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과 교과 성격에 대한 예비교사 인식 조사 연구 = Student Teachers` Perception on the Nature of Social studies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596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미래의 사회과 교실수업 실행가로서 사회과 교과 성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은 중요하다. 특히 사회과 교과 성격을 이해함에 있어서 목표, 내용, 방법 간에 일관성을 보여 인식의 괴리가 ...

      미래의 사회과 교실수업 실행가로서 사회과 교과 성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은 중요하다. 특히 사회과 교과 성격을 이해함에 있어서 목표, 내용, 방법 간에 일관성을 보여 인식의 괴리가 없는지 살펴보는 것은 미래의 실제 사회과 수업의 혼란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Barr 외(1977, 1978)의 유형화에 따라 시민성 전달, 사회과학, 반성적탐구의 세 가지 모형으로 사회과 교과의 성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검토하였다. 우선 배경변인에 따른 예비교사의 인식 차이를 조사한 결과, 기술통계에서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보인 반성적 탐구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주로 시민성 전달 모형에서 집단 간 차이가 발생했다. 또한 사범대학 사회교육 전공 집단, 학년이 높은 집단, 사회과 교과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에서 시민성 전달 모형에 대한 지지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다음으로, 사회과에 대한 태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예비교사의 사회과에 대한 관심도가 반성적 탐구 모형 전체와 방법적 측면에 정적인 영향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설명된 변화량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과 교과 성격 인식에서 목표, 내용, 방법 간의 일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반성적 탐구 모형은 세 모형 중 유독 상관관계가 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예비교사들이 반성적 탐구 모형을 가장 많이 지지함에도 불구하고, 반성적 탐구 모형 내 목적, 내용, 방법 간에 상관관계가 약하게 나타나 사회과 교과 성격을 이해함에 있어 일관성을 결여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학년이 높은 집단, 사회과 교과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이 시민성 전달 모형에 대한 지지도가 낮다는 점을 고려해본다면, 예비교사들이 사회과 교과교육을 수업을 수강하고 사회과 수업에 대한 전문성을 쌓아갈수록 반성적 탐구모형에 대한 지지도는 증가하지만 교과 성격 이해에 대한 일관성은 오히려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사회과 교과교육이나 사회과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사회과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고려가 강조되어야 함을 보여준 것이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erception of student teachers as a practitioner in social studies class is important. Especially, the examination whether there is a gap between purpose, method and content about the understanding of social studies nature is very significant for ...

      The perception of student teachers as a practitioner in social studies class is important. Especially, the examination whether there is a gap between purpose, method and content about the understanding of social studies nature is very significant for the prevention of confusion in the future social studies clas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student teachers` perception on the nature of social studies with ``Social Studies Preference Scale`` of Barr et al.(1978, 1979).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on preception gap of student teacher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differences between groups have mainly appeared in the citizenship transmission tradition, not reflective inquiry tradition which is ranked number one in descriptive statistic. Lower supports of citizenship transmission tradition tend to appear in the groups of preservice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upper grade student teachers, and the group with experience of social studies education. Next, the disparity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attitude of social studies was examined. As a result, the interest in social studies has effect on reflective inquiry itself and the method of reflective inquiry. However, the explained deviation was very small. Finally,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o investigate consistency between purpose, method and content, correlation of reflective inquiry tradition appeared to be low, strangely. This means that, even though students teachers support reflective inquiry tradition the best, there is lack of consistency on understanding of social studies nature. Considering the low preference of citizenship transmission in the group of upper grade student teachers and the group with experience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t could mean that the more students teachers receive social studies education concentration, the more they have support for reflective inquiry, but consistency on understanding of social studies nature is los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태제, "현대 기초통계학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11

      2 정문성, "초등학생의 사회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 22 : 171-196, 1996

      3 정문성, "초등학생과 교사의 사회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 비교 연구" 9 : 117-142, 1997

      4 박성혁, "초등학교 교사들의 사회과 교과 성격 이해에 관한 연구 –목표, 방법, 내용 이해의 일관성을 중심으로-" 30 : 103-125, 2000

      5 정문성, "초등사회과교육" 교육과학사 2012

      6 박길자, "초등 예비교사의 반성적 탐구 수업에 대한 실행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321-345, 2008

      7 설규주, "초등 예비교사와 초임교사의 사회과 수업 관련 경험 및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9 (49): 53-71, 2010

