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이 중국과 국제 관계를 맺는 것은 역사상 ‘중국(中國)’ 또는 ‘중화(中華)’라는 개념이 출현한 이후에야 가능하다. 중국에서 천하(天下)나 사해(四海)의 개념이 성립한 시점은 대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58467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65-206(4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고조선이 중국과 국제 관계를 맺는 것은 역사상 ‘중국(中國)’ 또는 ‘중화(中華)’라는 개념이 출현한 이후에야 가능하다. 중국에서 천하(天下)나 사해(四海)의 개념이 성립한 시점은 대개...
고조선이 중국과 국제 관계를 맺는 것은 역사상 ‘중국(中國)’ 또는 ‘중화(中華)’라는 개념이 출현한 이후에야 가능하다. 중국에서 천하(天下)나 사해(四海)의 개념이 성립한 시점은 대개 전국시대(戰國時代) 이후부터이고, 진(秦)․한(漢) 제국의 통일 이후에야 체계적인 이론이 완성되었다. 따라서 동아시아가 중국 중심의 국제 질서에 들어가는 진(秦)․한(漢) 시기부터 고조선의 외교 관계를 명확히 할 수 있고, 그 이전 단계는 경제적 교역만을 이야기 할 수 있다.
전국시대에 저술된 문헌 기록에서는 고조선과의 국제 관계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 않아 기원전 4세기 이전 고조선과 중국의 외교 관계를 말하기 어렵다. 단지 경제적 교역이나 문화적 교류를 이야기 할 수 있다.
전국시대의 고조선은 요동군(遼東郡)의 외곽에 위치하여 실질적으로 중국의 변군(邊郡)과 같은 국가로서 연(燕)에 사신을 파견하고, 요동군과 관계를 맺으면서 성장해 나갔다. 진대(秦代)에 이르러 고조선은 진(秦)에 내속(內屬)하여 간접적이고 집단적 지배 체제로 편입되었다. 영토는 진(秦)의 군현(郡縣)에 직접 편입되지 아니하였고, 고조선의 고유한 지배질서를 유지하였다.
기원전 2세기 초 위만(衛滿)의 등장 이후 고조선은 한(漢)의 외신(外臣)으로서 중국과 관계를 맺었다. 그 외교 형식은 한(漢) 황제로부터 관직(官職)과 인수(印綬)를 사여 받아 제후국(諸侯國)으로서 국가를 통치하는 형태였다. 당시 고조선은 한(漢) 왕실에 조공을 바치고 회사(回賜)라는 경제적 관계를 맺는 책봉(冊封) 체제에 편입되어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only possible for Gojoseon to have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China after the concept of “China” or “Chinese” emerged in history. In China, the concept of the whole world(天下) was established after the Warring States, and only after...
It is only possible for Gojoseon to have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China after the concept of “China” or “Chinese” emerged in history. In China, the concept of the whole world(天下) was established after the Warring States, and only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Qin(秦) and Han(漢) empires, a systematic theory was completed. It is possible to clarify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Gojoseon and Han since the Qin and Han periods, when East Asia enters the international order centered on China. The previous phase can only be talked about economic trade.
Literature records authored in the Warring States do not mention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Gojoseon, making it difficult to say the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Gojoseon and China before the 4th century B.C.. We can only talk about economic trade or cultural exchange.
The Gojoseon of the Warring States was located on the outskirts of Liaodong County(遼東郡), and it grew up by sending envoys to Yan(燕) and establishing relations with Liaodong County. At the era of the Qin(秦), Gojoseon was incorporated into the system of indirect and collective control in Qin. Territories were not directly incorporated into the County of Qin (秦), but maintained a unique control order of Gojoseon.
