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수건, "한국중세사연구" 일조각 1984
2 송준호, "한국에 있어서의 가계기록의 역사와 그 해석" 87 : 1980
3 노명호, "한국사 연구와 족보" 24 : 1999
4 최재석, "한국가족제도사연구" 일지사 1983
5 충렬공김방경기념사업회, "충렬공김방경자료집성"
6 권기석, "족보와 조선 사회" 태학사 2011
7 차장섭, "조선시대 족보의 편찬과 의의" 2 : 1997
8 송준호, "조선사회사연구" 일조각 1987
9 노명호, "이자겸일파와 한안인일파의 족당세력" 17 : 1987
10 "양촌집, 권35 In 동현사략"
1 이수건, "한국중세사연구" 일조각 1984
2 송준호, "한국에 있어서의 가계기록의 역사와 그 해석" 87 : 1980
3 노명호, "한국사 연구와 족보" 24 : 1999
4 최재석, "한국가족제도사연구" 일지사 1983
5 충렬공김방경기념사업회, "충렬공김방경자료집성"
6 권기석, "족보와 조선 사회" 태학사 2011
7 차장섭, "조선시대 족보의 편찬과 의의" 2 : 1997
8 송준호, "조선사회사연구" 일조각 1987
9 노명호, "이자겸일파와 한안인일파의 족당세력" 17 : 1987
10 "양촌집, 권35 In 동현사략"
11 "안동김씨족보:을유보"
12 "안동김씨족보:경진보"
13 "세조실록"
14 노명호, "산음장적을 통해본 17세기초 촌락의 혈연양상" 5 : 1979
15 백승종, "고려후기의 8조호구" 34 : 1984
16 노명호, "고려의 오복친과 친족관계 법제" 33 : 1981
17 김용선, "고려시대의 가계기록과 족보, In 이기백선생고희기념한국사학논총" 1994
18 노명호, "고려시기의 승음혈족과 귀족층의 음서기회, In 김철준박사화갑기념사학논총" 1983
19 박용운, "고려시기 科擧에서의 行卷과 家狀" 한국사연구회 (148) : 49-73, 2010
20 "고려사"
21 박용운, "고려사회와 문벌귀족가문" 경인문화사 2003
22 "고려사절요"
23 박용운, "고려사 백관지 역주" 신서원 2009
24 김용선, "고려묘지명집성(제4판)" 한림대학교출판부 2006
25 김용선, "고려묘지명집성(제4판)" 한림대학교출판부 2006
26 노명호, "가족제도" 15 : 1995
27 이종서, "高麗 八祖戶口式의 성립 시기와 성립 원인" 한국중세사학회 (25) : 5-29, 2008
28 최승희,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1989
29 藤田亮策, "李子淵と其の家系" (13~14) : 1933
30 박재우, "『華海師全』의 발견과 저작 연대" 1 : 2005
31 이종서, "(고려��조선의) 친족용어와 혈연의식" 신구문화사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