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제3차 표준보육과정 중 의사소통영역을 기초로 4세용 의사소통 척도를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 어린이 집 22곳의 4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63910
2015
-
300
학술저널
68-68(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제3차 표준보육과정 중 의사소통영역을 기초로 4세용 의사소통 척도를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 어린이 집 22곳의 4세...
본 연구는 제3차 표준보육과정 중 의사소통영역을 기초로 4세용 의사소통 척도를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 어린이 집 22곳의 4세아 286명이었으며, 담당 보육교사가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의사소통영역을 관찰한 후 평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초기의 4영역 88문항은 2차례의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과 9차례 요인분석 및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최종 4개 영역 21문 항이 도출되었고, 구체적으로 듣기 6문항, 말하기 6문항, 읽기 6문항 쓰기 3문항이었고, 타 당도와 신뢰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영유아 교육현장에서 제3차 표준보육과정의 의사소통 활동과 일관성 있게 활용할 수 있는 발달 척도를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제3차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4세용 예술경험활동 평가도구 연구
ADHD 학생의 인지기능 증진을 위한 뇌기반 훈련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수업 흐름별 요소를 기반으로 한 수업 분석 소프트웨어의 구현
임베디드 사례 연구(Embedded case study)를 통한 대학 학습공동체 지원 도구 모형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