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작성자초록으로 대신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15204
-
2009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李斗(?-1817)의 字는 北有, 號는 艾塘이며 揚州 儀徵 사람으로, 벼슬 없는 문인 겸 戱曲 작가였다. 그의 문집인 《永報堂集》33권 안에《永報堂詩》8권, 《奇酸記傳奇》4권, 《歲星記傳奇》2권,...
李斗(?-1817)의 字는 北有, 號는 艾塘이며 揚州 儀徵 사람으로, 벼슬 없는 문인 겸 戱曲 작가였다. 그의 문집인 《永報堂集》33권 안에《永報堂詩》8권, 《奇酸記傳奇》4권, 《歲星記傳奇》2권, 《艾塘樂府》1권과 《揚州畵舫錄》18권이 포함되어 있다. 이 중 《揚州畵舫錄》은 乾隆 29년(1764)에 자료를 수집하기 시작하여 乾隆 60년(1795)에 간행하기까지 30년에 걸쳐 작가가 양주에서 직접 보고 들은 바를 상세하게 기록한 대작이다. 작자 李斗는 어려서부터 經史의 학문에는 그다지 열중하지 않았지만, 山水를 유람하는 것을 즐겨 嶺南과 浙江, 福建, 湖北과 北京에 이르기까지 돌아다니지 않은 곳이 없었으며, 揚州에서는 당시의 저명한 문인이었던 阮元, 焦循, 汪中, 黃景仁 등과 교류하고 있었다. 그는 관직에 나간 적은 없었지만, 戱曲과 音律, 數學에 재주가 있었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볼 때 다재다능한 사람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揚州에서 교류의 폭도 매우 넓어 그가 기록한 《揚州畵舫錄》은 30년이라는 시간의 분량에서만이 아니라, 그 안에 담고 있는 내용과 인물에서도 그 다양함이 다른 필기의 추종을 불허한다.
우리의 번역 과제인 《揚州畵舫錄》은 총 18권 24만자로 이루어진 淸代 筆記類 작품으로, 그 안에는 揚州 鹽商들의 화려한 의식주 및 蓄妾, 소송 등 갖가지 생활 양상과 園林, 藏書, 金石文, 書畵, 골동 수집 및 詩會 등의 문화 활동, 그리고 각종 雜劇과 院本의 배우 현황 등 18세기 揚州 생활의 거의 모든 내용이 매우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당시 대도시 가운데 蘇州의 市肆, 杭州의 湖山과 함께 양주의 園林이 유명했는데, 大商人들은 황제를 奉迎하고, 관료들과 교류하며, 자신의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다투어 화려한 원림을 지었다. 《揚州畵舫錄》에는 당시 양주의 저명한 18개의 원림이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 또한 《揚州畵舫錄》을 통해 우리는 상업도시 양주의 세세한 도시 면모를 관찰할 수 있다. 당시의 揚州는 小東門 일대의 각 거리를 중심으로 선창, 각종 상점, 창고, 음식점 및 주점, 茶肆, 妓院 등이 있고, 특히 이 도시를 종횡으로 가로지르는 수로를 따라 화려하게 장식된 유람선이 떠다녔는데, 《揚州畵舫錄》이라는 책 이름은 이 유람선 문화에서 유래하였다. 그 중 花市로 유명한 北橋 부근의 虹橋는 청대 초기의 유명한 문인 관료였던 王士禛 이래 이름난 학자 문인들이 모여 풍류 시회가 열렸던 곳으로 이들의 ‘虹橋修禊’는 대표적 고증학자인 惠棟, 戴震 등과 ‘揚州八怪’로 유명한 鄭板橋 등 문화 학술계의 저명인사들이 교류하던 당시 문화계의 중심지였다.
또한 《揚州畵舫錄》에는 景物과 人物, 역사와 예술에 관한 기록뿐만 아니라 청대의 小說史料까지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문화적 기록이 담겨있다. 예를 들어 권4에는 오늘날 우리들이 가장 화려한 중국요리로 알고 있는 ‘滿漢全席’의 유래가 소개되어 있고, 권9와 권11에는 다수의 筆記小說이 인용되어 있으며, 권10에는 《儒林外史》의 작가인 吳敬梓와 그의 아들인 吳烺에 대한 언급도 나온다.
흔히 《揚州畵舫錄》의 체제를 北朝 楊衒之의 《洛陽伽藍記》와 南宋 孟元老의 《東京夢華錄》의 체제를 본받은 것으로 언급하고 있다. 물론, 洛陽과 東京(開封)이라는 특정 장소를 구획을 나누어 해당 지역의 경물과 인물, 사건 등을 기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두 책은 《揚州畵舫錄》의 체제에 영향을 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洛陽伽藍記》나 《東京夢華錄》이 모두 懷古의 관점에서 기록되었다면, 《揚州畵舫錄》은 실시간적인 기록이라는 점에서 기술의 관점이 다르다. 또한 그간 역사기록에서 주변적인 것으로 소외되었던 음악, 예술, 희곡, 건축 등과 文人 이외에 기생, 악사, 건달, 걸인, 배우 등 일상적인 인물요소들의 생생한 조합으로 18세기 揚州라는 당시 최대 소비도시의 일상을 그려내고 있는 점은 프랑스 아날학파의 생활사적 역사 기록 방법과 유사한 점이 있다. 이런 의미에서 《揚州畵舫錄》은 단순한 하나의 지방지로서가 아닌, 전통시기와 근대시기를 이어주는 18세기 중국 강남 문화를 가장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최고의 기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