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사에서 근대불교는 19세기 후반부터 1945년까지를 말한다. 왕조체제를 청산하고 근대사회로 이행하기 위해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고친 이후부터 일본의 지배에서 해방된 시기까지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17873
-
2006년
Korean
한국 민족불교 ; 근대화 과정 ; 한국 근대불교 ; 정체성 ; 자주화 ; 친일불교 ; 불교개혁론 ; 종교정책 ; 제국주의 ; 민족독립 ; 대중불교 ; 불교문화 ; 한국문화 ; 서구사상 ; 개항 ; 항일운동 ; 전통문화 ; 식민정책 ; National Buddhism in Korea ; Process of modernization ; Modern Buddhism in Korea ; Identity ; Independence ; Pro-Japanese Buddhism ; Discussion on Buddhist reform ; Religious policy ; Imperialism ; National independence ; Public Buddhism ; Buddhist culture ; Korean culture ; Western thought ; Opening a port ; Resist-Japan movement ; Traditional culture ; Colonial policy.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불교사에서 근대불교는 19세기 후반부터 1945년까지를 말한다. 왕조체제를 청산하고 근대사회로 이행하기 위해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고친 이후부터 일본의 지배에서 해방된 시기까지가 ...
한국불교사에서 근대불교는 19세기 후반부터 1945년까지를 말한다. 왕조체제를 청산하고 근대사회로 이행하기 위해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고친 이후부터 일본의 지배에서 해방된 시기까지가 이 시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의 한국불교는 1870년대 이후 등장한 각종 신앙결사 활동, 열강의 침탈에 수반된 일본불교의 전래, 근대화를 위한 개화파 승려와 지식인의 활동 등이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불교의 흐름이었으므로 근대불교의 시작으로 설정하였다.
근대불교는 숭유억불의 중세적 모순에서 탈피하여 19세기 후반 급변하는 세계질서와 문화조류를 적극 수용하고 불교의 자주적 발전을 모색하면서 시작되었다. 개화사상을 선도한 불교계 인사와 철저한 수행결사를 통해 불교정신의 고양을 모색했던 경허 등 근대불교의 선각자들이 이 시기에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서구열강의 침탈과 국권상실이라는 비운을 겪으면서 불교의 근대적 발전은 유예될 수밖에 없었다. 일본의 군국주의에 편승한 종교정책으로 불교계는 자주성을 상실하고, 때로는 ‘친일불교’의 오명까지도 감수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한용운과 백용성, 그리고 박한영 등은 민족 고유의 불교사상과 정신을 수호하기 위해 헌신하면서 민족불교의 맥을 이어 나갔다. 이민족의 압제와 침탈, 이에 대응하여 민족정신에 입각한 불교개혁론의 제창 등이 근 현대 불교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 시대의 불교를 역사의 발전적 관점에서 ‘민족불교’라고 통칭하고자 한다.
한국분과에서는 ‘한국 근대 민족불교의 부침과 자주화의 모색’이라는 주제를 설정하고, 전체 연구의 기획에 따라 [정치․사회], [사상․인물], [교육․수행], [포교․문화] 네 분야로 나누고, 다시 17개의 주제를 상정하여 그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또한 근대화 과정에서의 한․중․일 삼국의 불교문화 변용을 비교, 연구한다는 점에서 국제사회 속에서 한국의 근대불교를 재조명하고 올바른 정체성을 정립하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국문 초록 (Abstract)
1. 제1세부 과제 개요와 연구방법 1) 연구개요와 연구 진행방법 2) 2006년 상반기 연구주제 및 변동사상 3) 2006년 주제별 연구인력 배치 현황 2. 중국 현지 학술답사 및 학술교류 3...
1. 제1세부 과제 개요와 연구방법
1) 연구개요와 연구 진행방법
2) 2006년 상반기 연구주제 및 변동사상
3) 2006년 주제별 연구인력 배치 현황
2. 중국 현지 학술답사 및 학술교류
3. 연구 성과 중간발표회 및 연구 결과
1) 중간발표회 개요와 성과
2) 완료된 논문의 개요
3)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연구의 진척 상황
4. 전임연구인력 연구 참여 내용
5. 차년도(2007년) 수행할 연구내용
6. 참고문헌
7. 연구비 집행정산 내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