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유배가사의 흐름과 경향성 -특히 후기 유배가사의 특징적 면모에 주목하여- = The flow and tendency of Exile Lyrics in the Joseon Dynasty -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Latter period of exile Lyric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850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at the flow of the exile lyrics, then to capture the features of the latter period of exile lyrics which are the features of the former period of exile lyrics and explain their meaning. The latter period of exile lyrics had a very rich political affiliation. Time went by, the political affiliation has declined. the writer`s daily life had accounted for most of the latter period of exile lyrics. In particular, the latter period of exile lyrics had a distinctive look that contrasted markedly with the former period of exile lyrics. Especially Some works of the latter period of exile lyrics actively used filial piety as a strategy to cope with the exile. Their historical background was the feudal lords` rule doctrine at that time. The feudal lords`` rule doctrine was theory based on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and ideology that emphasizes the filial piety. Therefore, they utilized the filial piety to escape exile in the political situation actively. This is an important practical features of the latter period of exile lyrics and also distinguished clearly from the latter period of exile lyric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at the flow of the exile lyrics, then to capture the features of the latter period of exile lyrics which are the features of the former period of exile lyrics and explain their meaning. The latter period of exile 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at the flow of the exile lyrics, then to capture the features of the latter period of exile lyrics which are the features of the former period of exile lyrics and explain their meaning. The latter period of exile lyrics had a very rich political affiliation. Time went by, the political affiliation has declined. the writer`s daily life had accounted for most of the latter period of exile lyrics. In particular, the latter period of exile lyrics had a distinctive look that contrasted markedly with the former period of exile lyrics. Especially Some works of the latter period of exile lyrics actively used filial piety as a strategy to cope with the exile. Their historical background was the feudal lords` rule doctrine at that time. The feudal lords`` rule doctrine was theory based on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and ideology that emphasizes the filial piety. Therefore, they utilized the filial piety to escape exile in the political situation actively. This is an important practical features of the latter period of exile lyrics and also distinguished clearly from the latter period of exile lyric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기호, "李匡明의 謫所詩歌에 대하여, In 인문과학연구소 논문집" 인하대학교 87-, 1977

      2 최현재, "戀君歌辭 <自悼詞>의 특징과 의의" 동양고전학회 (41) : 121-148, 2010

      3 최강현, "홍리가의 지은이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학회 20 : 1981

      4 최미정, "충신연주지사에서의 주체와 타자" 국문학회 (18) : 55-102, 2008

      5 윤덕진, "조선조 장가 가사의 연원과 맥락" 보고사 160-161, 2008

      6 심재우, "조선전기 유배형과 유배생활" 국사편찬위원회 92 : 199-, 2000

      7 김경숙, "조선시대 유배형의 집행과 그 사례" 한국사학회 55-56 : 369-, 1998

      8 김경숙, "조선시대 유배길" 역사문제연구소 (67) : 262-282, 2004

      9 류탁일, "조선 후기가사에 나타난 서민의 의향, In 이가원박사 육질송수논총" 범학도서 1977

      10 정원영, "조선 후기 붕당의 명분론적 갈등에 관한 연구: 기해·갑인예송을 중심으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2

      1 정기호, "李匡明의 謫所詩歌에 대하여, In 인문과학연구소 논문집" 인하대학교 87-, 1977

      2 최현재, "戀君歌辭 <自悼詞>의 특징과 의의" 동양고전학회 (41) : 121-148, 2010

      3 최강현, "홍리가의 지은이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학회 20 : 1981

      4 최미정, "충신연주지사에서의 주체와 타자" 국문학회 (18) : 55-102, 2008

      5 윤덕진, "조선조 장가 가사의 연원과 맥락" 보고사 160-161, 2008

      6 심재우, "조선전기 유배형과 유배생활" 국사편찬위원회 92 : 199-, 2000

      7 김경숙, "조선시대 유배형의 집행과 그 사례" 한국사학회 55-56 : 369-, 1998

      8 김경숙, "조선시대 유배길" 역사문제연구소 (67) : 262-282, 2004

      9 류탁일, "조선 후기가사에 나타난 서민의 의향, In 이가원박사 육질송수논총" 범학도서 1977

      10 정원영, "조선 후기 붕당의 명분론적 갈등에 관한 연구: 기해·갑인예송을 중심으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2

      11 정만조, "조선 현종조의 私義․公義 논쟁"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4 : 1991

      12 김세서리아, "조선 중후기 유학의 가족 인식 - 霞谷 철학의 양명학적 특성과 가족 감정을 중심으로 -" 한국양명학회 (25) : 221-255, 2010

      13 김성윤, "정조의 경세론과 孝悌윤리" 한국실학학회 (23) : 7-45, 2012

      14 노경순, "이진유 家系 유배가사 연구" 반교어문학회 (31) : 101-127, 2011

      15 김봉선, "이재 조우인 시가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16 박억만, "이재 조우인 가사문학 연구"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9

