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69-74년 시기의 독일연방공화국의 독일정책(Deutschlandpolitik)과 CSCE = The “Deutschlandpolitik 1969-1974” in Federal Republic of Germany and CS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689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전후 독일연방공화국의 독일정책을 살펴보고 특히 1969년에서 74년까지의 동방정책을 중심으로 당시의 독일정책과 동방정책이 유럽안보회의와 어떠한 유기적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아데나워의 동방정책은 ‘떳떳한 서구의 동반자’로서 독일의 위치를 공고히 다져나가며 서구에 신뢰를 주는 것이었다. 또한 독일문제에 있어서 독일의 분단을 임시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독일민주공화국의 실체를 인정하지 않았다. 이에 반해 브란트의 동방정책은 독일민주공화국을 사실상 승인(de facto)하고 독일연방공화국의 단독대표권을 포기한다. 또한 전후의 국경선을 잠정적으로 인정함으로써 소련과 동구권에 신뢰를 주려했다. 브란트는 유럽안보회의를 주장하는데 본래 유럽안보협력회의는 1950년대 초부터 소련 측이 미국과 서방의 유대를 막고 유럽의 현상유지를 목적으로 제안한 것이었다. 소련 측은 이러한 유럽안보협력회의에 있어서 북미의 참여를 고려하지 않았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부터 있었던 미국의 월남전 개입문제와 소련의 체코 사태 및 중소분쟁 등의 일련의 상황들은 양 초강대국의 데탕트 논의를 가능케 했다. 이러한 데탕트의 합의 속에서 브란트의 동방정책은 현상유지정책을 추진하면서 동구권과의 관계 개선과 유럽안보협력회의에 적극적으로 나섬으로서 1970년대 초반의 유럽의 평화질서 구축에 매진하려 했다. 유럽안보회의는 유럽의 현상유지를 공고화했으나 유럽의 평화구현에 기여했다. 본고는 동방정책의 성격을 규명하고 유럽안보회의와 독일문제의 연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고는 전후 독일연방공화국의 독일정책을 살펴보고 특히 1969년에서 74년까지의 동방정책을 중심으로 당시의 독일정책과 동방정책이 유럽안보회의와 어떠한 유기적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본고는 전후 독일연방공화국의 독일정책을 살펴보고 특히 1969년에서 74년까지의 동방정책을 중심으로 당시의 독일정책과 동방정책이 유럽안보회의와 어떠한 유기적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아데나워의 동방정책은 ‘떳떳한 서구의 동반자’로서 독일의 위치를 공고히 다져나가며 서구에 신뢰를 주는 것이었다. 또한 독일문제에 있어서 독일의 분단을 임시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독일민주공화국의 실체를 인정하지 않았다. 이에 반해 브란트의 동방정책은 독일민주공화국을 사실상 승인(de facto)하고 독일연방공화국의 단독대표권을 포기한다. 또한 전후의 국경선을 잠정적으로 인정함으로써 소련과 동구권에 신뢰를 주려했다. 브란트는 유럽안보회의를 주장하는데 본래 유럽안보협력회의는 1950년대 초부터 소련 측이 미국과 서방의 유대를 막고 유럽의 현상유지를 목적으로 제안한 것이었다. 소련 측은 이러한 유럽안보협력회의에 있어서 북미의 참여를 고려하지 않았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부터 있었던 미국의 월남전 개입문제와 소련의 체코 사태 및 중소분쟁 등의 일련의 상황들은 양 초강대국의 데탕트 논의를 가능케 했다. 이러한 데탕트의 합의 속에서 브란트의 동방정책은 현상유지정책을 추진하면서 동구권과의 관계 개선과 유럽안보협력회의에 적극적으로 나섬으로서 1970년대 초반의 유럽의 평화질서 구축에 매진하려 했다. 유럽안보회의는 유럽의 현상유지를 공고화했으나 유럽의 평화구현에 기여했다. 본고는 동방정책의 성격을 규명하고 유럽안보회의와 독일문제의 연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독일연방공화국의 독일정책
      • Ⅲ. 사민당(SPD)의 집권과 독일문제에 대한 기능주의적 접근
      • Ⅳ. 유럽안보협력회의(CSCE)의 개최와 동방정책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독일연방공화국의 독일정책
      • Ⅲ. 사민당(SPD)의 집권과 독일문제에 대한 기능주의적 접근
      • Ⅳ. 유럽안보협력회의(CSCE)의 개최와 동방정책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오중, "제네바 한국평화회담(1954)의 진행, 결과 그리고 의미: 한반도 6자회담의 원형?" 통일연구원 14 (14): 153-180, 2005

