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전기의 아동들은 습득된 지식이 간접 추론이나 간접 보고의 출처에서 얻어진 것일 때 이러한 정보가 직접 경험에서 얻어진 것보다 확실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보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48182
2013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학령전기의 아동들은 습득된 지식이 간접 추론이나 간접 보고의 출처에서 얻어진 것일 때 이러한 정보가 직접 경험에서 얻어진 것보다 확실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보인...
학령전기의 아동들은 습득된 지식이 간접 추론이나 간접 보고의 출처에서 얻어진 것일 때 이러한 정보가 직접 경험에서 얻어진 것보다 확실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보인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은 만3세의 어린 아동도 정보의 출처에 대한 정확도를 판단할 기회를 부여받았을 때, 이를 추후 새로운 정보 습득에 활용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단계의 실험 연구와 중재 연구를 통해 학령전기 아동들이 출처에 따라 달라지는 정보 확실성 판단에서 보이는 어려움이 이러한 맥락정보의 결여에 기인하였을 가능성을 검토하고, 각 연령(3, 4, 5세)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적절한 맥락정보의 내용과 양을 세부적으로 밝혀 정보 확실성과 신뢰도 이해 발달을 새롭게 재조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출처에 따라 정보의 확실성이 달라짐을 이해하게 하는 학습 및 발달 기제를 중재연구를 통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3단계의 연구 결과가 종합될 때, 각종 아동 범죄에 대처할 수 있는 효율적 예방교육의 내용과 양, 교육 기간 등에 대해 유용한 정보가 확인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현실 응용적 기대효과도 매우 높은 연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