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어 교육의 오용분석에서 비교적 소홀히 다루어 왔던 誤用評價(error evaluation), 즉 종래의 오용 빈도에 의한 양적 평가가 아닌 질적 평가인 오용의 重要度(error gravity)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어 교육의 오용분석에서 비교적 소홀히 다루어 왔던 誤用評價(error evaluation), 즉 종래의 오용 빈도에 의한 양적 평가가 아닌 질적 평가인 오용의 重要度(error gravity)를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어 교육의 오용분석에서 비교적 소홀히 다루어 왔던 誤用評價(error evaluation), 즉 종래의 오용 빈도에 의한 양적 평가가 아닌 질적 평가인 오용의 重要度(error gravity)를 구하는 데 있다. 이는 中間言語(interlanguage) 체계를 해명하려고 하는 학습이론 지향의 이론적 접근이 아니고, 언어 교육에 직접 응용을 지향하는 실천적 접근이다. 지금까지는 오용의 유형, 오용의 원인, 오용의 빈도를 조사하는 오용분석이 주로 행해졌으며, 오용의 중요도를 찾는 오용평가의 연구는 아직 초보 단계에 머물러 있다.
한국인 일본어 교사에게는 문법 오용의 認定(identification)은 비교적 쉽다. 그러나 오용 평가는 객관적 기준이 없어 교사 자신의 주관적인 판단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일본어 모어화자의 언어적 직관에 따른 객관적 기준이 요구되고 있다. 그것이 학습목표가 언어 전달 능력의 양성에 있어서, 언어 전달상의 영향을 고려한 판단일 경우에는 더욱 더 필요시 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이하, KJL이라고 한다.)에게 종종 일어나는 문법 오용에 대하여, 理解度(comprehensibility), 不快度(irritation), 自然度(naturalness)의 기준에 의한 일본어 모어화자(이하, JNS라고 한다.)의 평가를 조사하고자 한다. 즉 언어 전달상에서 어느 문법 오용이 심각한 오용인가를 찾고자 한다.
한편, 지금까지 문법 오용에 대한 평가의 연구는, 부분적[助詞, 趙(1996)]이고, 소수의 한정된 대상자[교과서(일본어 교사), 趙(1995)]의 오용에 대해서, 소수의 평가자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이에 본고에서는 다수의 문법 오용을 대상으로, 소수의 교사가 아닌 다수의 학습자의 오용에 대해서, 다수의 평가자를 고려했다. 구체적으로 다음의 사항을 조사한다.
(1)문법 오용에 대한 학년별 정답률.
(2)오용의 종류별 정답률.
(3)문제별 정답률.
(4)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오용 인정 유형.
(5)문법 오용의 평가 기준별 중요도.
(6)오용의 종류별 중요도
(7)평가의 기준에 따른, 문제별 오용의 중요도
(8)일본어 모어화자의 오용 인정 유형.
국문 초록 (Abstract)
정보원의 내용은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의 정보입니다.
정보원의 내용은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의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