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介庵 姜翼의 산문 문학에 드러난 학문 지향 = Expressed in Prose Works, Kang Ik(姜翼)'s Stu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21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focuses on Kang Ik(姜翼,1523-1567)'s studies and academic feature. Kang Ik was a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 in Ham-yang[咸陽] Korea. He studied heartily throughout his lifetime and practiced it consistently. This is expressed through his writing 「Yangjinjaeki[養眞齋記]」. Many people, such as Jo Sik[曺植], appreciated his academic achievement. And He was one of the people who played a big part in building Namgye-seowon[蘫溪書院], and recorded the process and purpose of the construction. The work is called 「Namgye-seowongi[蘫溪書院記]」. As a result, He not only practiced his studies personally, but als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social dissemination.
      Kang Ik gave up the national examination at a young age and devoted himself to studying by turning his direction to Wigijihak[爲己之學]. Also, through self-awareness[自得], he was able to study elaborately. Kang Ik described his intention for his study in 「Yangjinjaeki」. In Yangjinjae, all natural and artificial conditions were to serve for his study. In addition, he described the reason why we should remember Jung Yeo-chang[鄭汝昌] through 「Namgye-seowongi[蘫溪書院記]」, and explained the educational function of Namgye-seowon. The identity of Confucian scholars was strengthened by the activities of Kang Ik in the mid 16th century.
      번역하기

      This article focuses on Kang Ik(姜翼,1523-1567)'s studies and academic feature. Kang Ik was a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 in Ham-yang[咸陽] Korea. He studied heartily throughout his lifetime and practiced it consistently. This is expressed th...

      This article focuses on Kang Ik(姜翼,1523-1567)'s studies and academic feature. Kang Ik was a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 in Ham-yang[咸陽] Korea. He studied heartily throughout his lifetime and practiced it consistently. This is expressed through his writing 「Yangjinjaeki[養眞齋記]」. Many people, such as Jo Sik[曺植], appreciated his academic achievement. And He was one of the people who played a big part in building Namgye-seowon[蘫溪書院], and recorded the process and purpose of the construction. The work is called 「Namgye-seowongi[蘫溪書院記]」. As a result, He not only practiced his studies personally, but als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social dissemination.
      Kang Ik gave up the national examination at a young age and devoted himself to studying by turning his direction to Wigijihak[爲己之學]. Also, through self-awareness[自得], he was able to study elaborately. Kang Ik described his intention for his study in 「Yangjinjaeki」. In Yangjinjae, all natural and artificial conditions were to serve for his study. In addition, he described the reason why we should remember Jung Yeo-chang[鄭汝昌] through 「Namgye-seowongi[蘫溪書院記]」, and explained the educational function of Namgye-seowon. The identity of Confucian scholars was strengthened by the activities of Kang Ik in the mid 16th centu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介庵 姜翼(1523-1567)의 학문 특징을 살펴보고 그의 학문 지향이 문학작품에서 어떻게 표출되고 있는가를 중점적으로 서술하였다. 강익은 당대 함양 지역의 대표적인 유학자로 평생을 수양으로 일관하였고, 남계서원 건립을 주도하는 등 유학의 사회적 보급에도 힘을 기울인 인물이다. 이러한 강익의 학문 특징은 그가 남긴 記文에 집약되어 있다.
      강익은 이른 나이에 과거를 포기하고 爲己之學으로 방향을 선회하여 학문에 정진하였는데, 이는 스승 唐谷 鄭希輔(1486-1547)나 南冥 曺植(1501-1572)의 영향 외에도 자신의 과단한 실천 성향이 그 기저에 자리했다. 과단한 실천 성향이 위기지학을 확고히 실천하도록 만든 요인이며, 성현의 본지를 ‘自得’하는 학문 방법을 통해 더욱 정교한 실천을 도모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조식은 강익에 대해 ‘끝을 잘 맺을 것이 분명한 인물’이라는 평가를 하였다.
      강익에게서는 문학에 대한 뚜렷한 관점이 감지되지 않는데, 이는 문학에 대한 고민보다 심신수양에 역점을 두었던 그의 학문 지향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그의 학문 지향이 집약된 작품이 「양진재기」이다.
      강익은 「양진재기」에서 양진재를 건립하게 된 경위와 택지의 이유 및 의도 등을 설명하였다. 이 작품에서 강익은 성정의 참됨[性情之眞]을 기르고자 외부와 격리된 곳에 택지를 하고, 주변의 자연물과 자신의 공부방이 교감할 수 있도록 안배하였으며, 수양을 돕는 물건들도 주위에 배치하였다. 즉 「양진재기」는 강익의 자기 수양을 위해 자연물·인공물을 가려서 배치하고 연출한 의도와 그 속에서 성정의 참됨 기르고자 했던 학문적 지향이 담긴 글이다.
      ‘양진재’가 본인의 학문 정진을 위해 사적 공간을 의도대로 조직한 건물이라면, ‘남계서원’은 학문의 표본을 제시함으로써 지역사회에 유학을 널리 장려하고자 설립한 건물인데, 이러한 강익의 학문적 지향이 표출된 글이 「남계서원기」이다. 「남계서원기」에서는 一蠹 鄭汝昌을 제향해야 하는 도학적 당위와 서원의 교육·교화적 기능을 주로 설명하였다. 인간만이 도를 사회에 실천할 수 있는데 이는 도를 지닌 사람만이 가능하므로 정여창과 같은 선현을 서원에 제향하여 추모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선현을 서원에 모시고 제사지내는 의식이 학생들을 고무시키는 측면이 있으며, 이를 통해 정여창의 도를 실천할 수 있는 사람이 늘어난다면 유학이 부흥할 거라는 것이다.
      강익은 두 편의 記文을 통해 내면으로 학문을 실천하려는 의지와 대외적으로 학문을 장려하려는 의지를 표명하였다. 16세기 초반부터 조식·이황과 같은 인물들이 등장하여 유학자로서의 표상을 정립하기 시작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일관되게 유학적 가치를 실천하고 보급한 강익과 같은 인물이 등장하여 사림의 자기 정체성이 더욱 뚜렷해졌던 것이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介庵 姜翼(1523-1567)의 학문 특징을 살펴보고 그의 학문 지향이 문학작품에서 어떻게 표출되고 있는가를 중점적으로 서술하였다. 강익은 당대 함양 지역의 대표적인 유학자로 평...

