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생태 위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문학의 생태적 비평이 더욱 활기를 띠는 분위기다. 특히, 신화는 살아있는 모든 존재와 인간을 둘러싼 세계와의 상호보완적 관계성에 역점을 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52093
2016
Korean
가락국기 ; 신화 ; 생태적 관점 ; 초월계 ; 자연 ; 인간 ; 재탄생 ; 재해석 ; Garakgukgi ; myth ; ecological perspective ; transcendental system ; nature ; human ; rebirth ; reinterpretation
810
KCI등재
학술저널
5-38(34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생태 위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문학의 생태적 비평이 더욱 활기를 띠는 분위기다. 특히, 신화는 살아있는 모든 존재와 인간을 둘러싼 세계와의 상호보완적 관계성에 역점을 두...
오늘날 생태 위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문학의 생태적 비평이 더욱 활기를 띠는 분위기다. 특히, 신화는 살아있는 모든 존재와 인간을 둘러싼 세계와의 상호보완적 관계성에 역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신화는 생태의식과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화의 생태적 상상력이 현대에 어떻게 전승되고 있는지를 고찰하려고 하였다.
「가락국기」 신화는 오늘날 동화, 역사물, 소설 등으로 다양하게 전승되고 있다. 여기서 엿볼 수 있는 수로와 하늘과의 관계 변화양상은 결국 생태의식의 부재를 드러내는 것으로 논의하였다. 또한 신화와는 달리 가락국이 ‘철의 나라’로 형상화되고 지모신을 여성이라는 개체로 전락시켜버린 현대작들에서 자연과 여성에 대한 비생태적 태도를 알 수 있었다. 나아가 「가락국기」의 수로뿐만 아니라 현대작품들의 수로가 九干들과 공조하고 백성들을 사랑하는 모습으로 서사됨으로써 공동체적 연대의 실제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래의 삶의 가치가 생태적 환경과 긴밀하므로 신화가 내재하고 있는 가치들을 생태적으로 재해석하는 작업이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함을 말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interest in the current ecological crisis increases, so too does interest in ecocriticism. Myth, in particular, emphasizes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all living things, humans included, and the world surrounding them. In this respect, m...
As interest in the current ecological crisis increases, so too does interest in ecocriticism. Myth, in particular, emphasizes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all living things, humans included, and the world surrounding them. In this respect, myth is in direct contact with an ecological consciousness. This study will attempt to show how the ecological imagination of myth has been passed down to modern times.
The myth “Garakgukgi” has been retold in various forms such as a fairy tale, a historical story and as a novel. This paper discusses the change in relationship between King Suro of Garak and the sky as seen through various versions of the myth and how the changes to the story eventually expose the absence of an ecological consciousness. Furthermore, unlike the myth, modern works depicting Garakguk as a “country of iron” and downgrading the goddess of earth to a mere woman show a non-ecological attitude towards nature and women. King Suro in the myth and in the modern re-tellings of it is described as working closely with nine chiefs and loving the people. These features derived from the truth of solidarity in community. This paper argues that because life in the future will have close ties with the ecologic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hat an ecological reinterpretation of values embedded in the myth should be treated in various ecological way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성미, "「가락국기」의 신화적 의미 연구" 경남대학교 국어국문과 2 : 1989
2 김선향, "「가락국기」의 문학적 연구" 충남대학교 문리과대학 어문연구회 21 : 1991
3 우리역사연구회, "황금알에서 태어난 김수로왕" ㈜한국슈바이처 2003
4 역사인물편찬위원회, "황금알 왕국 김수로왕" 역사디딤돌 2009
5 김정, "허황옥, 가야를 품다" 푸른 책들 2012
6 윤혜신, "한국신화의 입사의례적 탄생담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6
7 서대석, "한국신화의 연구" 집문당 2001
8 김진경, "한국신화의 생태적 세계관을 어떻게 재해석하고 재창조할 것인가?"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0 : 2010
9 구자희, "한국 현대 생태담론과 이론 연구" 새미 2004
1 노성미, "「가락국기」의 신화적 의미 연구" 경남대학교 국어국문과 2 : 1989
2 김선향, "「가락국기」의 문학적 연구" 충남대학교 문리과대학 어문연구회 21 : 1991
3 우리역사연구회, "황금알에서 태어난 김수로왕" ㈜한국슈바이처 2003
4 역사인물편찬위원회, "황금알 왕국 김수로왕" 역사디딤돌 2009
5 김정, "허황옥, 가야를 품다" 푸른 책들 2012
6 윤혜신, "한국신화의 입사의례적 탄생담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6
7 서대석, "한국신화의 연구" 집문당 2001
8 김진경, "한국신화의 생태적 세계관을 어떻게 재해석하고 재창조할 것인가?"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10 : 2010
9 구자희, "한국 현대 생태담론과 이론 연구" 새미 2004
10 조성숙, "한국 전래동화 연구 : 설화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9
11 조동일, "한국 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77
12 이동근, "한국 문헌신화의 신화성 재고" 한국어문학회 1985
13 정정호, "페미니즘과 영미문학 읽기"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6
14 안형모, "철의 왕국 가야와 김수로" ㈜재미북스 2010
15 김경민, "철의 아들 김수로" 눈과마음 2010
16 오정선, "유학사상과 생태학" 예문서원 2010
17 정연희, "영화 [아바타]의 생태적 상상력과 신화적 전통의 재구성" 현대문학이론학회 (47) : 297-318, 2011
18 이주미, "여성의 자기서사 자기표현" 제이앤씨 2009
19 캐롤 P. 크리스트, "여성의 聖스러움"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20 문순홍, "에코페미니즘이란 무엇인가" 한국여성연구소 6 : 1995
21 김욱동, "에코페미니즘의 철학적 기초"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4 : 33-59, 1997
22 이호창, "신화를 통해 살펴본 신과 인간과 대자연의 신성한 관계 - 미르체아 엘리아데의 창조적 신화 해석을 토대로 -" 동유럽발칸연구소 26 : 81-110, 2011
23 박상란, "신라·가야 건국 신화의 체계화 과정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0
24 이강옥, "수로신화의 서술원리의 특수성과 그 현실적 의미" 경남대 가라문화연구소 5 : 1987
25 이상헌, "생태주의" 책세상 2011
26 변숙자, "생태적 관점에서 본 신화의 상호소통 방식과 의미" 한국국어교육학회 (101) : 511-539, 2014
27 구인회, "생명 윤리의 철학" 철학과 현실사 2002
28 일연, "삼국유사" 도서출판 장락 2000
29 앤드루 돕슨, "녹색정치사상" 民音社 1993
30 박영규, "김수로왕과 비밀의 나라 가야" 김영사 2010
31 김경희, "김수로왕과 가야국" 삼성비엔씨 2008
32 우리역사연구회, "김수로왕 금관가야의 시조가 되다" MLS 2014
33 박종한, "김수로왕 가야를 세우다" ㈜한국퍼킨스 2004
34 차원재, "가야를 세운 김수로왕" 주식회사 웅진닷컴 2000
35 국사교육교재개발원, "가야국을 세운 김수로" 킹덤하우스 2010
36 민족문화추진회, "新增東國輿地勝覽 Ⅳ, 고령현 편" 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6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6-1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민족문화추진회 -> 한국고전번역원영문명 :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 Institute Translation of Korea Classics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4 | 0.74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3 | 0.63 | 1.543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