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백운화상어록』의 편집 체제와 산문 서술 방식 = A Study on the editorial process of the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Baekwoon(『白雲和尙語錄』) and prose descri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306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research the editing system of the Quotation from the Great Seon master Baekwoon and a prose description. This consists of two parts: A study on the editorial process of the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Baekwoon and a study of the prose description.
      First, in the study on the edit system of the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Baekwoon, there are two themes to research: The outline of the edit system of the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Baekwoon and the principle of the edit system.
      Second, regarding the prose description of the Quotation from Seon master Baekwoon, there are three items to research. The first item is the fact that the oral instruction was converted into text. The second item is the fact that the one-way dharma talking has received two-way speaking. The third item is the fact that the prosaic talking has received poetic talking.
      Although I researched the edit system of the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Baekwoon and prose description of the Quotation from Seon master Baekwoon, there can be the other things to research about these kinds of theme. I will continue studying other themes that are related soon.
      번역하기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research the editing system of the Quotation from the Great Seon master Baekwoon and a prose description. This consists of two parts: A study on the editorial process of the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Baekwoon ...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research the editing system of the Quotation from the Great Seon master Baekwoon and a prose description. This consists of two parts: A study on the editorial process of the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Baekwoon and a study of the prose description.
      First, in the study on the edit system of the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Baekwoon, there are two themes to research: The outline of the edit system of the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Baekwoon and the principle of the edit system.
      Second, regarding the prose description of the Quotation from Seon master Baekwoon, there are three items to research. The first item is the fact that the oral instruction was converted into text. The second item is the fact that the one-way dharma talking has received two-way speaking. The third item is the fact that the prosaic talking has received poetic talking.
      Although I researched the edit system of the Quotation from Great Seon master Baekwoon and prose description of the Quotation from Seon master Baekwoon, there can be the other things to research about these kinds of theme. I will continue studying other themes that are related so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여기서는 고려말 백운경한 선사의 어록 체제와 산문 서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는 선사의 문집이라 할 수 있는 어록 체제를 살핌으로써 유가문집과의 대비적 특징은 물론 백운 어록의 독자적 편집 원리를 발견하고 이런 형식의 기록을 통하여 지향한 의도가 무엇인가를 구명하기 위한 논의이다. 또한 어록이라는 용어 자체가 말의 기록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말이 기록되면서 산문으로 서술되기 때문에 이를 말하기 측면에서 논의하여 선사 문학 자체의 역동적 입체적 성격과 그 의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어록 체제가 보인 얼개와 체제 구성의 몇 가지 원리를 논의하였다. 『백운화상어록』의 체제는 상하로 되어 있고 불경의 일반적 영향으로 상권에는 산문 중심, 하권에는 산문과 운문 문건을 함께 실은 양상을 보여 주었다. 이는 유가문집이 맨 앞 책에 시를, 뒤이어 산문을 배치하는 것과 달리 제자들이 백운어록의 기본 자료가 본래 가진 성격에 따라 어록을 편집, 간행한 결과였고 그의 어록은 시기적으로 봐서 석옥의 어록이나 태고 어록의 편집 체제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어록 전체 편집에는 공적인 자료를 앞에 사적인 사료를 뒤에 배치하는 선공후사의 원리, 산문을 앞에 운문을 뒤에 배치하는 선산후운의 원리, 어록 편집자가 자기 스승을 높이고 드러내는 존사현양의 원리, 또 작품이 창작된 물리적 시간 순서에 따라 작품을 배치하는 자연시간의 원리라는 네 가지 원리가 유기적으로 상호 작용되어 편집된 결과가 바로 『백운화상어록』임을 논증했다. 다음은 산문서술 방식을 논의했다. 어록은 기본적으로 경전과 같이 말하기가 기록되어 이루어진 결과물이다. 설법이라는 교시적인 말하기를 기록하는 과정에 말하는 사람의 동작이나 말하기 행위를 드러내는 지문을 삽입하여 백운어록이 타인에 의한 기록이며 또한 교시적 말하기가 기록으로 전환된 양상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교시를 위한 설법이라는 말하기가 기본적으로 일방적 말하기이지만 그중에는 불경에 보이는 질문에 대한 긴 설명의 대답과는 달리 특정 인물과 주고받는 짧고 긴장된 대화를 지속하는 쌍방적 말하기의 현장감과 역동성을 보여주었고, 상대적으로 더 비중 있게 다루어진 산문 서술에서 빈번하게 게송과 같은 운문을 수용하여 시적 말하기의 방식을 수용하고 있었는데 이는 불경의 방식을 따르면서도 그와는 달리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개념적 설명이 아니라 형상화하여 묘사하거나 정서적 공감을 통한 교시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것이었다. 여기서는 거시적 관점에서 어록 체제와 산문 서술을 살펴봤는데 백운경한의 문학에 대한 연구는 그가 선사인 만큼 그 시에서 선적 표현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논의할 일이 남아 있다.
      번역하기