      2 이영기, "동아시아에 있어서 CSCE모델의 유용성"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3 : 1994

      3 한국 중앙정보부(KCIA), "동서독 자료집 1-4집"

      4 노명환, "독일연방공화국의 마샬계획 정책과 동방 무역 정책 - 아데나워의 독일통일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서양사학회 39 (39): 1992

      5 권오중, "독일과 한국의 분단과 통일문제의 구조적 차이와 양국 정부가 추진한 통일정책의 변화와 한계에 대한 연구" 한국독일사학회 (14) : 21-48, 2007

      6 권오중, "국가적 통일인가, 서방측으로의 통합인가? ― 독일연방공화국(구 서독)의 정부수립과 아데나워 정부의 독일정책 결정에 관한 문제―" 역사교육연구회 (91) : 217-247, 2004

      7 Richard Löwenthal, "vom Kalten Krieg zur Ostpolitik" Seewald Verlag 1974

      8 Prittie, Terence, "Willy Brandt portrait of a statesman" Weidenfeld & Nicolson 1974

      9 Bradley, John F.N, "War and Peace since 1945 A History of Soviet-Western Relations" Social Science Monographs 1989

      10 Nathan, James A,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and World Order" Little, Brown 1985

      1 권오중, "제네바 한국평화회담(1954)의 진행, 결과 그리고 의미: 한반도 6자회담의 원형?" 통일연구원 14 (14): 153-180, 2005

      2 이영기, "동아시아에 있어서 CSCE모델의 유용성"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3 : 1994

      3 한국 중앙정보부(KCIA), "동서독 자료집 1-4집"

      4 노명환, "독일연방공화국의 마샬계획 정책과 동방 무역 정책 - 아데나워의 독일통일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서양사학회 39 (39): 1992

      5 권오중, "독일과 한국의 분단과 통일문제의 구조적 차이와 양국 정부가 추진한 통일정책의 변화와 한계에 대한 연구" 한국독일사학회 (14) : 21-48, 2007

      6 권오중, "국가적 통일인가, 서방측으로의 통합인가? ― 독일연방공화국(구 서독)의 정부수립과 아데나워 정부의 독일정책 결정에 관한 문제―" 역사교육연구회 (91) : 217-247, 2004

      7 Richard Löwenthal, "vom Kalten Krieg zur Ostpolitik" Seewald Verlag 1974

      8 Prittie, Terence, "Willy Brandt portrait of a statesman" Weidenfeld & Nicolson 1974

      9 Bradley, John F.N, "War and Peace since 1945 A History of Soviet-Western Relations" Social Science Monographs 1989

      10 Nathan, James A,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and World Order" Little, Brown 1985

      11 Schurmann, Franz, "The foreign politics of Richard Nixon"

      12 Wojna, Ryszard, "The German problem and the Security of Europe", in The Two German states and European Security" Macmillan in association with the Institute for East-West Security Studies 1989

      13 Texte zur Deutschlandpolitik, "Texte zur Deutschlandpolitik"

      14 Texte zur Deutschlandpolitik, "Texte zur Deutschlandpolitik"

      15 Texte zur Deutschlandpolitik, "Texte zur Deutschlandpolitik"

      16 Kolodziej, Edward A, "Superpower Cooperation in Western Europe", The Cold War as Coopera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1

