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진단 노인이 일상생활을 하면서 기억장애로 인해 경험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개인적 현상을 이해하고, 이를 공통적의미로 기술하여 보편적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39621
202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29-353(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진단 노인이 일상생활을 하면서 기억장애로 인해 경험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개인적 현상을 이해하고, 이를 공통적의미로 기술하여 보편적 ...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진단 노인이 일상생활을 하면서 기억장애로 인해 경험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개인적 현상을 이해하고, 이를 공통적의미로 기술하여 보편적 현상의 본질 의미구조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주간보호센터 이용 노인 4명, 경로당 이용 노인 3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심층면담을 통하여자료를 수집하고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억장애로 인한 기억상실 경험은 ‘상실해가는 기억’, ‘붙잡아 다시 세우는 기억’, ‘일상을메우는 감정 기억’, ‘미래희망 기억’ 4개의 구성요소와 18개의 하위 구성요소, 108개의의미 단위이다. 4개의 구성요소는 일상생활 중에 순환적으로 반복되며, 본질 의미구조는 “매일매일 이별하는 나(腦)를 붙잡아 다시 세우는 나(我)”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 치매의 임상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 노인이 증가하는초고령사회에서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억상실 과정인 주관적기억장애, 기억의 감소와 유지에 대한 현상을 노인 자신뿐만 아니라, 가족 및 사회적 관계를 맺는자들이 알아차리도록 돕는다. 이는 돌봄 대상자 관점에서 치매의 조기 발견과 예방을위한 기억력 검사지의 개발과 다양한 돌봄 실천을 위한 근거자료 제공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훈, "현상학적 심리학" 한길사 2013
2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연구(응용현상학의 한 지평)" 한길사 2014
3 임선진, "치매클리닉 내원자에서 주관적 보고와 객관적 보고, 뇌영상 학적 검사의 인지장애 선별 능력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6
4 박재원, "초기치매 노인의 질병 수용 경험연구" 고려대학교 2017
5 조성남, "질적연구방법과 실제" 그린 2011
6 천정웅, "질적연구방법 총론" 양서원 2019
7 박경아, "지역사회노인의 신체기능, 인지기능, 노화 불안과 활동적 노화의 관계에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동신대학교 2020
8 손지훈, "지역 사회 거주 노인의 인지 기능 상태에 따른 주관적 기억력 감퇴 호소와 자기 인식도 수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1 이종훈, "현상학적 심리학" 한길사 2013
2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연구(응용현상학의 한 지평)" 한길사 2014
3 임선진, "치매클리닉 내원자에서 주관적 보고와 객관적 보고, 뇌영상 학적 검사의 인지장애 선별 능력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6
4 박재원, "초기치매 노인의 질병 수용 경험연구" 고려대학교 2017
5 조성남, "질적연구방법과 실제" 그린 2011
6 천정웅, "질적연구방법 총론" 양서원 2019
7 박경아, "지역사회노인의 신체기능, 인지기능, 노화 불안과 활동적 노화의 관계에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동신대학교 2020
8 손지훈, "지역 사회 거주 노인의 인지 기능 상태에 따른 주관적 기억력 감퇴 호소와 자기 인식도 수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9 강서정, "주관적 기억장애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의미연상과제 수행 특성" 단국대학교 2019
10 홍민아, "주관적 기억 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및 정서적, 성격적 특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11 김여희, "정서가 기억 과정에 미치는 영향의 뇌과학적 해석과 교육적 시사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2 방주희, "인지 자극 활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자기효능감, 우울에 미치는영향" 광주대학교 2019
13 김린아, "만성 질환을 가진 중년 남성의 삶의 경험" 이화여자대학교 2017
14 중앙치매센터, "대한민국치매현황2019" 2020
15 조장희, "뇌영상으로 보는 뇌과학" 뉴턴코리아 2014
16 박문호, "뇌과학 공부" 김영사 2017
17 정진현, "노년기 주관적 기억력 감퇴 집단의 인지 및 정서적 특징"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18 진주희, "노년기 주관적 기억 장애의 임상적 하위 유형 및 심리적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19 양동원, "기억의 메커니즘 및 기억장애 질환" 3 : 65-72, 2004
20 김상윤, "경도인지장애의 임상소견" 2 (2): 2003
21 한주현,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위한 다요인 인지 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22 서은현, "경도인지장애 전 단계 : 인지적 변화에 대한 주관적 인식단계" 2016 : 67-79, 2016
23 서유진,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질병 불확실성과 건강 관련 삶의질 영향요인" 연세대학교 2019
24 최미란,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일상생활 경험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7
25 신경림 ; 강윤희 ; 김미영 ; 정덕유 ; 이에리쟈,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우울 예측 요인" 한국성인간호학회 24 (24): 171-182, 2012
26 서정은,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인지자극 통합 여가프로그램 개발" 인하대학교 2018
27 김두리,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불확실성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세대학교 2016
28 Sperling, R. A., "Toward defining the preclinical stage of Alzheimer’s disease: recommendations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n Aging-Alzheimer’s Association work groups on diagnostic guidelines for Alzheimer’s disease" 7 : 280-292, 2011
29 Parikh, P. K., "The impact of memory change on daily life in normal aging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56 (56): 877-885, 2016
30 Abdulrab, K.,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A review of its definitions indicates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set of standardised and validated criteria" 23 (23): 321-330, 2008
31 Kaduszkiewicz, H., "Study on Ageing, Cognition, and Dementia in Primary Care Patients(AgeCoDe) Study Group. Prognosi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general practice: results of the German AgeCoDe study" 12 (12): 158-165, 2014
32 Petersen, R. C., "Mid cognitive impairment as diagnostic entity" 256 : 183-194, 2004
33 Petersen, R. C., "Mid cognitive impairment : a concept in evoluyion" 275 (275): 214-228, 2014
34 Roberts, J. L., "Meta-representational awareness in mine cognitive impairment : An interpresen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17 (17): 300-309, 2013
35 Berg, A. L., "Living with stable MCI : Experiences among 17 individuals evaluated at a memory clinic" 17 (17): 293-299, 2013
36 Anderson, N. D., "Living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 guide to maximizing brain health and reducing risk of dementia"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37 Dean, K.,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their care giver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healthcare – A qualitative study" 26 (26): 475-485, 2014
38 Youn, J. C., "Development of the subjective memory of the complaints questionnnaire" 310-317, 2009
39 Petersen, R. C., "Current concepts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58 : 1985-1922, 2001
40 Shim, S. M., "Conversion pattern and predictive factor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elderly Koreans" 64 : 146-150, 2016
41 Johansson, M. M., "Cognitive impairment and its consequences in everyday life: experiences of people with mild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o rmild dementia and their relatives" 27 (27): 9-, 2015
42 보건복지부, "2017년 노인실태조사 결과 보도자료"
서울시 빈곤 및 비빈곤 노인의 주관적 건강과 우울감의 관계: 고령친화 보행환경의 조절효과
코로나19 시기 노인의 우울감은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 영향을 미쳤는가?: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요양시설 조직문화가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의 정보기기 활용과 우울의 관계에 대한 지역사회환경의 매개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