      여기서는 고려말 백운경한 선사의 어록 체제와 산문 서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는 선사의 문집이라 할 수 있는 어록 체제를 살핌으로써 유가문집과의 대비적 특징은 물론 백운 어록의 독...

      여기서는 고려말 백운경한 선사의 어록 체제와 산문 서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는 선사의 문집이라 할 수 있는 어록 체제를 살핌으로써 유가문집과의 대비적 특징은 물론 백운 어록의 독자적 편집 원리를 발견하고 이런 형식의 기록을 통하여 지향한 의도가 무엇인가를 구명하기 위한 논의이다. 또한 어록이라는 용어 자체가 말의 기록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말이 기록되면서 산문으로 서술되기 때문에 이를 말하기 측면에서 논의하여 선사 문학 자체의 역동적 입체적 성격과 그 의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어록 체제가 보인 얼개와 체제 구성의 몇 가지 원리를 논의하였다. 『백운화상어록』의 체제는 상하로 되어 있고 불경의 일반적 영향으로 상권에는 산문 중심, 하권에는 산문과 운문 문건을 함께 실은 양상을 보여 주었다. 이는 유가문집이 맨 앞 책에 시를, 뒤이어 산문을 배치하는 것과 달리 제자들이 백운어록의 기본 자료가 본래 가진 성격에 따라 어록을 편집, 간행한 결과였고 그의 어록은 시기적으로 봐서 석옥의 어록이나 태고 어록의 편집 체제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어록 전체 편집에는 공적인 자료를 앞에 사적인 사료를 뒤에 배치하는 선공후사의 원리, 산문을 앞에 운문을 뒤에 배치하는 선산후운의 원리, 어록 편집자가 자기 스승을 높이고 드러내는 존사현양의 원리, 또 작품이 창작된 물리적 시간 순서에 따라 작품을 배치하는 자연시간의 원리라는 네 가지 원리가 유기적으로 상호 작용되어 편집된 결과가 바로 『백운화상어록』임을 논증했다. 다음은 산문서술 방식을 논의했다. 어록은 기본적으로 경전과 같이 말하기가 기록되어 이루어진 결과물이다. 설법이라는 교시적인 말하기를 기록하는 과정에 말하는 사람의 동작이나 말하기 행위를 드러내는 지문을 삽입하여 백운어록이 타인에 의한 기록이며 또한 교시적 말하기가 기록으로 전환된 양상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교시를 위한 설법이라는 말하기가 기본적으로 일방적 말하기이지만 그중에는 불경에 보이는 질문에 대한 긴 설명의 대답과는 달리 특정 인물과 주고받는 짧고 긴장된 대화를 지속하는 쌍방적 말하기의 현장감과 역동성을 보여주었고, 상대적으로 더 비중 있게 다루어진 산문 서술에서 빈번하게 게송과 같은 운문을 수용하여 시적 말하기의 방식을 수용하고 있었는데 이는 불경의 방식을 따르면서도 그와는 달리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개념적 설명이 아니라 형상화하여 묘사하거나 정서적 공감을 통한 교시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것이었다. 여기서는 거시적 관점에서 어록 체제와 산문 서술을 살펴봤는데 백운경한의 문학에 대한 연구는 그가 선사인 만큼 그 시에서 선적 표현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논의할 일이 남아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찬, "한국의 선시 <고려편>" 이우출판사 1985

