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1963년 북한의 김석형에 의해 처음 제기된 삼한․삼국 분국설이 구상된 계기와 학적 배경, 구사한 학문적 방법론, 그리고 그 학설이 한국 학계에 미친 파급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58465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9-124(3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63년 북한의 김석형에 의해 처음 제기된 삼한․삼국 분국설이 구상된 계기와 학적 배경, 구사한 학문적 방법론, 그리고 그 학설이 한국 학계에 미친 파급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
이 글은 1963년 북한의 김석형에 의해 처음 제기된 삼한․삼국 분국설이 구상된 계기와 학적 배경, 구사한 학문적 방법론, 그리고 그 학설이 한국 학계에 미친 파급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김석형은 1963년 「삼한 삼국의 일본 렬도 내 분국(分國)들에 대하여」라는 논문과 1966년 초기조일관계연구라는 단행본을 통해 삼한과 삼국이 일본 열도에 식민지 국가를 건설했다는 이른바 분국설을 제시하였다. 분국설은 문헌사학과 고고학, 그리고 신화학 등 다방면에서의 치밀한 검토를 통해 제기된 것이었고, 김석형 개인이 아닌 북한 학계의 집단적 토의의 산물로도 볼 수 있었다.
분국설 구상의 배경에는 1960년대 북한 학계의 학적 경향성이 있었다. 분국설이 제기되기 전 북한 역사학의 당면 과제는 ‘고대’의 사회경제 구성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이 과제는 1962년판 조선통사(상)에서 삼국이전의 고조선과 부여․진국을 고대노예제사회로 삼국시대를 중세봉건적사회로 명확하게 구분하여 서술함으로써 해결되었다. 1961년말 새로운 연구주제로서 ‘대외관계사’가 설정되고 있다. 이 시점을 전후로 ‘고대’의 사회경제 구성에 대한 논쟁이 마무리되고 있던 것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설정이 분국설 구상의 기반이 되었다. 이 시기 김석형의 글에서는 분국설 구상에 김일성의 교시가 영향을 주었음을 추정케 하는 내용 또한 확인할 수 있다.
김석형은 “우리 역사를 관통하고 있는 일반적 합법칙성”에 입각하여 역사적 사실을 파악하려 하였고, 이러한 일반적 합법칙성을 한일 관계사 연구에 적용하는 수단으로 고고학 자료의 이용을 선택하였다. 이를 통해 일본의 非과학적인 역사 해석을 과학적 방법론을 통해 비판한 과학적 역사 해석을 이루었다고 자부할 수 있었다. 또한 분국설의 임나일본부설 비판은 단순히 각각의 국가적 입장을 반영하는 편향적 국수주의가 아니라 보편적 해석으로 非보편적 해석을 배격하는 합리적 비판이라는 외피를 쓸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 합법칙성의 적용은 당시 북한 학계에서 고조선 문화계통의 전파론․외인론을 부정하는 입장에서 비판했던 사례를 통해 볼 때 편의적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이것이 훗날 분국설이 그 연구사적 의의만을 남긴 채 학문적 생명력을 상실해 간 가장 큰 원인으로 생각된다.
남한에서 분국설은 비슷한 시기 제시되었던 江上波夫의 기마민족설과 함께 주목받았고 그것이 기마민족설보다 합리적인 학설임이 높게 평가받기도 했다. 이러한 경향은 제3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에 분국설의 내용이 반영되는 것으로 이어졌다. 또한 분국설의 관점은 일제식민주의 역사학의 극복이라는 측면에서 상당 부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졌다. 다만 현재 이른바 사이비 역사가들에 의한 역사학계 비판이 김석형
의 분국설을 답습한 상태에서 일제 식민주의 역사학 비판이라는 외피를 쓰고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은 분국설의 현재적 의미를 검토하는 데 연구자의 고민을 야기하는 현상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reviewed the theory of Bunguk(分國, a kind of colony) of Samhan and the three kingdoms of Korea that Kim Seokhyeong of North Korea first raised in 1963. The main points are as follows: the reason of conceiving the theory, the academic b...
This article reviewed the theory of Bunguk(分國, a kind of colony) of Samhan and the three kingdoms of Korea that Kim Seokhyeong of North Korea first raised in 1963. The main points are as follows: the reason of conceiving the theory, the academic background of his conception of the theory, the academic methodology used to conceive the theory, and the effect of his theory on the Korean academia. The abov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theory of Bunguk was the result of the collective discussion of North Korean academia, not the result produced by Kim Seokhyeong alone.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rough Kim Seokhyeong’s writings that Kim Il-sung"s teaching influenced the conception of the theory. He tried to grasp the historical facts based on the “universal regularity(一般的合法則性, allgemeine Gesetzmäßigkeit)”, and tried to apply it to 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Japan relations using archaeological data. It was a general trend in North Korean academia. However, it is possible to criticize the expediency of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regularity”. It can be the circumstantial evidence that the case of North Korean academia’s criticism of the diffusionism of Gojoseon cultural system.
