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성공단 남북경협보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conomic Cooperation Insura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남북경협보험은 도입(2003)된 이후 개성공단 기업들이 마주하고 있는 북측의 정치적 위험을 보장하는 유일한 정책보험이다. 특히, 5.24조치(2011)와 개성공단 폐쇄(2013)로 인하여 기업들은 보험...

      남북경협보험은 도입(2003)된 이후 개성공단 기업들이 마주하고 있는 북측의 정치적 위험을 보장하는 유일한 정책보험이다. 특히, 5.24조치(2011)와 개성공단 폐쇄(2013)로 인하여 기업들은 보험금을 수령하고서 곧 개성공단에서 철수를 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철수할 의사가 없는 기업은 보험금 반환을 계기로 경협보험의 제한된 보장내용과 한계를 인지하게 되었다. 이에 경협보험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발전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경협보험은 지분, 권리 등을 위한 투자보험이므로 가동중단에 따른 기업들의 영업손실을 보장하지 못하는 태생적인 한계가 있다. 또한 정부 입장에서 남북협력기금의 재원마련 어려움이라는 현실적인 한계점 역시 존재한다. 이에 2011년과 2013년의 경협보험금 지급사례를 분석하였으며, 기업들과 개성공단 기업협회, 통일부, 수출입은행 담당자를 면담한 결과를 바탕으로 경협보험의 발전방안을 연구하고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정책보험인 경협보험의 발전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경협보험의 기업당 보장한도를 70억 원에서 100억 원으로, 그리고 부보율을 95%에서 100%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북측의 정치적 위험에 따른 직접수용 이외에 몰수에 가까운 중과세, 혹은 지나친 간섭으로 정상적인 사업을 운영 못하게 방해하는 위험과 같은 간접수용을 담보위험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 셋째, 기업의 수요에 부응하는 이익상실 및 투자실물자산을 보장하는 특별약관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기업들은 추가적인 보험료 부담을 감당할 용의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개성공단 기업들은 대부분 중소기업이라는 점과 미래의 통일비용 절감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경협보험 확대에 대한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경협보험의 보장내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tried to analyze both cases of insurance money for the south-north economic cooperation insurance in 2011 and 2013, and to interview the business companies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together with the Export-Import Bank including ...

      This paper tried to analyze both cases of insurance money for the south-north economic cooperation insurance in 2011 and 2013, and to interview the business companies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together with the Export-Import Bank including the Ministry of Unification in Korea. In reality, most companies usually have faced with unexpected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the economic cooperation insurance only after they had been allowed certain amount of insurance money by the Export-Import Bank. In practice, it is recognized that the economic cooperation insurance is only for the investment insurance itself to secure the investment stake and its right. And therefore it does not guarantee the business interruption loss mainly occurred by the discontinuation of operation works. The companies understand themselves that the Unification Ministry could not extend their assistance for inter-Korean cooperation fund any more.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in setting up the development patterns of economic cooperation insurance as follows: Firstly, it is advisable to increase the insurable value per company from 7 billion won to 10 billion won as well as to upgrade the underwriting limit from 95% to 100%. Secondly,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following unexpected risks within the scope of cover, such as direct expropriation as the result of any political risk by North Korean authority, any other heavy tax due largely to direct confiscation or indirect confiscation like unnecessary intervention of the operation works. Thirdly, it also seems to set up the special conditions in order to cover any business loss and to secure the protection of actual property at all cases. Most business parties, presently working in Gaeseong industrial complex are small- medium industries. No doubt they contribute and help lower the cost of unification in Korea. However the parties strongly feel to expect more positive strategic supports by the South Korean authorities that will certainly help to develop the economic cooperation insurance in the Gaeseong industrial complex.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동호, "통일 전후 동서독 보험제도의 통합이 현재의 개성공단 보험보호에 주는 시사점 연구" 한독경상학회 28 (28): 75-95, 2010

      2 김영윤, "북한의 개성공단 불만과 한국 정부의 선택"

      3 윤승현, "북중무역의 현황과 남북경협에 대한 시사점" 10 (10): 31-61, 2009

      4 신동호, "동서독 보험제도의 통합을 통해 본 남북한 보험산업의 협력 및 발전에 관한 연구" 한독경상학회 21 (21): 59-80, 2003

      5 정 웅, "남북교역 금융지원제도의 현황과 수출보험의 과제" 11 (11): 1-27, 2010

      6 김선정, "남북경협증가에 따른 위험의완화방법으로서의 보험제도 - 북한보험법의 법원문제를 중심으로 -" 한국중재학회 15 (15): 267-301, 2005

      7 홍순직, "남북경협 확대와 통일비용 절감" 현대경제연구원 1 : 24-32, 2011

      8 조영기, "남북경제협력과 북한의 개혁, 개방 및 경협활성화의 과제" 5 (5): 113-143, 2001

      9 남북민간경제교류협의회, "남북 경협, 교역보험 제도 개선 방안 연구, 정책연구보고서" 한국무역협회 64-, 2013

      10 임을출, "개성공단의 국제화 추진 방안과 향후 과제" 2 : 18-24, 2014

      1 신동호, "통일 전후 동서독 보험제도의 통합이 현재의 개성공단 보험보호에 주는 시사점 연구" 한독경상학회 28 (28): 75-95, 2010

      2 김영윤, "북한의 개성공단 불만과 한국 정부의 선택"

      3 윤승현, "북중무역의 현황과 남북경협에 대한 시사점" 10 (10): 31-61, 2009

      4 신동호, "동서독 보험제도의 통합을 통해 본 남북한 보험산업의 협력 및 발전에 관한 연구" 한독경상학회 21 (21): 59-80, 2003

      5 정 웅, "남북교역 금융지원제도의 현황과 수출보험의 과제" 11 (11): 1-27, 2010

      6 김선정, "남북경협증가에 따른 위험의완화방법으로서의 보험제도 - 북한보험법의 법원문제를 중심으로 -" 한국중재학회 15 (15): 267-301, 2005

      7 홍순직, "남북경협 확대와 통일비용 절감" 현대경제연구원 1 : 24-32, 2011

      8 조영기, "남북경제협력과 북한의 개혁, 개방 및 경협활성화의 과제" 5 (5): 113-143, 2001

      9 남북민간경제교류협의회, "남북 경협, 교역보험 제도 개선 방안 연구, 정책연구보고서" 한국무역협회 64-, 2013

      10 임을출, "개성공단의 국제화 추진 방안과 향후 과제" 2 : 18-24, 2014

      11 김주연, "개성공단 입주기업 투자보장을 위한 경협보험 개선방안 검토" 법무부 6 : 190-222, 2011

      12 최용환, "개성공단 사업의 현황과 향후 전망" 17 : 1-21, 2009

      13 홍순직, "개성공단 사업 10년 평가와 발전 방안" 2 : 24-32, 2014

      14 통일부, "개성공단 기업 경협보험금 관련 교추협 의결"

      15 통일부, "개성공단 공장투자 6개 기업 경협보험금 지급 의결"

      16 통일부, "개성공단 가동중단에 따른 기업 실태조사 결과"

      17 양문수, "5. 24조치 1년과 남북경협, 한국개발연구원" 13 (13): 3-22, 2011

      18 임성택, "5. 2 4조치 이후 남북경협기업의 피해 구제에 대한 법적 검토" 102 : 52-65, 2011

      19 통일부, "2012년도 국정감사 위원요구자료"

      20 통일부, "2012년도 국정감사 위원요구자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Zeitschrift fuer Wirtschaftswissenschaften -> Koreanische Zeitschrift fuer Wirtschaftswissenschaften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78 0.955 0.6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