      2 서윤길, "한국선사상연구" 동국대불교문화연구원 201-244, 1984

      3 백운경한, "한국불교전서 제6책" 동국대학교 출판부 1990

      4 백운경한, "한국불교전서 제6책" 동국대학교 출판부 1990

      5 김상영, "한국불교인물사상사" 민족사 232-243, 1990

      6 한기두, "한국불교사상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45-510, 1986

      7 한기두, "한국불교사상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11-567, 1986

      8 황선주, "직지의 각주와 그 공안" 서원대호서문화연구소 11 : 35-54, 1997

      9 황선주, "직지원문의 출전에 대하여" 청주 고인쇄발물관 5 : 5-21, 1998

      10 김용환, "직지심체요절의 조사선 연구" 한국국민윤리학회 44 : 169-189, 2000

      1 이종찬, "한국의 선시 <고려편>" 이우출판사 1985

      2 서윤길, "한국선사상연구" 동국대불교문화연구원 201-244, 1984

      3 백운경한, "한국불교전서 제6책" 동국대학교 출판부 1990

      4 백운경한, "한국불교전서 제6책" 동국대학교 출판부 1990

      5 김상영, "한국불교인물사상사" 민족사 232-243, 1990

      6 한기두, "한국불교사상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45-510, 1986

      7 한기두, "한국불교사상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11-567, 1986

      8 황선주, "직지의 각주와 그 공안" 서원대호서문화연구소 11 : 35-54, 1997

      9 황선주, "직지원문의 출전에 대하여" 청주 고인쇄발물관 5 : 5-21, 1998

      10 김용환, "직지심체요절의 조사선 연구" 한국국민윤리학회 44 : 169-189, 2000

      11 유영숙, "지촌 김갑주교수 화갑기념사학논총" 동국대 337-371, 1994

      12 이종익, "정종박사 정년퇴임기념논문집 - 동서사상의 만남" 형설출판사 33-68, 1982

      13 조영미, "정읍사상사" 민속원 41-76, 2017

      14 백운경한, "역주백운화상어록" 충주고인쇄박물관 1998

      15 김방룡, "여말 三師의 간화선 사상과 그 성격" 보조사상연구원 (23) : 179-225, 2005

      16 임종욱, "선시의 발생 및 변용에 관한 연구" 동국대 국어국문국어교육과 13 : 1-19, 1986

      17 김테흡, "석옥청공선사에 관한 연구" 불교사 57 : 46-54, 1929

      18 황인규, "석옥청공과 여말삼사의 불교계활동-경한을 중심으로-" 청주고인쇄박물관 (13) : 211-230, 2006

      19 김상영, "석옥청공과 백운경한의 선풍" 청주고인쇄박물관 13 : 1-21, 2006

      20 김동환, "불조직지심체요절의 핵심내용과 백운화상 경한" 중부대인문사회과학연구소 4 (4): 53-70, 2000

      21 전재강, "백운화상어록에 드러난 선의 성격과 산문적 표현" 한국시가문화학회 (45) : 171-204, 2020

      22 백운경한, "백운화상어록" 동국대학교출판부 2019

      23 정병조, "백운의 無心禪에 관하여" 한국불교학회 3 : 273-281, 1977

      24 백운경한, "백운스님어록 白雲和尙語錄" 민족사 1996

      25 이종군, "백운선사의 선시 연구" 백련불교문화재단 7 : 152-191, 1997

      26 정제규, "백운경한의 재가불교신앙관" 청주고인쇄박물관 5 : 23-38, 1998

      27 황인규, "백운경한과 고려말 선종계" 한국선학회 (9) : 215-254, 2004

      28 심계웅, "백운경한 선사의 시세계" 청주대학교 대학원

      29 조성택, "백운경한 선사상의 윤리사상적 가치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35) : 391-411, 2014

      30 조성택, "백운경한 무심선의 세계시민성 화용 연구"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31 현문, "백운 경한의 생애와 선사상" (12) : 304-320,

      32 전재강, "백운 경한 초록 「직지」에 실린 선시의 제시 맥락과 표현 원리" 한국선학회 (47) : 69-98, 2017

      33 학담, "고려말 임제법통의 전수와 백운선사의 무심선" 서원대 호서문화연구소 13 : 33-45, 1999

      34 권기종, "가산 이지관스님 화갑기념논총 한국불교문화사상사 상" 가산불교문화진흥원 271-287, 1992

      35 印權煥, "高麗時代 佛敎詩의 硏究 : 禪家의 詩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3

      36 변영희, "白雲景閑의 禪思想과 ‘無心眞宗’의 詩學" 한국사상문화학회 (83) : 29-50, 2016

      37 임준성, "白雲 景閑의 詩世界-無心의 美學을 中心으로-" 한국시가문화학회 (13) : 175-195, 2004

      38 전재강, "『백운화상어록』의 선시 제시 국면과 선시에 나타난 대상 인식" 한국문학언어학회 (81) : 117-144, 2019

      39 金鐘明, "≪直指≫의 禪사상과 그 의의" 역사학회 177 : 33-65,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6 1.019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