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숙경, "학습자의 동기 변화 추적을 통한 영어 학습 동기화 요인 분석" 미래영어영문학회 17 (17): 161-181, 2012
2 서장국 ; 김현진 ; 강규한 ; 심경석, "지방대학 교양영어교육의 효율성 제고 방안 연구 :수준별 교육과정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언어학회 22 (22): 85-108, 2006
3 진미석, "수도권 및 지방대학생 핵심역량의 격차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105-127, 2013
4 이선정, "비대면 교육환경에서의 대학영어 교과연계 비교과 기초영문법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25-41, 2021
5 안미리, "비교과 영어교육의 비전" 한국문화융합학회 40 (40): 753-784, 2018
6 김동미 ; 이지은, "비교과 영어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위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분석" 인문사회 21 13 (13): 1607-1622, 2022
7 장상필 ; 김지일, "비교과 교육을 통한 융합적 사고력 증진 방안 연구: 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인문학적 소양을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원 13 (13): 135-156, 2015
8 박매란, "부경대학교 English Cafe 운영 사례" 18 : 15-20, 2005
9 최정희 ; 이규원, "대학생의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실태 및 인식에 대한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641-658, 2022
10 김신애, "대학생의 개인 학습상담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성적대별 차이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549-577, 2020
1 정숙경, "학습자의 동기 변화 추적을 통한 영어 학습 동기화 요인 분석" 미래영어영문학회 17 (17): 161-181, 2012
2 서장국 ; 김현진 ; 강규한 ; 심경석, "지방대학 교양영어교육의 효율성 제고 방안 연구 :수준별 교육과정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언어학회 22 (22): 85-108, 2006
3 진미석, "수도권 및 지방대학생 핵심역량의 격차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23 (23): 105-127, 2013
4 이선정, "비대면 교육환경에서의 대학영어 교과연계 비교과 기초영문법 프로그램 운영 사례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25-41, 2021
5 안미리, "비교과 영어교육의 비전" 한국문화융합학회 40 (40): 753-784, 2018
6 김동미 ; 이지은, "비교과 영어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위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분석" 인문사회 21 13 (13): 1607-1622, 2022
7 장상필 ; 김지일, "비교과 교육을 통한 융합적 사고력 증진 방안 연구: 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인문학적 소양을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원 13 (13): 135-156, 2015
8 박매란, "부경대학교 English Cafe 운영 사례" 18 : 15-20, 2005
9 최정희 ; 이규원, "대학생의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실태 및 인식에 대한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641-658, 2022
10 김신애, "대학생의 개인 학습상담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성적대별 차이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549-577, 2020
11 곽면선, "대학생을 위한 비교과 영어 프로그램의 효과 사례연구: 1:1 밀착 수업 지도를 중심으로" 한국현대언어학회 33 (33): 1-26, 2017
12 유경아, "대학교 영작 클리닉 운영과 개선방안 모색 - 목원대학교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133-142, 2019
13 강현숙, "대학 영어비교과프로그램에 나타난 영어학습에 대한 요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251-264, 2021
14 김수연 ; 이명관,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인식 및 수요조사를 통한 운영방향성 제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585-609, 2016
15 하명애, "대학 비교과 영어 프로그램의 효과 사례연구: 원어민교수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5 (15): 79-100, 2016
16 이은정, "대학 방과 후 프로그램 학습자의 수업만족도 조사-K 대학의 강의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중원언어학회 (19) : 231-252, 2011
17 하명애, "대학 교양영어의 수준별 수업 운영에 대한 고찰 – 지방소재 A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새한영어영문학회 59 (59): 163-185, 2017
18 하명애, "대학 교양영어 과정에서 학습자가 인지한 원어민과 한국인 교수의 수업의 질과 학습자 태도"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2 (12): 103-128, 2013
19 신영헌 ; 김영아, "글로벌역량 강화를 위한 영어 비교과프로그램 운영사례 –한성대학교 잉글리시라운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1 (21): 338-348, 2021
20 정숙희, "공강을 활용한 영어학습 프로그램의 학습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269-292, 2015
21 Patton, M. Q, "Qualitative research & evaluation methods" Sage 2015
22 John Burrell ; 이지은, "Korea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two extracurricular English programs"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489-524, 2017
23 Lunnenburg, F. C., "Extracurricular activities" 1 (1): 1-4, 2010
24 하명애, "EFL 환경 대학생의 수준별 영어 학습 탈동기와 재동기 요인 분석"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63 (63): 181-203, 2019
25 Corbin, J.,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