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노명호, "한국사 연구와 족보, In 한국사시민강좌 제24집" 일조각 1999
2 이정란, "족보의 자녀 수록방식을 통해서 본 여말선초 족보의 편찬 배경 -『安東權氏成化譜』 · 『文化柳氏嘉靖譜』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사학회 (25) : 117-155, 2008
3 송찬식, "족보의 간행, In 한국사시민강좌 제24집" 일조각 1999
4 이수건, "족보와 양반의식, In 한국사시민강좌 제24집" 일조각 1999
5 김용선, "족보 이전의 가계기록, In 한국사시민강좌 제24집" 일조각 1999
6 오영선, "조선초기 家系記錄에 대한 일고찰" 7 (7): 2001
7 차장섭, "조선시대 족보의 유형과 특징" 역사교육학회 44 (44): 239-278, 2010
8 李樹健, "조선시대 身分史관련 자료의 비판-姓貫家系人物관련 僞造 資料와 僞書를 중심으로-" 14 : 1998
9 백승종, "위조 족보의 유행, In 한국사시민강좌 제24집" 일조각 1999
10 남인국, "원 간섭기 지배세력의 존재양태-안동김씨 김방경계를 중심으로-" 역사교육학회 (38) : 233-271, 2007
1 노명호, "한국사 연구와 족보, In 한국사시민강좌 제24집" 일조각 1999
2 이정란, "족보의 자녀 수록방식을 통해서 본 여말선초 족보의 편찬 배경 -『安東權氏成化譜』 · 『文化柳氏嘉靖譜』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사학회 (25) : 117-155, 2008
3 송찬식, "족보의 간행, In 한국사시민강좌 제24집" 일조각 1999
4 이수건, "족보와 양반의식, In 한국사시민강좌 제24집" 일조각 1999
5 김용선, "족보 이전의 가계기록, In 한국사시민강좌 제24집" 일조각 1999
6 오영선, "조선초기 家系記錄에 대한 일고찰" 7 (7): 2001
7 차장섭, "조선시대 족보의 유형과 특징" 역사교육학회 44 (44): 239-278, 2010
8 李樹健, "조선시대 身分史관련 자료의 비판-姓貫家系人物관련 僞造 資料와 僞書를 중심으로-" 14 : 1998
9 백승종, "위조 족보의 유행, In 한국사시민강좌 제24집" 일조각 1999
10 남인국, "원 간섭기 지배세력의 존재양태-안동김씨 김방경계를 중심으로-" 역사교육학회 (38) : 233-271, 2007
11 김난옥, "여말선초 先祖意識과 족보편찬의 신분적 배경" 한국중세사학회 (25) : 59-88, 2008
12 金龍善, "高麗時代의 家系記錄과 ‘族譜’, In 고려금석문연구" 일조각 2004
13 宋俊浩, "韓國의 氏族制에 있어서의 本貫및 始祖의 問題-韓中兩國의 傳統社會를 比較하는 立場에서 그 性格을 究明한다-" 109 : 1986
14 宋俊浩, "韓國에 있어서의 家系記錄의 歷史와 그 解釋, In 朝鮮社會史硏究" 일조각 1987
15 정병완, "韓國族譜의 舊譜序比較硏究" 6 : 1986
16 鄭炳浣, "韓國族譜舊譜序集" 아세아문화사 1987
17 李樹健, "朝鮮前期姓貫體系와 族譜의 편찬체제, In 朴永錫敎授華甲紀念韓國史學論叢(上)" 탐구당 1992
18 심승구, "朝鮮初期族譜의 刊行形態에 관한 硏究" 89 : 2000
19 崔在錫, "族譜에 있어서의 派의 형성, In 韓國家族制 度史硏究" 일지사 1983
20 宋俊浩, "族譜를 통해서 본 韓中兩國의 전통사회, In 李丙燾博士九旬紀 念韓國史學論叢" 지식산업사 1987
21 權寧大, "成化譜攷" 20 : 1981
22 陸貞任, "宋元代 族譜修撰과 그 社會史的 意義" 고려사학회 (22) : 233-270, 2006
23 宮嶋博史, "『안동권씨성화보』를 통해서 본 한국 족보의 구조적 특성" 대동문화연구원 (62) : 201-241, 2008
24 권기석, "15∼17세기 族譜의 編制방식과 성격-序跋文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30 : 2007
25 EDWARD W. WAGNER, "1476年安東權氏族譜와 1565年文化柳氏族 譜-그 性格과 意味에 대한 考察-" 15 :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