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종찬, "한국의 선시 <고려편>" 이우출판사 1985
2 서윤길, "한국선사상연구" 동국대불교문화연구원 201-244, 1984
3 백운경한, "한국불교전서 제6책" 동국대학교 출판부 1990
4 백운경한, "한국불교전서 제6책" 동국대학교 출판부 1990
5 김상영, "한국불교인물사상사" 민족사 232-243, 1990
6 한기두, "한국불교사상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45-510, 1986
7 한기두, "한국불교사상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11-567, 1986
8 황선주, "직지의 각주와 그 공안" 서원대호서문화연구소 11 : 35-54, 1997
9 황선주, "직지원문의 출전에 대하여" 청주 고인쇄발물관 5 : 5-21, 1998
10 김용환, "직지심체요절의 조사선 연구" 한국국민윤리학회 44 : 169-189, 2000
1 이종찬, "한국의 선시 <고려편>" 이우출판사 1985
2 서윤길, "한국선사상연구" 동국대불교문화연구원 201-244, 1984
3 백운경한, "한국불교전서 제6책" 동국대학교 출판부 1990
4 백운경한, "한국불교전서 제6책" 동국대학교 출판부 1990
5 김상영, "한국불교인물사상사" 민족사 232-243, 1990
6 한기두, "한국불교사상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445-510, 1986
7 한기두, "한국불교사상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11-567, 1986
8 황선주, "직지의 각주와 그 공안" 서원대호서문화연구소 11 : 35-54, 1997
9 황선주, "직지원문의 출전에 대하여" 청주 고인쇄발물관 5 : 5-21, 1998
10 김용환, "직지심체요절의 조사선 연구" 한국국민윤리학회 44 : 169-189, 2000
11 유영숙, "지촌 김갑주교수 화갑기념사학논총" 동국대 337-371, 1994
12 이종익, "정종박사 정년퇴임기념논문집 - 동서사상의 만남" 형설출판사 33-68, 1982
13 조영미, "정읍사상사" 민속원 41-76, 2017
14 백운경한, "역주백운화상어록" 충주고인쇄박물관 1998
15 김방룡, "여말 三師의 간화선 사상과 그 성격" 보조사상연구원 (23) : 179-225, 2005
16 임종욱, "선시의 발생 및 변용에 관한 연구" 동국대 국어국문국어교육과 13 : 1-19, 1986
17 김테흡, "석옥청공선사에 관한 연구" 불교사 57 : 46-54, 1929
18 황인규, "석옥청공과 여말삼사의 불교계활동-경한을 중심으로-" 청주고인쇄박물관 (13) : 211-230, 2006
19 김상영, "석옥청공과 백운경한의 선풍" 청주고인쇄박물관 13 : 1-21, 2006
20 김동환, "불조직지심체요절의 핵심내용과 백운화상 경한" 중부대인문사회과학연구소 4 (4): 53-70, 2000
21 전재강, "백운화상어록에 드러난 선의 성격과 산문적 표현" 한국시가문화학회 (45) : 171-204, 2020
22 백운경한, "백운화상어록" 동국대학교출판부 2019
23 정병조, "백운의 無心禪에 관하여" 한국불교학회 3 : 273-281, 1977
24 백운경한, "백운스님어록 白雲和尙語錄" 민족사 1996
25 이종군, "백운선사의 선시 연구" 백련불교문화재단 7 : 152-191, 1997
26 정제규, "백운경한의 재가불교신앙관" 청주고인쇄박물관 5 : 23-38, 1998
27 황인규, "백운경한과 고려말 선종계" 한국선학회 (9) : 215-254, 2004
28 심계웅, "백운경한 선사의 시세계" 청주대학교 대학원
29 조성택, "백운경한 선사상의 윤리사상적 가치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35) : 391-411, 2014
30 조성택, "백운경한 무심선의 세계시민성 화용 연구"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31 현문, "백운 경한의 생애와 선사상" (12) : 304-320,
32 전재강, "백운 경한 초록 「직지」에 실린 선시의 제시 맥락과 표현 원리" 한국선학회 (47) : 69-98, 2017
33 학담, "고려말 임제법통의 전수와 백운선사의 무심선" 서원대 호서문화연구소 13 : 33-45, 1999
34 권기종, "가산 이지관스님 화갑기념논총 한국불교문화사상사 상" 가산불교문화진흥원 271-287, 1992
35 印權煥, "高麗時代 佛敎詩의 硏究 : 禪家의 詩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3
36 변영희, "白雲景閑의 禪思想과 ‘無心眞宗’의 詩學" 한국사상문화학회 (83) : 29-50, 2016
37 임준성, "白雲 景閑의 詩世界-無心의 美學을 中心으로-" 한국시가문화학회 (13) : 175-195, 2004
38 전재강, "『백운화상어록』의 선시 제시 국면과 선시에 나타난 대상 인식" 한국문학언어학회 (81) : 117-144, 2019
39 金鐘明, "≪直指≫의 禪사상과 그 의의" 역사학회 177 : 33-65,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