      17 Rubinstein, Alvin Z, "Soviet Foreign Policy Since World War II : Imperial and Global" Little, Brown 1993

      18 Gromyko, A.A, "Soviet Foreign Policy 1917-1980 Vol. 2" Victor Kamkin 1980

      19 Hans-Adolf Jacobsen, "Sicherheit und Zusammenarbeit in Europa(KSZE): Analyse und Dokumentation" Verlag Wissenschaftund Politik 1973

      20 Freeman, John, "Security and the CSCE Process" Macmillan 1991

      21 Die Zeit, "SPD-Parteitag im Atom-Zwielicht"

      22 Bleek, Wilhelm, "Review: From Coldwar to Ostpolitik : Two Germanies in search of separate identities" 29 (29): 1976

      23 Livingston, Robert Gerald, "Relinquishment of East Germany", East-Central Europe and the USSR" St. Martin's Press 1991

      24 Oliver Bange, "Ostpolitik-Etappen und Desiderate der Forschung. Zur internationalen Einordnung von Willy Brandt Außenpolitik"

      25 NATO Archives, "NISCA 4/10/1"

      26 Robertson, David, "NATO's Future Role: A European View", in The New Europe: Revolution in East-West Relations" Academy of Political Science 1991

      27 Hanhimäki, Jussi M, "Ironies and Turning Points: Détente in Perspective", Reviewing The Coldwar: Approaches, Interpretations, Theory" Routledge 2000

      28 Ress, G. Wyn, "International politics in Europe The New Agenda" Routledge 1993

      29 Kindermann, "Inter-system Detente in Germany and Korea" Tuduv 1976

      30 Ash, Timothy Garton, "In Europe's Name: Germany and the Divided Continent" Random House 1993

      31 Bowker, Mike, "Helsinki and West European Security" 61 (61): 1985

      32 Zaborowski, Marcin, "Germany, Poland and Europe: Conflict, Cooperation and Europeanisatio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5

      33 Whitten, Lawrence L, "Germany's Ostpolitik: Relations between the Federal Republic and the Warsaw Pact Coutries" Oxford University Press for the Roy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1971

      34 Hanrieder, Wolfram F, "Germany America Europe: Forty Years of German Foreign Policy" Yale University Press 1989

      35 Joffe, Josef, "German Reunification : how, why and why now?"

      36 Gutjahr, Lother, "German Foreign and Defence Policy after Unification" Pinter Publishers 1994

      37 Brandt, Willy, "Fridenspolitik in Europa" Fischer 1968

      38 Johan Galtung, "Europe: Bipolar, Bicentric or Cooperative?" 9 (9): 1972

      39 Hans Peter Schwartz, "Epochen Wechsel 1957-1963" Deutsche Verlags-Anstalt 1983

      40 Kissinger, Henry, "Diplomacy" Simon & Schuster 1994

      41 Andreas Hillgruber, "Deutsche Geschichte 1945-1986: Die "deutsche Frage"" W. Kohlhammer 1989

      42 Oudenaren, John Van, "Containment: Obsolete and Enduring", in U.S.-Soviet Relations the Next Phase" Cornell University Press 1986

      43 Bluch, Christoph, "Britain, Germany, and Western Nuclear Strategy"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44 Binder, David, "Brandt Welcomes Proposal Made by Warsaw Pact Nations for a European Security Conference" 19 :

      45 Bundesarchiv Koblenz(BA), "B136(Bundeskanzlerment amt)/ 6463, 6351"

      46 Ferrell, Robert H, "American Diplomacy The Twentieth Century" Norton 1988

      47 Akten zur Auswätigen Politik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AAPD), "Akten zur Auswätigen Politik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AAPD)"

      48 Akten zur Auswätigen Politik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AAPD), "Akten zur Auswätigen Politik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AAPD)"

      49 Williams, Charles, "Adenauer : the father of the new Germany" John Wiley and Sons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Peace Studies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5-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평화연구소 ->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for Peace Studies, Korea University -> Peace & Democracy Institute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74 1.224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