      8 박형준, "중등학교 사회과 교사의 사회과 교과 성격에 대한 이해- 한국과 미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7 (37): 81-100, 2005

      9 모경환, "좋은 시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6 (36): 63-82, 2004

      10 김왕근, "일반사회 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 선정의 준거, 사회과 교육의 목표및 내용구성의 원리와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0

      1 성태제, "현대 기초통계학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11

      2 정문성, "초등학생의 사회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 22 : 171-196, 1996

      3 정문성, "초등학생과 교사의 사회과에 대한 인식과 태도 비교 연구" 9 : 117-142, 1997

      4 박성혁, "초등학교 교사들의 사회과 교과 성격 이해에 관한 연구 –목표, 방법, 내용 이해의 일관성을 중심으로-" 30 : 103-125, 2000

      5 정문성, "초등사회과교육" 교육과학사 2012

      6 박길자, "초등 예비교사의 반성적 탐구 수업에 대한 실행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321-345, 2008

      7 설규주, "초등 예비교사와 초임교사의 사회과 수업 관련 경험 및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9 (49): 53-71, 2010

      8 박형준, "중등학교 사회과 교사의 사회과 교과 성격에 대한 이해- 한국과 미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7 (37): 81-100, 2005

      9 모경환, "좋은 시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6 (36): 63-82, 2004

      10 김왕근, "일반사회 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 선정의 준거, 사회과 교육의 목표및 내용구성의 원리와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0

      11 이정우, "시민교육의 내용에 대한 사회과 교사들의 다양한 관점"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7 (37): 127-148, 2005

      12 김순희, "수업개선에 관한 사회과 교사의 인식 연구 -사회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 제고 방안 탐색"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53-76, 2010

      13 권오정, "사회과교육학의 구조와 쟁점" 교육과학사 2003

      14 Barr, R, "사회과교육의 이해" 양서원 1993

      15 박상준, "사회과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2005

      16 차경수, "사회과교육" 동문사 2008

      17 옥일남, "사회과 예비교사의 사회과에 대한 관심 형성의 배경에 관한 생애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0 (40): 99-131, 2008

      18 옥일남, "사회과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73-106, 2009

      19 Engle, S. H., "민주시민교육" 교육과학사 1995

      20 옹진환, "논쟁문제 수업에서 교사 의견 표명의 정당성 탐색 - 켈리에 대한 오해와 이해를 넘어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4 (44): 129-161, 2012

      21 Vinson, K. D, "The traditions revisited: Instructional approach and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26 (26): 50-82, 1998

      22 Martorella, P, "Teaching Social Studies in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2nd ed.)" Merrill Prentice Hall 1996

      23 Oliver, D, W., "Teaching Public Issues in the High School" Houghton Mifflin 1966

      24 Andres, P. N, "Social studies orientations and educational attitudes of secondary classroom teachers in the State of Indiana" University Microfilms 42 (42): 1981

      25 Nelson, J. L., "Secondary Social Studies Instruction, curriculum" Prentice-Hall 1980

      26 Engle, S. H, "Objectives of the social studies, In New Challenges in the Social Studies" Wadworth 1-19, 1965

      27 Engle, S. H.,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Teachers College Press 1988

      28 Anderson, C., "Divergent perspectives on citizenship education: A Q-method study and survey of social studies teachers" 34 (34): 333-364, 1997

      29 Barr, R., "Defining the Social Studies"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51 : 1977

      30 Morrissett, I, "Curriculum information network sixth report: Preferred approaches to the teaching of social studies" 41 : 206-209, 1977

      31 Bennett, C. T., "Citizenship traditions in the Commonwealth of Virginia" 4 (4): 17-21, 1980

      32 Oliver, D. W., "Categories of social science instruction" 43 (43): 387-397, 1960

      33 Woolever, R. M, "Active Learning in Social Studies: Promoting Cognitive and Social Growth" Scott, Foresman and Company 1988

      34 White, C. S, "A validation study of the Barth-Shermis Social Studies Preference Scale" 10 (10): 1-20, 1982

      35 Brubaker, D. L., "A conceptual framework for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instruction" 41 : 201-205, 1977

      36 Stanley, W. B, "21세기 사회과교육 연구의 핵심 쟁점들" 교육과학사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6-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Association of Social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35 1.81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