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기발달 과정과 자기 특성들의 적응문제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3가지 연구문제를 탐색한다. 3가지 연구문제는 온라인 환경에서 표현되는 청소년의 자기애와 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3181
201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기발달 과정과 자기 특성들의 적응문제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3가지 연구문제를 탐색한다. 3가지 연구문제는 온라인 환경에서 표현되는 청소년의 자기애와 자...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기발달 과정과 자기 특성들의 적응문제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3가지 연구문제를 탐색한다. 3가지 연구문제는 온라인 환경에서 표현되는 청소년의 자기애와 자기효능감의 발달, 충동성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및 이 두 요인이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요인으로서 시간조망의 역할이다. 우선 첫 번째 연구문제는 SNS나 Youtube 등에 나타나는 자기표현의 방식과 내용의 시간에 따른 변화과정을 자기애와 관련하여 분석하고, 이런 자기애가 실제로 자기발달에 긍정적인 토대가 될 수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자기애와 자기효능감과의 관련성을 확인한다. 네트워크 세대로 불리는 현대의 청소년들은 SNS와 Youtube 등에 자기를 전시한다. 이런 자기노출 방식은 면대면 소통과 달리 다소 비현실적인 자기인식을 가진 청소년들이 자기를 노출하는데 적합할 뿐 아니라, 자신의 미숙함으로 인한 위축감을 약화함으로써 자기를 탐구하는 정서적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자신의 여러 미숙한 측면을 실험하고 확인하면서 자기효능감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가정들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 1에서는 Thomases 등의 자기애 검사와 Bandura의 자기효능감 검사를 이용하고, 온라인에서 자기표현은 온라인의 사용방식과 내용에 대한 질문지(개발)를 이용해서 측정할 것이다. 여기에는 자기와 관련되어 어떤 정보를 올리는지, 반응에 대한 민감성 및 탐색 정보의 정보 등이 포함된다. 수집된 자료는 온라인 자기표현과 자기애 간, 온라인 자기표현과 자기효능감 간, 그리고 자기애와 자기효능감 간 관련성을 분석할 것이다. 또한 이 요인들이 연령에 따라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통계처리는 상관분석 및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할 것이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청소년기의 충동성이 자기효능감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다. 충동성은 계획을 세우고 수행하는 것과 관련 있고, 자기효능감은 수행결과와 관련 있다. 따라서 이 둘 간의 관계는 부정적으로 보이지만, 실제로 충동성은 복잡한 하위개념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일 점수로서 설명하는 것으로는 충분치 않다. 또한 충동성은 틀에서 벗어나는 결정과 빠른 시작으로 인해 실수를 만회할 기회가 더 많을 수 있다는 점에서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런 가정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 2에서는 Whiteside와 Lynam의 충동성 검사를 실시하는데, 이 검사는 충동성의 4가지 하위요인을 측정한다. 여기서도 Bandura의 자기효능감 검사를 이용한다. 수집된 자료는 충동성의 하위요인들의 연령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고, 충동성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분석할 것이다. 통계처리는 상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할 것이다. 세 번째 연구문제는 자기애와 충동성 및 적응문제 간의 관련성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조망의 매개효과를 확인한다. 여러 연구에서 자기애는 공격성과 관련 있고 충동성은 학업이나 사회적 관계에서 문제를 유발하였다. 이 두 요인의 공통점은 인식이 좁다는 것으로 자신에게만 집중되어 있다거나 현재에만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적응문제에 미치는 두 요인의 잠재적인 매개요인으로 시간조망을 가정한다. 시간에 따른 자기의 변화 가능성과 결과에 대한 인식은 두 요인의 제약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간조망이 자기애나 충동성으로 인한 문제행동의 빈도나 강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 3에서는 Thomases 등의 자기애 검사, Bandura의 자기효능감 검사를 이용하고, Zimbardo의 시간조망 검사를 실시한다. 적응문제는 Rosenberg의 자존감 감사, Beck의 우울 검사, Kilgus등의 문제행동 검사를 실시한다. 수집된 자료는 자기애와 적응문제 간 및 자기효능감과 적응문제 간 관련성을 분석하고, 매개변인으로서 시간조망을 분석한다. 통계처리방식은 상관분석과 위계적 중다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을 실시할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2학년, 대학교 1,2학년 각 100이며, 사회계층은 중류층이고 남녀비율은 50:50으로 한다. 설문지는 집단으로 교사나 연구자가 직접 실시하고, 자료 분석은 통계분석프로그램인 SPSS와 AMOS를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