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장적출술 환자에서의 방사선학적 신장 부피의 유용성 = The usefulness of radiologic renal volume in patients underwent nephrectom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60176

      • 저자
      • 발행기관
      • 발행연도

        2011년

      • 작성언어

        Korean

      • KDC

        510

      • 자료형태

        국립의과학지식센터(NCMIK)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To our knowledge the effects of preoperative kidney volume in patients underwent radical or partial nephrectomy on the postoperative change in size and postoperative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have not been investigated. We investigate...

      Purpose : To our knowledge the effects of preoperative kidney volume in patients underwent radical or partial nephrectomy on the postoperative change in size and postoperative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have not been investigated.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preoperative kidney volume, and volume change and postoperative GFR.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anuary 2000 to July 2009, we investigated 133 patients who had undergone nephrectomy for renal cell carcinoma by one surgeon. Of our patients, the radical nephrectomy was performed in 83 patients. Partial nephrectomy was performed in 50 patients. Kidney parenchymal volume and GFR calculated from Cockcroft-Gault equation method before, 6 months, and 12 months after surgery were estimated. Kidney volume using the Rapidia with a tissue segmentation tool was calculated as the normally functioning tissue, excluding tumors or nonenhanced areas in delayed image of computed tomography (CT) scan. We investigated the volume change in radical or partial nephrectomy groups and identified predictors of lower GFR at 12 months after surgery on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Strong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kidney volume and GFR before, 6 months, 12 months after surgery (p<0.001). The mean volume of the normal kidney in radical nephrectomy group increased from 142.4 cc preoperatively to 166.0 cc (17.2%) and 171.5 cc (21.2%) at 6 months and 12 months postoperatively. In group B, the kidney volume in normal side increased from 127.2 cc preoperatively to 138.8 cc (9.1%) to 140.6 cc (10.9%) at 6 months and 12 months postoperatively. The kidney volume in operated side decreased from 128.5 cc preoperatively to 102.3 cc (20.1%) and 101.8 (20.6%) at 6 months and 12 months postoperatively. Higher body surface area (p=0.009) and lower preoperative kidney volume in remaining kidney (p<0.00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 greater predictors of a greater volume increase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radical nephrectomy group. Older age (p<0.001), preoperative kidney volume in remaining kidney (p=0.022), diabetes mellitus (p=0.002), and preoperative GFR in remaining kidney (p=0.045)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lower GFR at 12 months postoperatively in radical nephrectomy group. Older age (p=0.001) and preoperative kidney volume in both kidney (p=0.037)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lower GFR at 12 months postoperatively in partial nephrectomy group.
      Conclusions : Kidney volume was correlated with renal function in radical or partial nephrectomy groups. Preoperative kidney volume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lower GFR in patients who underwent radical or partial nephrectomy for renal cell carcinom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부분신적출술 혹은 근치적신적출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후 신장부피 변화, 신장부피와 신기능과의 상관관계, 술후 신기능 예측하는데 술전 신...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부분신적출술 혹은 근치적신적출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후 신장부피 변화, 신장부피와 신기능과의 상관관계, 술후 신기능 예측하는데 술전 신장부피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2000년 1월부터 2009년 7월까지 본원에서 단일 술자에 의해 부분신절제술후 신세포암으로 진단된 50명 (1군)과 근치적신적출술 (또는 신요관적출술) 후 신세포암 (66명) 혹은 이행세포암 (17명)으로 진단된 83명 (2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술 전, 술 후 6개월, 12개월에 Cockcroft-Gault 방법을 이용한 사구체여과율 (glomerular filtration rate) 및 컴퓨터단층촬영시 portal phase에서 3차원 영상구현 Rapidia (Infinitt, 서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종양 부위 및 조영증강이 되지 않는 부분을 제외한 신장실질부피를 측정하였다. 수술 전후 신장부피와 사구체여과율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신장부피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술 전 인자와 술후 12개월의 사구체여과율에 영향을 미치는 술 전 인자를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개발결과 : 1군에서는 술 전 정상측 신장부피는 127.2cc에서 술 후 6, 12개월에 138.8cc, 140.6cc로 9.1%, 10.9% 증가하였으며, 술 전 종양측 신장부피는 128.5cc에서 술 후 6, 12개월에 102.3cc, 101.8cc로 각각 20.1%, 20.6% 감소하였다. 2군에서는 술 전 정상측 신장 부피와 종양측 신장부피는 142.7cc와 123.2cc로 술 후 6, 12개월에 정상측 신장부피는 166.0cc, 171.5cc로 각각 17.2%, 21.2% 증가하였다. 1군과 2군 모두 술 전, 술 후 6개월, 12개월 신장부피는 각 시기의 사구체여과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01). 2군에서 술 후 12개월에 정상측 신장의 부피증가율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술 전 정상측 신장부피가 작을수록 (p<0.001), 체표면적이 클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1군에서 술 후 12개월 사구체여과율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술 전 신장부피가 작을수록, 체표면적이 작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군에서는 술 후 12개월 사구체여과율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정상측 신장부피가 작을수록, 당뇨가 있는 경우, 술 전 사구체여과율X정상측신장부피비율이 낮을수록, 체표면적이 작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연구개발계획의 활용 계획 : 방사선학적 신장부피 측정은 사구체여과율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술 후 남아있을 신장에 대한 술 전 신장실질부피 측정은 환자의 술 후 사구체여과율을 예측하는데 좋은 인자로 생각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