방사선사의 스트레스 수준과 스트레스 중재 요인과의 관련성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3

      8 김신혜, "일부병사들의 흡연행태와 스트레스 수준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9 정은숙, "일개 생산직 근로자들의 작업수행과 피로도와의 관계"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2 (22): 420-428, 2011

      10 이봉재, "음주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음주로 인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3 (23): 193-212, 2007

      11 신원우, "심리적 취약성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음주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1 (21): 81-105, 2010

      12 김인아, "심리적 스트레스가 턱관절 장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구강 악습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12

      13 정유진, "성인의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치위생학회 15 (15): 47-54, 2015

      14 김영임, "성인의 운동실천양상과 건강수준 간 관련요인분석 –초등학교 교직원을 중심으로" 한국학교보건학회 13 (13): 231-240, 2000

      15 차경태, "사무직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와 피로"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0 (20): 182-192, 2008

      16 임경순, "비닐하우스 농작업자의 피로도와 주관적 신체증상에 관한 연구" 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28 (28): 15-29, 2003

      17 박금순, "도시지역 직장남성의 식습관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0 (10): 435-442, 1995

      18 이희우,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서울시 교직원의 피로요인 탐색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 19 (19): 79-88, 2006

      19 송지영, "대학생들의 음주관련 인식, 음주실태 및 건강관리습관과의 관련성 연구"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0 조혜진,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가 구강건조감 및 구강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과학회 12 (12): 634-643, 2012

      21 이명선, "근로자의 생활습관이 THI에 의한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13 (13): 24-34, 1996

      22 이병철, "근로시간 단축 사무직 근로자의 피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4

      23 조경희, "구강건강상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1

      24 신선미, "교직원 중 비흡연자와 흡연자의 건강상태비교" 한국학교보건학회 18 (18): 133-140, 2005

      25 설미화, "교대 근무간호사의 피로도, 수면양상, 수면장애, 수면박탈증상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26 탁진국, "개인의 성격특성과 생활사건이 음주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5 (5): 73-83, 2000

      27 Bergström, J., "Co-twin Contro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Some Periodontal Disease Factors" 11 (11): 113-116, 1983

      28 Preber, H., "Cigartte Smoking, Oral Hygiene and Periodontal Health in Swedish Army Conscripts" 7 (7): 106-113,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더보기

      연관 공개강의(KOCW)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