In Korea, the theory of Bunguk was positively accepted in terms of overcoming colonial history. It was even described in the textbook. However, the theory is not significantly handled at present, because it lost the academic vitality due to the empirical problem. However, pseudo-history academia is actively using this theory as an important basis for the decrial of the history academia. This causes concern for researchers who are examining the current meaning of this theor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석형, "초기조일관계연구" 사회과학원출판사 1966
2 과학원 력사연구소, "조선통사(상)" 과학원출판사 1956
3 과학원 력사연구소, "조선통사(상)" 과학원출판사 1962
4 이정빈, "제3차 교육과정기 고등학교 『국사』의 한국고대사 서술과 특징" 역사와교육학회 (27) : 85-125, 2018
5 김일수, "이병도와 김석형―실증사학과 주체사학의 분립" 역사문제연구소 (82) : 96-125, 2008
6 위가야, "욕망 너머의 한국 고대사 : 왜곡과 날조로 뒤엉킨 사이비역사학의 욕망을 파헤치다" 서해문집 2018
7 김용섭, "역사의 오솔길을 가면서-해방세대 학자의 역사연구 역사강의-" 지식산업사 2011
8 김일수, "역사가 金錫亨의 역사학" 부산경남사학회 (54) : 31-70, 2005
9 권오영, "식민사학의 극복과 고대한일관계" 2 : 1989
10 김석형, "삼한 삼국의 일본 렬도 내 분국(分國)들에 대하여" 1963 (1963): 1963
1 김석형, "초기조일관계연구" 사회과학원출판사 1966
2 과학원 력사연구소, "조선통사(상)" 과학원출판사 1956
3 과학원 력사연구소, "조선통사(상)" 과학원출판사 1962
4 이정빈, "제3차 교육과정기 고등학교 『국사』의 한국고대사 서술과 특징" 역사와교육학회 (27) : 85-125, 2018
5 김일수, "이병도와 김석형―실증사학과 주체사학의 분립" 역사문제연구소 (82) : 96-125, 2008
6 위가야, "욕망 너머의 한국 고대사 : 왜곡과 날조로 뒤엉킨 사이비역사학의 욕망을 파헤치다" 서해문집 2018
7 김용섭, "역사의 오솔길을 가면서-해방세대 학자의 역사연구 역사강의-" 지식산업사 2011
8 김일수, "역사가 金錫亨의 역사학" 부산경남사학회 (54) : 31-70, 2005
9 권오영, "식민사학의 극복과 고대한일관계" 2 : 1989
10 김석형, "삼한 삼국의 일본 렬도 내 분국(分國)들에 대하여" 1963 (1963): 1963
11 李永植, "북한의 우리고대사 인식(Ⅱ)" 대륙연구소 출판부 1991
12 이영식, "북한의 고대사 연구와 성과" 대륙연구소출판부 1994
13 노태돈, "북한 학계의 고조선사 연구동향" 41·42 : 1999
14 이경섭, "북한 초기 역사학계의 고대사 인식체계와 구상" 한국사학사학회 (36) : 109-135, 2017
15 이기동, "북한 역사학의 전개과정" 21 : 1997
16 송호정, "북한 역사학계의 거두 김석형과 한국사연구" 38 : 1997
17 김석형, "고대한일관계사" 한마당 1988
18 金哲埈, "韓國古代社會硏究"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
19 金哲埈, "韓國古代史 硏究의 回顧와 展望" 6 : 1963
20 韓永愚, "變造와 歪曲의 史學" 1985 (1985): 1985
21 金哲埈, "百濟 社會와 그 文化, In 武寧王陵發掘調査報告書" 文化在管理局 1973
22 旗田巍,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における古代日朝關係史の硏究" 284 : 1964
23 金容燮, "日本·韓國에 있어서의 韓國史敍述" 31 : 1966
24 홍종욱, "反식민주의 역사학에서 反역사학으로 - 동아시아의 ‘戰後 역사학’과 북한의 역사 서술 -" 역사문제연구소 18 (18): 70-108, 2014
25 李光麟, "北韓의 歷史學" 16 : 1988
26 金泰植, "北韓의 古代史硏究" 一潮閣 1991
27 李永植, "加耶諸國と任那日本府" 吉川弘文館 1993
28 井上秀雄, "任那日本府と倭" 東出版 1972
1950~60년대 『조선통사(상)』 간행과 북·소 역사학계 갈등
『조선사 개요』(1957)의 早期봉건사회설과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사강좌
경합하는 ‘혁명전통’ - 북한 초기 역사학계의 민족해방운동사 이해와 재구축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1 | 1.11 | 1.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3 | 1.05 | 2.153 | 0.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