      이 글에서는 介庵 姜翼(1523-1567)의 학문 특징을 살펴보고 그의 학문 지향이 문학작품에서 어떻게 표출되고 있는가를 중점적으로 서술하였다. 강익은 당대 함양 지역의 대표적인 유학자로 평생을 수양으로 일관하였고, 남계서원 건립을 주도하는 등 유학의 사회적 보급에도 힘을 기울인 인물이다. 이러한 강익의 학문 특징은 그가 남긴 記文에 집약되어 있다.
      강익은 이른 나이에 과거를 포기하고 爲己之學으로 방향을 선회하여 학문에 정진하였는데, 이는 스승 唐谷 鄭希輔(1486-1547)나 南冥 曺植(1501-1572)의 영향 외에도 자신의 과단한 실천 성향이 그 기저에 자리했다. 과단한 실천 성향이 위기지학을 확고히 실천하도록 만든 요인이며, 성현의 본지를 ‘自得’하는 학문 방법을 통해 더욱 정교한 실천을 도모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조식은 강익에 대해 ‘끝을 잘 맺을 것이 분명한 인물’이라는 평가를 하였다.
      강익에게서는 문학에 대한 뚜렷한 관점이 감지되지 않는데, 이는 문학에 대한 고민보다 심신수양에 역점을 두었던 그의 학문 지향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그의 학문 지향이 집약된 작품이 「양진재기」이다.
      강익은 「양진재기」에서 양진재를 건립하게 된 경위와 택지의 이유 및 의도 등을 설명하였다. 이 작품에서 강익은 성정의 참됨[性情之眞]을 기르고자 외부와 격리된 곳에 택지를 하고, 주변의 자연물과 자신의 공부방이 교감할 수 있도록 안배하였으며, 수양을 돕는 물건들도 주위에 배치하였다. 즉 「양진재기」는 강익의 자기 수양을 위해 자연물·인공물을 가려서 배치하고 연출한 의도와 그 속에서 성정의 참됨 기르고자 했던 학문적 지향이 담긴 글이다.
      ‘양진재’가 본인의 학문 정진을 위해 사적 공간을 의도대로 조직한 건물이라면, ‘남계서원’은 학문의 표본을 제시함으로써 지역사회에 유학을 널리 장려하고자 설립한 건물인데, 이러한 강익의 학문적 지향이 표출된 글이 「남계서원기」이다. 「남계서원기」에서는 一蠹 鄭汝昌을 제향해야 하는 도학적 당위와 서원의 교육·교화적 기능을 주로 설명하였다. 인간만이 도를 사회에 실천할 수 있는데 이는 도를 지닌 사람만이 가능하므로 정여창과 같은 선현을 서원에 제향하여 추모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선현을 서원에 모시고 제사지내는 의식이 학생들을 고무시키는 측면이 있으며, 이를 통해 정여창의 도를 실천할 수 있는 사람이 늘어난다면 유학이 부흥할 거라는 것이다.
      강익은 두 편의 記文을 통해 내면으로 학문을 실천하려는 의지와 대외적으로 학문을 장려하려는 의지를 표명하였다. 16세기 초반부터 조식·이황과 같은 인물들이 등장하여 유학자로서의 표상을 정립하기 시작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일관되게 유학적 가치를 실천하고 보급한 강익과 같은 인물이 등장하여 사림의 자기 정체성이 더욱 뚜렷해졌던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吳健, "歷年日記"

      2 李相弼, "덕계 오건의 『역년일기』 소고" (5) : 1997

      3 李相弼, "남명의 삶과 그 자취 1" 경인문화사 2007

      4 윤희면, "경상도 함양의 灆溪書院 연구" 경남문화연구원 (26) : 363-403, 2008

      5 鄭復顯, "梅村集"

      6 "山海師友淵源錄"

      7 鄭希輔, "唐谷實紀"

      8 "周易正義"

      9 姜翼, "介庵集"

      10 구진성, "介庵 姜翼의 산문 문학에 드러난 학문 지향" 경남문화연구원 (56) : 247-275, 2017

      1 吳健, "歷年日記"

      2 李相弼, "덕계 오건의 『역년일기』 소고" (5) : 1997

      3 李相弼, "남명의 삶과 그 자취 1" 경인문화사 2007

      4 윤희면, "경상도 함양의 灆溪書院 연구" 경남문화연구원 (26) : 363-403, 2008

      5 鄭復顯, "梅村集"

      6 "山海師友淵源錄"

      7 鄭希輔, "唐谷實紀"

      8 "周易正義"

      9 姜翼, "介庵集"

      10 구진성, "介庵 姜翼의 산문 문학에 드러난 학문 지향" 경남문화연구원 (56) : 247-275, 2017

      11 金一根, "介庵 姜翼 先生의 生涯와 文學" 건국대학교 2 : 1962

      12 尹浩鎭, "『介庵集』 解題" 10 :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5-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남명학연구소 -> 경남문화연구원
      영문명 : The Nammyonghak Study Institute -> Institute of Gyeongnam Cul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98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