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19 시기 노인의 우울감은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 영향을 미쳤는가?: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를 중심으로 = Did the depression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during COVID-19?: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non-living alo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396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depression during COVID-19 aff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bility(ADL)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household type of the elderly. To determine the purpose, the mediating effect based on Baron&Kenny(1986) was verified on 3,395 elderly living alone and 6,960 elderly non-living alone using data from the 2020 Senior Surve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DL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both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non-living alone during the COVID-19. Second,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non-living alone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rd, ADL of the non-living alone elderly had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but ADL of the elderly living alon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Finally, in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L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non-living alone elderly, but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was not shown in the living alone. Theoretical and policy sugges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depression during COVID-19 aff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bility(ADL)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household type of the elderly. To determine the purpose, the medi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depression during COVID-19 aff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bility(ADL)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household type of the elderly. To determine the purpose, the mediating effect based on Baron&Kenny(1986) was verified on 3,395 elderly living alone and 6,960 elderly non-living alone using data from the 2020 Senior Surve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DL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both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non-living alone during the COVID-19. Second,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non-living alone had a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rd, ADL of the non-living alone elderly had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but ADL of the elderly living alon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Finally, in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L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non-living alone elderly, but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was not shown in the living alone. Theoretical and policy suggest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이 경험한 우울이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증하고 그 차이를 확인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노인실태조사 원데이터를 활용하여 독거노인 3,395명, 비독거노인 6,960명을 대상으로 Baron&Kenny(1986)의 이론에 근거하여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시기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모두에서 ADL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우울은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비독거노인의 ADL은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독거노인의 ADL은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 분석에서 비독거노인은 ADL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우울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으나 독거노인에서는 우울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이 경험한 우울이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증하고 그 차이를 확인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20...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이 경험한 우울이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증하고 그 차이를 확인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노인실태조사 원데이터를 활용하여 독거노인 3,395명, 비독거노인 6,960명을 대상으로 Baron&Kenny(1986)의 이론에 근거하여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시기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모두에서 ADL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우울은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비독거노인의 ADL은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독거노인의 ADL은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 분석에서 비독거노인은 ADL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우울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으나 독거노인에서는 우울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식 ; 박보현, "한국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과 건강상태,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4 (24): 520-530, 2013

      2 박지현 ; 이미혜, "코로나19가 독거노인 삶의 변화에 미치는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 28 (28): 221-243, 2021

      3 김이레 ; 오설미, "코로나19가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7 (77): 75-100, 2022

      4 김영범, "코로나-19 확산과 노년기 우울증상: 확산 이전과 이후의 비교" 한국노년학회 41 (41): 981-996, 2021

      5 이나윤 ; 강진호, "코로나-19 사회적 사태를 경험한 65세 이상 노인들의 정서적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 (14): 171-179, 2020

      6 김용득, "코로나 19에 따른 지역사회 통합돌봄 활성화 방안 연구" 성공회대 산학협력단 2021

      7 한지나, "중노년기의 낙상두려움이 ADL/IADL장애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67 (67): 183-202, 2015

      8 안현자, "주거약자의 안전관리 공공 앱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세대학교 대학원 2020

      9 서문진희, "종교와 노인의 우울증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12 : 67-95, 2010

      10 장경오 ; 박수진 ; 배두이, "저소득층 재가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수면, 우울, 통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1566-1575, 2014

      1 김경식 ; 박보현, "한국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과 건강상태,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4 (24): 520-530, 2013

      2 박지현 ; 이미혜, "코로나19가 독거노인 삶의 변화에 미치는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 28 (28): 221-243, 2021

      3 김이레 ; 오설미, "코로나19가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7 (77): 75-100, 2022

      4 김영범, "코로나-19 확산과 노년기 우울증상: 확산 이전과 이후의 비교" 한국노년학회 41 (41): 981-996, 2021

      5 이나윤 ; 강진호, "코로나-19 사회적 사태를 경험한 65세 이상 노인들의 정서적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 (14): 171-179, 2020

      6 김용득, "코로나 19에 따른 지역사회 통합돌봄 활성화 방안 연구" 성공회대 산학협력단 2021

      7 한지나, "중노년기의 낙상두려움이 ADL/IADL장애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67 (67): 183-202, 2015

      8 안현자, "주거약자의 안전관리 공공 앱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세대학교 대학원 2020

      9 서문진희, "종교와 노인의 우울증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12 : 67-95, 2010

      10 장경오 ; 박수진 ; 배두이, "저소득층 재가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수면, 우울, 통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1566-1575, 2014

      11 서순이, "저소득 재가노인의 생활만족도, 일상생활활동, 우울 및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대한근관절건강학회 17 (17): 162-172, 2010

      12 전혜원, "재가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생활만족도" 한국생활환경학회 18 (18): 656-666, 2011

      13 이소영, "재가노인의 건강행위 관련 특성, 자아존중감,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가족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1 (21): 489-501, 2010

      14 이금재 ; 박혜숙, "재가 도시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일상생활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12 (12): 221-230, 2006

      15 이영미, "장애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노령화된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62) : 35-58, 2013

      16 손용진, "일상생활능력이 건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증의 매개역할에 관한 연구: 3개월 이상 요양시설 입원 노인을 대상으로" 경인행정학회 18 (18): 29-42, 2018

      17 송민선 ; 김남초 ; 이동한, "우울 노인의 일상생활활동과 우울 영향 요인" 한국노인간호학회 10 (10): 20-26, 2008

      18 이미애, "우리나라 노인인구의 ADL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1 (21): 201-210, 2010

