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연구용 전자출판물 사용경험 정의 및 사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finition of User Experience toward Electronic Publication for Education and Research and the Usability Test for the Electronic Publication Devi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837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user experience and to evaluate the usability toward electronic publication for education and research. As research methods, After total 20 people of 10 undergraduate students and 10 graduate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as the subjec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using the in-depth interview and the e-book reader experimental method. As the results of analysis about subjective preferences in case of using academic resources, The subject relevance and understandability were responded as most important factors for selecting academic resources. And the most frequent purposes for using academic resources were to perform an assignment and to write an article. As the results of analysis about the user experience for using the print media and electronic media, the user experience of the print media is more positive than the electronic media and especially these results were caused by academic situation. Many subjects responded that the electronic media is more inconvenient in case of using academic resources. As a result of the e-book reader usability test, the hardware test score (3.47) is higher than the software test score (3.31).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user experience and to evaluate the usability toward electronic publication for education and research. As research methods, After total 20 people of 10 undergraduate students and 10 graduate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user experience and to evaluate the usability toward electronic publication for education and research. As research methods, After total 20 people of 10 undergraduate students and 10 graduate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as the subjec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using the in-depth interview and the e-book reader experimental method. As the results of analysis about subjective preferences in case of using academic resources, The subject relevance and understandability were responded as most important factors for selecting academic resources. And the most frequent purposes for using academic resources were to perform an assignment and to write an article. As the results of analysis about the user experience for using the print media and electronic media, the user experience of the print media is more positive than the electronic media and especially these results were caused by academic situation. Many subjects responded that the electronic media is more inconvenient in case of using academic resources. As a result of the e-book reader usability test, the hardware test score (3.47) is higher than the software test score (3.31).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연구용 전자출판물에 대한 이용자의 현재 사용 경험과 실제 기기를 활용한 사용성을 평가하고, 개선사항을 심층 분석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학부생과 대학원생 각 10명씩 총 20명을 임의 선정하고 심층면담 및 전자책 리더기 실험방식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피실험자의 학술정보 이용 시 주관적인 선호사항을 분석한 결과 주제성과 이해가능성이 가장 중요한 학술정보 선택시의 고려사항으로 응답되었으며, 학술정보를 활용하는 주요 목표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가장 빈번한 목표는 과제수행, 논문작성 상황으로 조사되었다. 인쇄매체와 전자매체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인쇄매체에 대한 사용자 경험이 전자매체에 대한 사용자 경험이 더욱 긍정적이며, 학술정보를 활용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전자매체 활용에 대한 부정적인 사용자 경험이 다수 존재하였다. 전자출판물 디바이스 사용성 평가 결과는 전체적으로는 하드웨어 평가(3.47)가 소프트웨어 평가(3.31)보다 높게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교육․연구용 전자출판물에 대한 이용자의 현재 사용 경험과 실제 기기를 활용한 사용성을 평가하고, 개선사항을 심층 분석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학부생과 대학원생 각 10...

      본 연구는 교육․연구용 전자출판물에 대한 이용자의 현재 사용 경험과 실제 기기를 활용한 사용성을 평가하고, 개선사항을 심층 분석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학부생과 대학원생 각 10명씩 총 20명을 임의 선정하고 심층면담 및 전자책 리더기 실험방식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피실험자의 학술정보 이용 시 주관적인 선호사항을 분석한 결과 주제성과 이해가능성이 가장 중요한 학술정보 선택시의 고려사항으로 응답되었으며, 학술정보를 활용하는 주요 목표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가장 빈번한 목표는 과제수행, 논문작성 상황으로 조사되었다. 인쇄매체와 전자매체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인쇄매체에 대한 사용자 경험이 전자매체에 대한 사용자 경험이 더욱 긍정적이며, 학술정보를 활용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전자매체 활용에 대한 부정적인 사용자 경험이 다수 존재하였다. 전자출판물 디바이스 사용성 평가 결과는 전체적으로는 하드웨어 평가(3.47)가 소프트웨어 평가(3.31)보다 높게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연경, "전자책에 대한 도서관의 학부모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22 (22): 109-127, 2011

      2 김제민, "전자책 표준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점자전자책 개발" 한국정보과학회 17 (17): 369-377, 2011

      3 한혜원, "전자책 콘텐츠의 체험성과 독서경험" 한국콘텐츠학회 11 (11): 171-181, 2011

      4 조현양, "전자책 아카이빙을 위한 협력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21 (21): 161-178, 2010

      5 곽승진, "전자책 단말기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8 (28): 313-333, 2011

      6 조수선, "웹 공통 API를 이용한 스마트폰 전자책 응용" 한국콘텐츠학회 11 (11): 28-33, 2011

      7 교육과학기술부,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실행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11

      8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디지털교과서의 적응적 서비스를 위한 표준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9 배경재, "대학생의 과제해결과정 중 정보적합성 판단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31 (31): 189-206, 2014

      10 Diaz, Paloma, "Usability of Hypermedia Educational e-Books" 9 (9): 2003

      1 정연경, "전자책에 대한 도서관의 학부모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22 (22): 109-127, 2011

      2 김제민, "전자책 표준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점자전자책 개발" 한국정보과학회 17 (17): 369-377, 2011

      3 한혜원, "전자책 콘텐츠의 체험성과 독서경험" 한국콘텐츠학회 11 (11): 171-181, 2011

      4 조현양, "전자책 아카이빙을 위한 협력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21 (21): 161-178, 2010

      5 곽승진, "전자책 단말기의 사용성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8 (28): 313-333, 2011

      6 조수선, "웹 공통 API를 이용한 스마트폰 전자책 응용" 한국콘텐츠학회 11 (11): 28-33, 2011

      7 교육과학기술부,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실행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11

      8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디지털교과서의 적응적 서비스를 위한 표준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9 배경재, "대학생의 과제해결과정 중 정보적합성 판단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31 (31): 189-206, 2014

      10 Diaz, Paloma, "Usability of Hypermedia Educational e-Books" 9 (9): 2003

      11 Bellaver. Richard, "Students favor e-books over paper books in yet another BSU study:Lesson for K-12 and publishers?"

      12 Rothman, David, "Kids and e-books: Good news from Ball State’s e-dictionary studies"

      13 Fidel, R., "A Framework for Cognitive Work Analysis"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7 0.952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