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Effects of Some Growth Retardants on the Growth of Starkrimson Apple Tree = 生長억제 物質에 依한 사과 Starkrimson의 生育에 關한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6471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75年 4月에 最近導入된 사과나무 品種中 一年生 StarKrimson苗木을 供試하여 市販되고 있는 생장 억제 물질인 Alar. C.C.C.와 M.C.를 供試 약품으로 하여 果木의 生長과 花芽分化 및 葉의 生育에 對하여 調査하였으며 供試한 苗木은 三葉海堂에 M.26을 二重接木한 것을 慶北大學校 附屬 果樹園에 栽植後 本 實驗을 行하였다. 本實驗에서 얻어진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果木 가지의 生長은 Alar 0.5%처리구가 平均 37.4㎝로서 가장 좋았으며 C.C.C. 0.5%구가 27.8㎝로서 가장 짧았다.
      2) 果木가지의 直徑 生長은 Alar구가 0.75㎝로서 가장 좋았고 대조구가 0.52㎝로 가장 不良하였다.
      3) 枝의 節數는 C.C.C.구가 平均 17個로서 가장 많았고 Alar구가 12個로서 가장 적었다.
      4) 單位길이당 葉數는 Alar구가 28枚로서 가장 많았고 葉重과 葉厚에 있어서는 M.C.구가 各各 133gr와 0.75㎝로서 가장 높았다.
      5) 花芽形成에 있어서는 Alar구가 19個로서 대조구의 그것보다 約 5個 더 많았다.
      번역하기

      1975年 4月에 最近導入된 사과나무 品種中 一年生 StarKrimson苗木을 供試하여 市販되고 있는 생장 억제 물질인 Alar. C.C.C.와 M.C.를 供試 약품으로 하여 果木의 生長과 花芽分化 및 葉의 生育에 對...

      1975年 4月에 最近導入된 사과나무 品種中 一年生 StarKrimson苗木을 供試하여 市販되고 있는 생장 억제 물질인 Alar. C.C.C.와 M.C.를 供試 약품으로 하여 果木의 生長과 花芽分化 및 葉의 生育에 對하여 調査하였으며 供試한 苗木은 三葉海堂에 M.26을 二重接木한 것을 慶北大學校 附屬 果樹園에 栽植後 本 實驗을 行하였다. 本實驗에서 얻어진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果木 가지의 生長은 Alar 0.5%처리구가 平均 37.4㎝로서 가장 좋았으며 C.C.C. 0.5%구가 27.8㎝로서 가장 짧았다.
      2) 果木가지의 直徑 生長은 Alar구가 0.75㎝로서 가장 좋았고 대조구가 0.52㎝로 가장 不良하였다.
      3) 枝의 節數는 C.C.C.구가 平均 17個로서 가장 많았고 Alar구가 12個로서 가장 적었다.
      4) 單位길이당 葉數는 Alar구가 28枚로서 가장 많았고 葉重과 葉厚에 있어서는 M.C.구가 各各 133gr와 0.75㎝로서 가장 높았다.
      5) 花芽形成에 있어서는 Alar구가 19個로서 대조구의 그것보다 約 5個 더 많았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