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회 구성원들이 공존할 수 있는 사회통합 체제를 구축하는 일이 바람직한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당면 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216220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7-40(34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회 구성원들이 공존할 수 있는 사회통합 체제를 구축하는 일이 바람직한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당면 과...
우리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회 구성원들이 공존할 수 있는 사회통합 체제를 구축하는 일이 바람직한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당면 과제가 되었다. 본고에서는 국어교육의 외연(外延)을 ‘다문화 배경 국어 공동체’로 확대하고, 이 안에서 새롭게 요구되는 사회통합의 도구로서의 국어교육의 역할을 탐색해 보았다. 사회통합을 위한 국어교육의 방향은 민족어 교육이 아닌 ‘다문화배경 국어 공동체’ 안에서 공용어인 국어를 가르침으로써 일반 학생뿐만 아니라 소수자 그룹 학생 모두를 위한 임파워먼트 차원의 문식성 교육이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사회통합을 위한 국어교육은 다문화 문식력 함양을 목표로 하되, 이를 실천하기 위한 대안으로 비판적 교수법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our society enters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building a social integration system capable of coexisting social members with diverse backgrounds has become a very important task in preparation of a desirable future society. In this paper, I exte...
As our society enters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building a social integration system capable of coexisting social members with diverse backgrounds has become a very important task in preparation of a desirable future society. In this paper, I extend the outlin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multicultural background Korean language community' and explore the rol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new social integration tool.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social integration is not an ethnic language education, but it teaches Korean as a common language in 'multicultural background community', and it is suggested that it should be literacy education for empowerment level for both general students and minority group students. In addi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social integration aimed at cultivating multicultural literacy, but suggested a critical pedagogy as an alternative to practice it.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인진, "한국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4 : 65-88, 2009
2 윤여탁, "한국에서의 문식성 교육의 반성과 전망" 국어교육연구소 (36) : 535-561, 2015
3 민현식, "한국어교육에서 소위 다문화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5 (5): 115-150, 2008
4 배영주, "프레이리(P. Freire) 비판적 문해교육방법을 활용한 실천적 다문화교수법 구상"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6 (6): 1-24, 2016
5 박천웅, "프락시스 중심의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38, 2013
6 강휘원, "캐나다 다문화사회의 통합과 이중언어정책" 국가정책연구소 23 (23): 193-222, 2009
7 원진숙,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의 다문화 문식성 함양을 위한 다문화 제재 텍스트 구성 방안" 초등교육연구원 26 (26): 197-218, 2015
8 박윤경, "지식 구성과 다문화 문식성 교육" 한국독서학회 (18) : 97-126, 2007
9 원진숙, "이중언어강사와의 협력적 교수에 기반한 KSL 프로그램 운영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 (2): 259-292, 2016
10 차용호, "이민자 사회통합과 다문화사회" 12 : 2-4, 2008
1 윤인진, "한국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평가와 향후 과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4 : 65-88, 2009
2 윤여탁, "한국에서의 문식성 교육의 반성과 전망" 국어교육연구소 (36) : 535-561, 2015
3 민현식, "한국어교육에서 소위 다문화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5 (5): 115-150, 2008
4 배영주, "프레이리(P. Freire) 비판적 문해교육방법을 활용한 실천적 다문화교수법 구상"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6 (6): 1-24, 2016
5 박천웅, "프락시스 중심의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38, 2013
6 강휘원, "캐나다 다문화사회의 통합과 이중언어정책" 국가정책연구소 23 (23): 193-222, 2009
7 원진숙,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의 다문화 문식성 함양을 위한 다문화 제재 텍스트 구성 방안" 초등교육연구원 26 (26): 197-218, 2015
8 박윤경, "지식 구성과 다문화 문식성 교육" 한국독서학회 (18) : 97-126, 2007
9 원진숙, "이중언어강사와의 협력적 교수에 기반한 KSL 프로그램 운영 방안 연구"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 (2): 259-292, 2016
10 차용호, "이민자 사회통합과 다문화사회" 12 : 2-4, 2008
11 윤인진, "사회통합을 위한 언어 정책" 16 (16): 83-100, 2006
12 천경록, "사회적 독서와 비판적 문식성에 대한 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101) : 7-35, 2014
13 정숙경, "비판적 교수법과 영어교육" 한국문화사 2016
14 한상길, "문해의 개념과 문해교육 실천 방향" 한국성인교육학회 20 (20): 29-50, 2017
15 옥현진, "문식성 재개념화와 새로운 문식성 교수․학습을 위한 방향 탐색" 청람어문교육학회 (47) : 61-86, 2013
16 김지윤, "닫힌 대한민국 : 한국인의 다문화 인식과 정책" 아산정책연구원 2014
17 한명숙, "다문화시대의 한국어 통일과 국어교육의 과제 - ‘한국어사회’와 ‘한국어 공동체’의 개념 수립을 기반으로 -" 청람어문교육학회 (60) : 215-237, 2016
18 한명숙, "다문화시대의 범교과적 문화교육 탐구 - 문학경험을 통한 문화능력의 함양을 중심으로 -" 한국국어교육학회 (106) : 149-176, 2016
19 모경환, "다문화가정 학생 언어교육의 국내외 현황 및 언어교육 강화 방안" 한국다문화교육학회 8 (8): 197-226, 2015
20 서혁, "다문화 시대의 국어교육과 다문화 문식성 교육"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8) : 1-20, 2011
21 민병곤, "다문화 시대 한국어 의사소통과 문화교육" 아산사회복지재단 27-58, 2016
22 원진숙, "다문화 시대 국어교육의 역할" 국어교육학회 (30) : 23-50, 2007
23 송현정, "다문화 사회의 국어교육 변화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8 (8): 45-63, 2011
24 송현정, "다문화 사회의 국어과 교육 내용 분석 연구" 영주어문학회 28 : 197-223, 2014
25 원진숙, "다문화 배경 국어 교육 공동체 구성원들의 언어 의식" 국어교육학회 (46) : 111-138, 2013
26 권순희, "다문화 문식성 제고를 위한 읽기 텍스트 구성 방안 연구" 국어교육학회 (33) : 177-204, 2008
27 윤인진, "다문화 가족의 언어 사용과 아동의 사회정체성" 이중언어학회 (48) : 273-308, 2012
28 민현식, "국어교육의 철학과 정책" 국어교육학회 51 (51): 5-52, 2016
29 최숙기,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문식성의 교육 내용 요소 및 실현 양상 분석" 한국국어교육학회 (94) : 31-81, 2013
30 최숙기, "국어 교과서 다문화 제재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독서학회 (18) : 287-319, 2007
31 민현식, "國語文化의 正體性과 多樣性문제-多文化論에 대한 批判을 위하여" 세계한국어문학회 (3) : 83-134, 2010
32 Freire, Paulo, "Pedagogy of the Oppressed" Header & Header 1970
33 McLaren, P., "Life in Schools: In Introduction to Critical Pedagogy and the Foundations of Education" Longman 1989
34 Lewison, "Creating critical classrooms: K-8 reading and writing with an edge" Lawrence Erlbaum 2007
35 Banks, J. A.,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2008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한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독서 문항의 Q 행렬 타당화 연구 -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6월 모의평가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10-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ln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 |
2017-05-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7 | 1.07 | 1.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4 | 1.04 | 1.728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