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복합적 욕구를 지닌 취약집단에게 지역사회보호의 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서비스 통합을 추구할 때, 공공전달체계를 어떻게 재조직화 할 것인가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복합적 욕구를 지닌 취약집단에게 지역사회보호의 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서비스 통합을 추구할 때, 공공전달체계를 어떻게 재조직화 할 것인가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 연구는 복합적 욕구를 지닌 취약집단에게 지역사회보호의 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서비스 통합을 추구할 때, 공공전달체계를 어떻게 재조직화 할 것인가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사례관리의 주요 기능인 ‘욕구 사정과 서비스 연계’를 수행하는 공공부문 사업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이하 'FGI'로 표기)를 실시하였다. 통합사례관리, 취약계층아동통합서비스, 자활사례관리, 의료급관리, 방문건강관리, 정신건강증진센터의 정신건강사례관리, 중독관리지원센터의 중독사례관리, 노인돌봄기본서비스 등 총 8개 서비스가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 공공부문 사례관리 사업간 연계의 어려움에는 사업 간 분절적 개입 범위와 절차, 적정 인력 확보와 배치의 제한, 서비스 대상자와 자원에 대한 정보 단절 등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서비스 통합 노력과 해법에는 시군구 차원의 권한있는 서비스 조정 기구 설치, 사업 간 연계를 위한 구조와 교류 절차 마련, 읍면동의 게이트웨이 기능 강화와 전문인력 전진 배치, 서비스 조직의 물리적 환경과 구조 변화 등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문헌 분석과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소극적 서비스 통합 전략의 기능적 연계 모형과 적극적 서비스 통합 전략의 조직 통합 모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안적 서비스 통합 모형 구축을 위한 필요 요소를 제언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길현종, "한국 고용·복지서비스 전달체계 현황과 과제: 일선 서비스 공급자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14
2 김성재, "포커스그룹 연구방법" 현문사 2000
3 홍성대, "통합적 사례관리 및 자원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총론" 보건복지부‧사회보장정보원 2011
4 김용득, "커뮤니티 케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 238 : 5-10, 2018
5 정은희, "취약‧위기가족 및 다문화가족의 예방맞춤형 복지체계 구축 및 통합사례관리 연구(4차년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6 민소영,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와 복지관 협력모델 및 역할 제언연구" 서울시복지재단 2018
7 보건복지부, "지역사회통합돌봄모델, 지역이 만들어간다"
8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중심 복지구현을 위한 커뮤니티케어 추진방향" 보건복지부 커뮤니티케어 추진단 2018
9 김용득, "지역사회 사례관리체계에서 공공과 민간의 역할, 이대로 괜찮은가? - 경직된 실천과 파편적 제도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7 (17): 241-266, 2015
10 민소영, "지역기반 정신보건서비스 조직의 네트워킹 결정요인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34) : 5-29, 2010
1 길현종, "한국 고용·복지서비스 전달체계 현황과 과제: 일선 서비스 공급자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14
2 김성재, "포커스그룹 연구방법" 현문사 2000
3 홍성대, "통합적 사례관리 및 자원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총론" 보건복지부‧사회보장정보원 2011
4 김용득, "커뮤니티 케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 238 : 5-10, 2018
5 정은희, "취약‧위기가족 및 다문화가족의 예방맞춤형 복지체계 구축 및 통합사례관리 연구(4차년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6 민소영,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와 복지관 협력모델 및 역할 제언연구" 서울시복지재단 2018
7 보건복지부, "지역사회통합돌봄모델, 지역이 만들어간다"
8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중심 복지구현을 위한 커뮤니티케어 추진방향" 보건복지부 커뮤니티케어 추진단 2018
9 김용득, "지역사회 사례관리체계에서 공공과 민간의 역할, 이대로 괜찮은가? - 경직된 실천과 파편적 제도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7 (17): 241-266, 2015
10 민소영, "지역기반 정신보건서비스 조직의 네트워킹 결정요인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34) : 5-29, 2010
11 중앙정신보건사업지원단, "중증정신질환자 지역사회기반 서비스 구축 전략: 서비스별 수요 추계 중심으로" 2017
12 김문근, "장기입원 정신질환자의 탈시설화를 위한 정신보건전달체계 개편 방안: 정신보건기관 기능개편에 관한 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3 (43): 31-57, 2016
13 최지선, "서비스통합전략으로서의 사례관리실천경험에 관한 연구 - 안산시통합서비스네트워크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2 (12): 57-88, 2010
14 김영종, "사회복지행정" 학지사 2017
15 강창현, "사회복지서비스 공급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노인지역보호서비스의 정부·시장·NGO간 협력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16 김신열, "사회복지 서비스 통합과 네트워크" 47-74, 2007
17 보건복지부, "사회보장위원회 커뮤니티케어 전문위원회 1차 회의자료"
18 성은미, "복지와 일자리의 통합적 제공을 위한 전달체계 모형 개발 연구" 경기복지재단 2013
19 보건복지부, "발달장애인 등의 자립생활 및 정신질환자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지원방안 논의: 커뮤니티케어 추진본부 3차회의"
20 보건복지부, "독거노인돌봄서비스관련 보도설명자료"
21 보건복지부, "국가 정신건강현황 2차 예비조사 결과보고서" 보건복지부·국립정신건강센터 2016
22 황미경, "공공 사회복지전달체계 내 통합사례관리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0) : 49-67, 2009
23 Durbin J, "Qua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primary health care and mental health care: An examination of referral and discharge letters" 39 (39): 445-461, 2012
24 Cresswell, J.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Sage Publications 1998
25 Intagliata, J, "Improving the quality of community care for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The role of case management" 8 (8): 655-674, 1982
26 Agranoff, "Human services integration: Past and present challenges in public administration" 51 (51): 533-542, 1991
27 Austin, D, "Human Services Management: Organizational Leadership in Social Work Practic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
28 Durbin, J, "Does systems integration affect continuity of mental health care" 33 : 705-717, 2006
29 Shern, D. L, "Designing community treatment systems for the most seriously mentally ill: A state administrative perspective" 45 (45): 105-117, 1989
시장원리와 정보공개 정책은 노인요양시설의 질 개선을 가지고 오는가?: 기관의 평가등급유지와 이탈을 중심으로
발달장애인 공공후견과정의 쟁점과 딜레마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적경제 조직의 복합목적 특성이 복합자원동원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다중이해관계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사회복지정책 18집 -> 사회복지정책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3 | 1.43 | 1.2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4 | 1.42 | 1.617 | 0.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