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만규, "호남전통문화론" 전남대학교출판부 1999
2 조성욱, "호남(湖南)의 기준점 호(湖)는 어디일까?" 5 : 2019
3 조성욱, "지명 ‘호남(湖南)’의 형성과 지리적 범위 변화 가능성" 한국지역지리학회 14 (14): 199-211, 2008
4 범선규, "조선8도'의 별칭과 지형의 관련성" 대한지리학회 38 (38): 686-700, 2003
5 조상현, "전라도 별칭 ‘호남(湖南)’의 연원(淵源)" 한국사상문화학회 (91) : 129-153, 2018
6 조상현, "전근대 ‘湖南’의 淵源과 認識" 전남대 2016
7 김용선, "이규보 연보" 일조각 2013
8 윤홍기, "땅의 마음" 사이언스 북스 2011
9 이영호, "나일 강의 나라, 이집트를 가다" 29 : 2011
10 맥세계사편찬위원회, "그리스사" 느낌이 있는 책 2014
1 박만규, "호남전통문화론" 전남대학교출판부 1999
2 조성욱, "호남(湖南)의 기준점 호(湖)는 어디일까?" 5 : 2019
3 조성욱, "지명 ‘호남(湖南)’의 형성과 지리적 범위 변화 가능성" 한국지역지리학회 14 (14): 199-211, 2008
4 범선규, "조선8도'의 별칭과 지형의 관련성" 대한지리학회 38 (38): 686-700, 2003
5 조상현, "전라도 별칭 ‘호남(湖南)’의 연원(淵源)" 한국사상문화학회 (91) : 129-153, 2018
6 조상현, "전근대 ‘湖南’의 淵源과 認識" 전남대 2016
7 김용선, "이규보 연보" 일조각 2013
8 윤홍기, "땅의 마음" 사이언스 북스 2011
9 이영호, "나일 강의 나라, 이집트를 가다" 29 : 2011
10 맥세계사편찬위원회, "그리스사" 느낌이 있는 책 2014
11 윤경진, "고려전기 道의 다원적 편성과 5道의 성립" 국학연구원 (135) : 1-46, 2006
12 박종기, "고려의 지방사회" 푸른역사 2002
13 윤경진, "고려 界首官의 제도적 연원과 성립과정 ― 9州?12牧과의 연결성을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6) : 57-88, 2005
14 토머스 R. 마틴, "고대 그리스사" 책과 함께 2015
15 요시무라 사쿠지, "고고학자와 함께하는 이집트 역사기행" 서해문집 2002
16 범선규, "高麗와 朝鮮의 道名稱과 地方의 別稱 –지형과 도회지 발달의 관점에서-" 14 (14): 2002
17 邊太燮, "高麗政治制度史硏究" 일조각 1971
18 "高麗史節要"
19 尹京鎭, "高麗史 地理志의 分析과 補正" 여유당 2012
20 "高麗史"
21 權赫在, "韓國地理 -우리 國土의 自然과 人文-" 법문사 2003
22 李基白, "韓國史像의 再構成" 일조각 1991
23 "磻溪隨錄"
24 金南允, "眞表의 傳記 資料 檢討" 78 : 1997
25 "燃藜室記述"
26 노기춘, "湖南의 地域區分에 관한 연구" 호남학연구원 1 (1): 179-208, 2007
27 李乙浩, "湖南文化의 槪觀-하나의 序論으로서-" 2 : 1964
28 "桂苑筆耕集"
29 "東文選"
30 朴焌圭, "朝鮮 前期 湖南詩壇의 硏究" 25 : 1997
31 문경현, "新羅王京五岳硏究" 경주시·경북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4
32 "新唐書"
33 "增補文獻備考"
34 李丙燾, "地理 歷史上으로 본 湖南" 2 : 1964
35 김수태, "吉玄益敎授停年紀念史學論叢" 1996
36 村上四男, "三國遺事考証(下之二)" 塙書房 1995
37 "三國遺事"
38 "三國志"
39 "三國史記"
40 仁求, "『譯註 三國遺事』 Ⅳ" 이회 2003
41 송일기, "‘호남학연구정보’ 구축을 위한 기본모형 설계" 국립중앙도서관 4 (4):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