      19 남지숙 ; 양진향, "요양병원에 입원한 만성질환 노인의 우울에 대한 영향요인" 한국자료분석학회 14 (14): 3035-3047, 2012

      20 홍지연 ; 황선영, "요양병원 노인 환자의 우울과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 22 (22): 457-465, 2010

      21 박선희 ; 김홍순 ; 서순림, "여성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우울, 생활만족도와의 관련 영향요인" 동서간호학연구소 21 (21): 119-125, 2015

      22 박경은 ; 권미형 ; 권영은, "여성노인의 우울, 죽음불안, 삶의 질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 27 (27): 527-538, 2013

      23 배숙경 ; 엄태영 ; 이은진,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영향 및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5-30, 2012

      24 고민석,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우울 및 인지기능 관련요인 비교분석" 인문사회 21 11 (11): 2173-2188, 2020

      25 이수애 ; 이경미, "농촌지역 노인의 우울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2 (22): 209-226, 2002

      26 신은숙, "농촌지역 노인들의 신체적 기능(ADL, IADL)과 우울 수준과의 관련성, 우울 및 생활만족도" 127-127, 2012

      27 강월숙 ; 문재우 ; 박재산, "노인학대, 자아존중감, 일상생활수행능력(ADL) 및 정신사회적 요인과 노인 우울 간의 관련성" 한국보건사회학회 (29) : 153-183, 2011

      28 송영수 ; 김태백 ; 배남규 ; 조영채, "노인장기요양보험 인정자의 정신적 건강상태(우울, 인지기능장애 및 치매) 및 그의 관련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247-260, 2018

      29 김홍남 ; 차은진 ; 김경호,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인문사회 21 8 (8): 457-480, 2017

      30 김경호,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제한이 사회적 관계망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73 (73): 49-77, 2018

      31 김재경 ; 박재학, "노인의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가족관계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분석"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35) : 5-29, 2020

      32 정은숙 ; 전미경, "노인의 우울유무에 따른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수면의 비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289-297, 2013

      33 김상임 ; 이준영, "노인의 사회활동 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인지기능의 매개효과: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38 (38): 3-29, 2022

      34 권현수, "노인의 사회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우울,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8 (18): 995-1008, 2009

      35 최재원 ; 김상범 ; 정혜연, "노인의 근력,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의 인과적 관계" 중소기업융합학회 11 (11): 242-250, 2021

      36 김정연 ; 이석구 ; 이성국, "노인에서 건강행태, 건강수준, 일상생활수행능력,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노년학회 30 (30): 471-484, 2010

      37 전용호 ; 이석환,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도입 초기 이슈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77 (77): 225-252, 2022

      38 정순둘 ; 이선희, "노인 삶의 만족도 변화: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3개년도(1994, 2004, 2008년) 결과비교" 한국노년학회 31 (31): 1229-1246, 2011

      39 남일성, "노인 독거와 자살생각 경로분석: 사회참여와 좌절된 소속감의 간접효과 설명" 사회과학연구소 29 (29): 211-226, 2018

      40 김미혜, "노년기 우울증 원인에 대한 경로분석" 20 (20): 211-226, 2000

      41 강은나 ; 이민홍, "노년기 삶에 대한 독거효과 분석 연구: 성향매칭분석을 통한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196-226, 2018

      42 현은민, "고령사회 노인의 활동적 노화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1 (11): 1491-1506, 2020

      43 WHO, "WHO guideline on self-care interventions for health and well-being"

      44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45 Campbell, A.,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McGraw-Hill 1981

      46 OECD, "Tackling the mental health impact of the COVID-19 crisis: An integrated, whole-of-society response"

      47 Rowe, J. W., "Successful Aging" 37 (37): 433-440, 1997

      48 Hilleras, P., "Life satistaction among the very old : A survey on a cognitively intact sample aged 90 years and above" 52 : 71-90, 2001

      49 Berg. A, I., "Life satisfaction in late life: Markeers and predictors of level and change among 80+ years old" University of Gothenburg 2008

      50 Fagerstrom, C., "Life satisfaction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people aged 60 years and above in six European countries" 2 : 33-50, 2007

      51 Chachamovich, E., "Impact of Major Depression and Subsyndromal Symptoms on Quality of Life and Attitudes Toward Aging in an International Sample of Older Adults" 48 (48): 593-602, 2008

      52 Yang, "How does functional disability affect depressive symptoms in late life? The ro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resources" 47 (47): 355-372, 2006

      53 Farias, S. T., "Everyday cognition in older adults : Associations with neuropsychological performance and structural brain imaging" 19 (19): 430-441, 2013

      54 West, S., "Does memory predict declin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older adults with Alzheimer’s disease?" 2 (2): 32-43, 2012

      55 Onishi, C.,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among Japanese elderly women attending health care and welfare service facilities" 57 : 69-80, 2010

      56 WHO, "Depression definition"

      57 Smith, J. L., "Community Integration and Quality of Life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University Microfilms International 1995

      58 Cahn-Weiner, D. A., "Cognitive and neuroimaging predictors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13 (13): 747-757, 2007

      59 Kendler, K.,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and the onset of major depression" 156 : 837-842, 1999

      60 Murata, C.,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ocioeconomic status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Japan : The Aichi gerontological evaluation study" 14 (14): 406-414, 2008

      61 통계청, "2021년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

      62 통계청, "2021년 사회조사" 통계청 2022

      63 이윤경,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64 보건복지부, "2020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사업안내"

      65 정경희,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66 허성호 ; 김종대, "2006년 고령화 패널조사에 나타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다차원적 영향 분석" 한국노년학회 31 (31): 407-418,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