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명대(明代)후기 산차(散茶)문화 성립과정에 대한 고찰 = Study on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Loose Tea Culture in the Late Ming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666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산차와 초청제법의 맹아기인 송·원대를 지나, 명초기 태조의 “단차폐지령” 이후 150년 이상의과도기를 거쳐, 명대 후기에 이르러 초청법과 호포법으로 대표되는 산차문화로 정...

      본 논문은 산차와 초청제법의 맹아기인 송·원대를 지나, 명초기 태조의 “단차폐지령” 이후 150년 이상의과도기를 거쳐, 명대 후기에 이르러 초청법과 호포법으로 대표되는 산차문화로 정립되는 과정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송·원대부터 단병차와 함께 존재했던 초차(산차), 산차 자다법 등을 여러 관련문헌기록들을 통해 명대 산차문화로의 전환에 대한 시대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명대 산차문화가 정착된16세기말 이전의 다서들를 중심자료로 삼아, 산차와 말차의 공존, 증청법과 초청법의 공존, 산차 점다법, 촬포법, 산차 자다법, 산차 포다법 등의 상호 관계와 전개과정을 파악하고 정리하였다. 결국, 명대 포다법은 절강지역에서 유행한 찻그릇을 이용한 산차 점다법(촬포법)과 강소지역에서 성행한 다호를 이용한 산차 자다법이라는 두가지 흐름에서 기원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명대 후기 자사호가 호포법의 핵심 다호로 대두되는 데에 문인다인들의 심미관이 큰 영향을 주었음을 밝히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ports the Method of San tea brewing in the Ming dynasty after an approximately 150-year transition period after emperor Taizu issued the Repeal order of Tuan tea. To this end, through various relevant documents, this study first investiga...

      This paper reports the Method of San tea brewing in the Ming dynasty after an approximately 150-year transition period after emperor Taizu issued the Repeal order of Tuan tea. To this end, through various relevant documents,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the background of the transition from the Cao tea (San tea) and the method of loose tea brewing, which existed at the same time in the Song-Yuan dynasty, to the loose tea culture in the Ming dynasty. Taking the tea books before the establishment of loose tea culture in the Ming dynasty in 1600 as the central data, the author respectively understood and sorted out the mutual relations and development process between loose tea and dust tea, steamed green tea and stir-fried green tea, the point tea method of loose tea, blister method, the boiling tea method, and brewing tea method of loose tea. Through this process, the origin of tea making in the Ming dynasty can be attributed to two trends: the popular tea bowl method in Hangzhou and the popular teapot method in Suzhou. In addition, under the influence of literati in the late Ming Dynasty, the paper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zisha teapots became the core tea prop of the pot brewing method of loose t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본 론 결 론 참고문헌
      • 서 론 본 론 결 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葛立方, "韻語陽秋. 卷五" 國學大師

      2 周高起, "陽羨茗壺繫. 大家"

      3 文震亨, "長物志. 卷十二 茶壺"

      4 葉夢得, "避暑錄話. 卷上" 國學大師

      5 張源, "造茶(中國曆代茶書匯編 校注本)"

      6 韩星海, "解读汉阳陵墓中出土的茶葉" 39 (39): 30-31, 2017

      7 沈德符, "萬曆野獲編" 中華書局 799-, 1959

      8 張源, "茶錄. 飮茶(中國曆代茶書匯編 校注本)"

      9 張源, "茶錄. 投茶(中國曆代茶書匯編 校注本)"

      10 朱權, "茶譜.(中國曆代茶書匯編 校注本)"

      1 葛立方, "韻語陽秋. 卷五" 國學大師

      2 周高起, "陽羨茗壺繫. 大家"

      3 文震亨, "長物志. 卷十二 茶壺"

      4 葉夢得, "避暑錄話. 卷上" 國學大師

      5 張源, "造茶(中國曆代茶書匯編 校注本)"

      6 韩星海, "解读汉阳陵墓中出土的茶葉" 39 (39): 30-31, 2017

      7 沈德符, "萬曆野獲編" 中華書局 799-, 1959

      8 張源, "茶錄. 飮茶(中國曆代茶書匯編 校注本)"

      9 張源, "茶錄. 投茶(中國曆代茶書匯編 校注本)"

      10 朱權, "茶譜.(中國曆代茶書匯編 校注本)"

      11 都隆, "茶說. 七之具(中國曆代茶書匯編 校注本)"

      12 夏樹芳, "茶董. 小序"

      13 陳師, "茶考.(中國曆代茶書匯編 校注本)"

      14 張謙德, "茶經. 茶壺(中國曆代茶書匯編 校注本)"

      15 陸羽, "茶經. 六之飮(中國曆代茶書匯編 校注本)"

      16 許次紓, "茶疏. 甌注(中國曆代茶書匯編 校注本)"

      17 許次紓, "茶疏. 今古製法(中國曆代茶書匯編 校注本)"

      18 王禎, "王禎農書" 中華書局 113-, 1956

      19 田藝蘅, "煮泉小品. 宜茶(中國曆代茶書匯編 校注本)"

      20 徐渭, "煎茶七類. 三烹點(中國曆代茶書匯編 校注本)"

      21 歐陽修, "歸田錄. 卷一" 國學大師

      22 郭孟良, "晚明茶書的出版傳播考察" 11 (11): 76-, 2011

      23 蔡定益, "明代茶書硏究" 安徽大學 2016

      24 閻海青, "明代茶文化的特征淺析" 5 : 22-, 2017

      25 王建平, "明代茶文化復興中江西人的貢獻-以明代茶書爲例" 5 : 152-153, 2018

      26 淸世宗雍正, "御定子史精华. 一百五十一 食饌部一" 國學大師

      27 鄒鉉, "壽亲養老新書"

      28 忽思慧, "國學基本叢書 飮膳正要" 商務印書館 57-58, 1935

      29 趙汝礪, "北苑別錄.(中國曆代茶書匯 編 校注本)"

      30 陸廷燦, "八茶之出" 國學大師

      31 王立霞, "元代茶文化的傳播與創新" 5 : 15-, 2012

      32 丁以壽, "中國飮茶法流變考" 2 : 77-, 2003

      33 丁以壽, "中國飮茶法流變考" 2 : 74-79, 2003

      34 陸羽, "中國曆代茶書匯編 校注本" 商務印書館 2007

      35 陸羽, "三之造(中國曆代茶書匯編 校注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3 0.561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