      17 이동연, "이세보와 기녀 등장 시조를 통해본 19세기 사대부의 풍류 양상" 한국고전연구학회 9 : 31-, 2003

      18 이상보, "이방익의 홍리가, In 한국고전시가연구(속)" 태학사 59-, 1984

      19 최상은, "유배가사의 보수성과 개방성" 상명여자대학교 어문학연구소 4 : 1996

      20 장덕순, "유배가사시고, In 국문학통론" 신구문화사 374-375, 1969

      21 최상은, "유배가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In 조선 사대부가사의 미의식과 문학성" 보고사 2004

      22 우부식, "유배가사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5

      23 유정선, "예의와 현실 사이의 거리-유배가사 <채환재적가>에 나타난 유배 체험과글쓰기, In 18․19세기 기행가사 연구" 역락 223-, 2006

      24 정흥모, "영조조(英祖朝)의 유배가사 연구 - <속사미인곡>과 <북찬가>를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45 (45): 107-128, 2008

      25 정인숙, "연작가사 『만언사』의 특징과 중인층 작가의 의미 지향" 한국언어문학회 (69) : 169-197, 2009

      26 백순철, "연작가사 ≪만언사≫의 이본 양상과 현실적 성격" 우리문학회 12 : 1999

      27 최상은, "연군가사의 짜임새와 미의식, In 조선 사대부가사의 미의식과 문학성" 보고사 2004

      28 김학성, "서민가사의 담론기반과 미학적 특성, In 한국시가의 담론과 미학" 보고사 2004

      29 김문기, "서민가사연구" 형설출판사 1983

      30 김유경, "만언사 연작 연구" 연민학회 4 : 1996

      31 박일용, "만분가의 형상화 형태, In 한국고전시가작품론" 집문당 1992

      32 최규수, "김춘택의 <별사미인곡>에 수용된 <미인곡>의 어법적 특질과 효과" 온지학회 4 : 1998

      33 한창덕, "귀양과 전통법문화" 전통과 현대사 8 : 329-, 1999

      34 안혜진, "구강의 <사미인곡>에 나타난 문학적 특성과 의의" 한국시가학회 23 : 355-388, 2007

      35 박무영, "거세된 언어와 私的 傳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9 : 2005

      36 김학성, "가사의 실현화 과정과 근대적 지향, In 근대문학의 형성과정" 문학과 지성사 1983

      37 최원식, "가사의 소설화 경향과 봉건주의의 해체" 창작과 비평사 46 : 1977

      38 이원주, "가사의 독자, In 조선후기 언어와 문학" 형설출판사 1980

      39 나정순, "가사와 여성성의 문제, In 우리 문학의 여성성․남성성" 월인 115-, 2001

      40 정인숙, "가사에 나타난 시적 화자의 목소리 연구 : 연군가사와 애정가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41 이원택, "顯宗朝의 復讐義理 논쟁과 公私 관념" 한국정치학회 35 (35): 2002

      42 김영수, "蔡龜淵의 유배가사 연구, In 조선시가연구" 새문사 2004

      43 崔相殷, "流配歌辭의 作品構造와 現實認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1984

      44 김해영, "正祖의 孝治思想 構造" 한국유교학회 (43) : 223-252, 2011

      45 최현재, "曺偉의 『萬憤歌』와 鄭澈의 兩美人曲에 나타난 戀君意識의 樣相 考察"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8 (38): 129-153, 2010

      46 원재린, "星湖 李瀷의 ‘忠孝’인식과 君權 강화론" 역사실학회 32 : 617-, 2007

      47 최현재, "忠臣戀主之詞의 전통과 <萬憤歌>에 대한 새로운 이해" 한국언어문학회 (70) : 271-296, 2009

      48 김시업, "北遷歌 硏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75

      49 최현재, "別思美人曲과 續思美人曲에 나타난 戀君意識 비교 고찰" 우리말글학회 48 : 177-202, 2010

      50 안영상, "佛敎와 天主敎의 比較를 통해 본 朝鮮 性理學 社會의 孝倫理의 哲學的 基盤 : 理一分殊論을 中心으로" 한국유교학회 (37) : 89-122, 2009

      51 안혜진, "「북관곡(北關曲)」의 서술태도와 소통기반" 우리어문학회 (31) : 121-159, 2008

      52 여기현, "<정과정>의 향유 양상과 ‘접동새’의 문학적 변용" 반교어문학회 (27) : 89-123, 2009

      53 이화형, "<북천가>에 나타난 현실개탄과 작자의 풍류" 한국언어문학회 42 : 1999

      54 정인숙, "<만언사>에 나타난 자전적 술회의 양상과 그 의미" 한국시가학회 25 : 135-169, 2008

      55 이규춘, "<만언> 연구" 어문연구회 27 : 208-212, 1995

      56 최상은, "<만분가>와 <사미인곡>의 작품구조와 작가의식" 한민족어문학회 15 : 1988

      57 신재홍, "<北遷歌>의 풍류와 체면, In 한국고전시가작품론" 집문당 719-, 2002

      58 고순희, "18세기 정치현실과 가사문학­<別思美人曲>과 <續思美人曲>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78 : 185-210, 2002

      59 박연호, "17세기 가사의 장르적 특징, In 가사문학장르론" 다운샘 134-,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4 1.206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