Since the emergence of Wiman in the early 2nd century B.C., Gojoseon has established relations with China as an feudal lords[外臣] for Han. The form of diplomacy was appointed by the emperor Han and ruled the country as an imperial power. At that time, Gojoseon made an economic relationship in which he offered tributes to the Han royal family and received gifts for the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權五重, "樂浪郡 硏究: 中國 古代邊郡에 대한 事例的 檢討" 一潮閣 1992
2 김한규, "한중관계사 Ⅰ" 아르케 1999
3 이청규, "한중 교류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청동기시대부터 철기시대까지" 한국고대사학회 32 : 95-130, 2003
4 노태돈,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고대편)" 동북아역사재단 2019
5 노태돈,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 고대 편" 2018
6 김정배, "한국사 4" 국사편찬위원회 1997
7 김철준, "한국사 2" 국사편찬위원회 1977
8 최몽룡, "한국고대국가형성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9 최몽룡, "한국 고대의 국가와 사회" 역사학회 1985
10 윤용구, "한국 고대사 연구의 새동향" 서경문화사 2007
1 權五重, "樂浪郡 硏究: 中國 古代邊郡에 대한 事例的 檢討" 一潮閣 1992
2 김한규, "한중관계사 Ⅰ" 아르케 1999
3 이청규, "한중 교류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 -청동기시대부터 철기시대까지" 한국고대사학회 32 : 95-130, 2003
4 노태돈,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고대편)" 동북아역사재단 2019
5 노태돈,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 고대 편" 2018
6 김정배, "한국사 4" 국사편찬위원회 1997
7 김철준, "한국사 2" 국사편찬위원회 1977
8 최몽룡, "한국고대국가형성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9 최몽룡, "한국 고대의 국가와 사회" 역사학회 1985
10 윤용구, "한국 고대사 연구의 새동향" 서경문화사 2007
11 송호정, "한국 고대사 속의 고조선사" 푸른 역사 2003
12 김창석, "한국 고대 대외교역의 형성과 전개"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13 김병준, "중국고대 簡牘자료를 통해 본 낙랑군의 군현지배" 역사학회 (189) : 139-173, 2006
14 이성시, "일본 역사학계의 동아시아세계론에 대한 재검토 - 한국학계와의 대화로부터 -" 역사학회 (216) : 57-80, 2012
15 김한규, "요동사" 문학과 지성사 2004
16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역주 고조선사료집성(중국편)" 새문사 2019
17 임기환, "새로운 한국사 길잡이" 지식산업사 2007
18 노중국, "삼국의 역관계 변화에 대한 일고찰" 28 : 1981
19 劉仁善, "베트남史" 民音社 1984
20 오강원, "동북아시아 선사 및 고대사 연구의 방향" 학연문화사 2004
21 이남규, "낙랑 문화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6
22 최몽룡, "김철준박사화갑기념논총" 1983
23 박준형, "기원전 7세기 중반 동북아시아의 국제관계와 고조선의 위상" 백산학회 (106) : 61-87, 2016
24 조원진, "고조선의 발전과 대외관계 연구" 세종대학교 2017
25 박준형, "고조선의 대외관계사 연구를 위한 새로운 모색 -조공책봉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95) : 5-32, 2019
26 박준형, "고조선의 대외 교역과 의미-춘추 제와의 교역을 중심으로" 고구려연구재단 2 : 2004
27 盧泰敦, "고조선 중심지의 변천에 대한 연구" 23 : 1990
28 이성규, "고대 중국인이 본 한민족의 원류" 32 : 2003
29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30 이청규, "靑銅器를 통해 본 古朝鮮과 주변사회" 고구려연구재단 2005
31 송호정, "衛滿朝鮮의 王儉城 위치에 대한 최근 논의와 비판적 검토" 호서사학회 (92) : 5-42, 2019
32 金翰奎, "衛滿朝鮮關係 中國側史料에 대한 再檢討" 8 : 1980
33 佟柱臣, "考古學上漢代及漢代以前的東北疆域" 56 (56): 1956
34 李大龍, "漢唐藩屬體制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6
35 東郭士, "東北古史資料叢編 第一卷 先秦~三國" 遼瀋書社 1989
36 西嶋定生, "日本歷史 제2권, 岩波講座古代2" 岩波書店 1962
37 김유철, "日本學界의 東아시아 世界論에 대한 비판적 검토" 경상대 사회과학연구원 5 : 1987
38 窪添慶文, "日本古代史講座 3" 學生社 1981
39 栗原朋信, "岩波講座 世界歷史 4" 岩波書店 1970
40 鶴間和幸, "岩波講座 世界歷史 3" 岩波書店 1998
41 강인욱, "古朝鮮의 毛皮貿易과 明刀錢" 한국고대사학회 (64) : 243-284, 2011
42 박준형, "古朝鮮의 春秋 齊와 교류 관계" 백산학회 (95) : 37-66, 2013
43 서영수, "古朝鮮의 對外關係와 疆域의 變動"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29 : 1999
44 박대재, "古朝鮮과 燕 齊의 상호관계-기원전 4세기말-3세기초 전쟁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83) : 1-38, 2006
45 李鍾旭, "古朝鮮史硏究" 一潮閣 1993
46 宋鎬晸, "古朝鮮 國家形成 過程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9
47 김한규, "古代中國的世界秩序硏究" 一潮閣 1982
48 張榮芳, "南越國史" 廣東人民出版社 2008
49 上海辭書出版社, "中國歷史大辭典, 先秦史 편" 1996
50 佟冬, "中國東北史 第一卷" 吉林文史出版社 1998
51 李春植, "中國古代史의 展開" 藝文出版社 1986
52 堀敏一, "中國と古代東アジア世界" 岩波書店 1993
1950~60년대 『조선통사(상)』 간행과 북·소 역사학계 갈등
『조선사 개요』(1957)의 早期봉건사회설과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사강좌
경합하는 ‘혁명전통’ - 북한 초기 역사학계의 민족해방운동사 이해와 재구축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1 | 1.11 | 1.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3 | 1.05 | 2.153 | 0.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