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 법집행 관할체계의 특수성 고찰 = 한국의 자치경찰제도 도입과 관련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정치권을 중심으로 수사권독립과 더불어 자치경찰제 도입이 다시금 이슈화 되고 있다. 자치경찰 도입과 관련하여 다수의 연구들이 주요 선진국의 경찰제도를 분석하고 있으며, 미국 ...

      최근 정치권을 중심으로 수사권독립과 더불어 자치경찰제 도입이 다시금 이슈화 되고 있다. 자치경찰 도입과 관련하여 다수의 연구들이 주요 선진국의 경찰제도를 분석하고 있으며, 미국 경찰제도로부터의 시사점도 제시되고 있다. 다만, 기존의 연구들은 미국 경찰 제도를 다소 정적인 측면에서 이해하여, 현 제도의 역사적인 맥락과 역동성을 충분하게 제시하지는 못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미국 법집행 체계에 대한 역사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현재 관할 체계의 특수성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이러한 특수성이 수반하는 문제점을 고찰하여 자치경찰 시대를 앞 둔 한국 경찰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요약하자면, 국가경찰제도의 도입으로 국가 전체에 걸쳐 일원화된 경찰이 수립된 한국과는 달리, 미국의 법집행 기관들은 매우 다양한 연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오늘날 독립적인 법집행 기관이 연방, 주(state), 카운티, 시·군(municipality) 수준에서 설치되는 배경이 되었다. 이러한 미국 법집행 할 체계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파편성이라고 볼 수 있다. 관할의 파편성은 미국 서비스의 다양성 및 중복성이라는 특징의 근거가 된다. 이 연구는 미국 법집행 관할 체계의 특수성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자치경찰 시대를 앞두고 있는 한국 경찰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politicians and public show interest in the introduction of the fragmented system of police. Including the discussion about fragmented system, the current literature has suggested various implications of the U.S. law enforcement system on So...

      Recently, politicians and public show interest in the introduction of the fragmented system of police. Including the discussion about fragmented system, the current literature has suggested various implications of the U.S. law enforcement system on South Korea police practice. Since these studies generally consider the system as fixed and static, the current literature do not provide historic contexts and the current dynamics regarding the system. To fill this gap,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the current U.S. law enforcement system and characterized the system. In addition, this study addressed several implications. To sum up, while South Korea has centralized national police system since its origin, the U.S. law enforcement agencies originated from various law enforcement forces, such as sheriff and watch. Thus, independent law enforcements are established in various administrative levels (e.g., state, county, and municipality).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 of the system is fragmentation, and it results in diversity and duplication of law enforcement service. Given the review of the U.S. law enforcement system, the current study suggested practical implications on South Korea poli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미국 법집행 기관의 형성 과정
      • Ⅲ. 미국 경찰 관할 체계의 특수성
      • Ⅳ. 자치경찰 시대를 앞둔 한국 경찰에 대한 시사점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미국 법집행 기관의 형성 과정
      • Ⅲ. 미국 경찰 관할 체계의 특수성
      • Ⅳ. 자치경찰 시대를 앞둔 한국 경찰에 대한 시사점
      • Ⅴ. 결어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