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공동연구에 있어 개발기술특성, 파트너특성, 관리특성이 공동연구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공동연구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는 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029536
2007
Korean
학술저널
1-16(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공동연구에 있어 개발기술특성, 파트너특성, 관리특성이 공동연구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공동연구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는 공...
본 논문은 공동연구에 있어 개발기술특성, 파트너특성, 관리특성이 공동연구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공동연구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는 공동연구 성과의 영향요인을 확인하는데 초점을 둔 반면, 공동연구의 상황요인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낮았다. 공동연구는 조직의 협력이지만, 실제적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관계를 맺는 것은 개인이므로 공동연구 상황에 영향을 주는 개인간 관계적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공동연구에 참여하는 개인간 관계적 특성인 신뢰와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한 가설을 제시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신뢰는 공동연구 성과에 대해 계약의 구체화를 제외한 모든 독립변수와 상호작용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커뮤니케이션도 파트너의 기술자원능력과 과거협력경험과 상호작용효과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공동연구를 추진하는 조직에 파트너와의 관계적 측면에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이다.
CFT(cross functional team) as an enabler of fidelity between R&D and manufacturing
공공기관의 사업 프로세스 평가를 위한 수행지표간 연관성 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