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정치인의 성희롱 위기로 인한 진실성 회복과 사과주체의 평판타격을 극복하고 사과대상의 평판회복을 위해 효과적인 유형과 고려해야 할 요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정치인의 성희롱 위기로 인한 진실성 회복과 사과주체의 평판타격을 극복하고 사과대상의 평판회복을 위해 효과적인 유형과 고려해야 할 요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 연구는 정치인의 성희롱 위기로 인한 진실성 회복과 사과주체의 평판타격을 극복하고 사과대상의 평판회복을 위해 효과적인 유형과 고려해야 할 요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과메시지 유형화와 코더들의 평가를 근거로 한 탐색적 반응분석과 공중을 대상으로 한 확증적 반응분석을 실시하였다. Coombs의 관점에서 볼 때 정치인의 성희롱은 직업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책임성이 높은 범죄에 해당하며, 해당하는 대응전략은 수용의 정도가 높은 사과나 시정조치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선정된 59건의 보도기사를 분석한 결과, 성희롱 사건발생시 정치인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유형은 공격자공격 13건, 부정 10건, 변명이 가장 많은 14건으로 비슷하게 나타났고, 3가지 전략유형이 전체 3분의 2에 해당하였다. 즉, 공격이나 부정 등 위기 사안에 대한 책임성을 낮추며 방어적인 전략으로 일관하고 있다. 실험연구 결과에 의하면, 사과대상인 정치인의 위기에 대한 메시지의 진실성을 높이기 위해서 성희롱 위기에 대한 현재와 같은 방어적 전략인 공격자공격, 부정, 변명 등의 메시지 유형보다는 성희롱에 대한 도의적 책임을 인정하고 공중의 비난을 받아들이는 사과전략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실성에 대한 분석은 용이하나, 사과주체의 평판타격, 사과대상의 평판회복을 위해서는 메시지 전략 모두 위기의 해결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성희롱 위기사안의 경우 보다 다양한 PR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공중들은 '성희롱'을 정치인에 대한 책임의 정도가 높은 위기로 인식하며, 그러므로 성희롱에 대한 비난이 상대적으로 높다. 때문에 정치인들이 위기를 극복하고 이미지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공중으로 하여금 사안에 대한 책임을 지고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욱, "행정기관 이미지 회복 전략의 수사학적 분석:경기도 교육청 입시 재배정 파문을 중심으로" 한국홍보학회 6 (6): 1-42, 2002
2 유종숙, "위기시 기업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형태 비교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9 (9): 104-128, 2007
3 김영욱, "위기관리의 이해-공중 관계와 위기관리 커뮤니케 이션" 책과길 2002
4 이현우,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Coombs, T. W. (1999) On Going Crisis Communication)"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3
5 백진숙, "위기 커뮤니케이션 메시지의 메시지 유형에 따른 공중의 반응 연구" 8 (8): 184-229, 2006
6 김영욱, "우리나라 조직의 사과 수사학 : 신문에 난 사과광고문의 내용과 수용여부 분석" 한국광고학회 17 (17): 179-207, 2006
7 정충영, "우리나라 대학생의 기업윤리에 관한 태도" (27) : 48-88, 1998
8 이상빈, "마케팅․광고척도 핸드북" 학지사 2000
9 이철한, "담배회사의 이미지 회족 전략 분석과 효과측정 연 구" 9 (9): 135-161, 2007
10 이상경, "기업의 제품 관련 위기 유형과 대응 전략별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9 (9): 186-218, 2007
1 김영욱, "행정기관 이미지 회복 전략의 수사학적 분석:경기도 교육청 입시 재배정 파문을 중심으로" 한국홍보학회 6 (6): 1-42, 2002
2 유종숙, "위기시 기업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형태 비교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9 (9): 104-128, 2007
3 김영욱, "위기관리의 이해-공중 관계와 위기관리 커뮤니케 이션" 책과길 2002
4 이현우,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Coombs, T. W. (1999) On Going Crisis Communication)"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3
5 백진숙, "위기 커뮤니케이션 메시지의 메시지 유형에 따른 공중의 반응 연구" 8 (8): 184-229, 2006
6 김영욱, "우리나라 조직의 사과 수사학 : 신문에 난 사과광고문의 내용과 수용여부 분석" 한국광고학회 17 (17): 179-207, 2006
7 정충영, "우리나라 대학생의 기업윤리에 관한 태도" (27) : 48-88, 1998
8 이상빈, "마케팅․광고척도 핸드북" 학지사 2000
9 이철한, "담배회사의 이미지 회족 전략 분석과 효과측정 연 구" 9 (9): 135-161, 2007
10 이상경, "기업의 제품 관련 위기 유형과 대응 전략별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9 (9): 186-218, 2007
11 김인숙, "공중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변인들에 대한 연구: 성희롱 문제에 대하여" 5 (5): 62-84, 2001
12 Ware, R. E., "They Spoke in Defense of Themselves: On the Generic Criticism of Apologia" 59 : 273-288, 1973
13 Nelson, J., "The defense of Billy Jean King" 48 : 92-102, 1984
14 Hainesworth, B. E., "The Distribution of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16 : 33-39, 1990
15 Coombs, W. Timothy, "Teaching the Crisis Management /Communication Course" 27 : 89-101, 2001
16 차희원, "PR과 기업 명성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 PR 개념, 기능 및 PR팀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8 (8): 216-255, 2004
17 Coombs, W. Timothy, "On Going Crisis Communication : Planning, Managing and Responding" Sage 1999
18 Mitroff, I. I., "Managing Crises Before They Happen : What Every Executive Needs to Know About Crisis Management" AMACOM 2001
19 Grunig, J. E., "Image and Substance: From Symbolic to Behavioral Relations" 19 (19): 80-98, 1993
20 Benoit, W. L., "Gary Condit's Image Repair Strategies: Determined denial and Differentiation" 30 (30): 95-106, 2004
21 Vetabedian, R. A., "From Checkers to Watergate: Richard Nixon and the Art of Contemporary Apologia" 22 : 52-61, 1985
22 Harrell, J., "Failure of Apology in American Politics: Nixon on Watergate" 42 : 245-261, 1975
23 Benoit, W. L., "Accounts, Excuses, apologies: A Theory of Image Restoration Strategi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5
Collaborative Information Technology(CIT) Applications in Post-Disaster Public-Private Partnerships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9-2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2-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외국어명 :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 Crisisonomy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8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5 | 0.86 | 1.09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