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일에서의 탈성장 운동과돌보는 남성성 논의 = The Degrowth Movement and the Debate on Caring Masculinities in German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60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the ‘degrowth movement’ is actively developing in Germany. This movement aims to overcome the ‘imperial mode of living’ based on unlimited growth and to shift to the ‘solidary mode of living’ which is socially and ecologically just. In order to reach this goal, it is essential above all to consider what has driven the capitalist growth society in the direction where it is now. This involves the acknowledgement that the emergence of the capitalist growth society is closely related to a specific masculine subjectifying mode. While the ideal of an autonomous masculine subject characterized by the orientation towards growth and achievement dominates, the importance of many activities concerning those in need of care and nature is ignored or hidden from view. It is not unrelated to the fact that in Germany today, a “transnational care extractivism” is spreading as care responsibilities are increasingly taken on by migrant women rather than being distributed between men and women. While the crisis of social reproduction caused by the care deficit is leading to a new hierarchical gender relationship at the global level, not the democratization of gender relations through male participation in care, the discussion of ‘caring masculinities’ tries to explore new alternative masculinities that can overcome the existing masculine subjectifying mode by including care in the construction of masculinities. Thus, in the context of the degrowth movement, the discussion of caring masculinities could be a starting point for enabling forms of social, ecological and gender reproduction that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imperial mode of living by placing care for humans and nature at the center.
      번역하기

      Today, the ‘degrowth movement’ is actively developing in Germany. This movement aims to overcome the ‘imperial mode of living’ based on unlimited growth and to shift to the ‘solidary mode of living’ which is socially and ecologically just....

      Today, the ‘degrowth movement’ is actively developing in Germany. This movement aims to overcome the ‘imperial mode of living’ based on unlimited growth and to shift to the ‘solidary mode of living’ which is socially and ecologically just. In order to reach this goal, it is essential above all to consider what has driven the capitalist growth society in the direction where it is now. This involves the acknowledgement that the emergence of the capitalist growth society is closely related to a specific masculine subjectifying mode. While the ideal of an autonomous masculine subject characterized by the orientation towards growth and achievement dominates, the importance of many activities concerning those in need of care and nature is ignored or hidden from view. It is not unrelated to the fact that in Germany today, a “transnational care extractivism” is spreading as care responsibilities are increasingly taken on by migrant women rather than being distributed between men and women. While the crisis of social reproduction caused by the care deficit is leading to a new hierarchical gender relationship at the global level, not the democratization of gender relations through male participation in care, the discussion of ‘caring masculinities’ tries to explore new alternative masculinities that can overcome the existing masculine subjectifying mode by including care in the construction of masculinities. Thus, in the context of the degrowth movement, the discussion of caring masculinities could be a starting point for enabling forms of social, ecological and gender reproduction that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imperial mode of living by placing care for humans and nature at the cent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독일에서는 ‘탈성장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 중이다. 탈성장 운동은 무제한의 성장에 기초한 ‘제국적 생활양식’의 극복과 사회적・생태적으로 정의로운 ‘연대적 생활양식’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한다. 이 목표에 이르기 위해서는 자본주의적 성장사회를 지금과 같은 방향으로 추동해 온 주체에 대한 반성적 고찰이 무엇보다 필수적이다. 자본주의적 성장사회의 출현은 특정한 남성적 주체화 방식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성장지향성과 업적지향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자율적인 남성적 주체라는 이상이 지배하는 가운데, 돌봄과 자연을 비롯한 모든 의존적인 활동들의 중요성은 무시되거나 보이지 않게 가려지고 있다. 오늘날 독일에서 돌봄이 남성과 여성 간에 분배되는 것이 아니라 이주 여성의 어깨 위로 떠넘겨짐으로써 ‘초국가적 돌봄 채굴주의’가 확산되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돌봄의 부족에 따른 사회적 재생산 위기가 남성의 돌봄 참여를 통한 젠더 관계의 민주화가 아니라, 지구적 차원에서의 새로운 위계적 젠더 관계의 확산으로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돌보는 남성성’ 논의는 돌봄을 남성성 구성에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남성적 주체화 방식을 넘어설 수 있는 새로운 대안적 남성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따라서 탈성장 운동의 맥락에서 볼 때, 돌보는 남성성 논의는 인간과 자연에 대한 돌봄을 그 중심에 놓음으로써 제국적 생활양식과는 완전히 다른 형태의 사회적, 생태적 및 젠더적 재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출발점의 하나가 될 수 있다.
      번역하기

      오늘날 독일에서는 ‘탈성장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 중이다. 탈성장 운동은 무제한의 성장에 기초한 ‘제국적 생활양식’의 극복과 사회적・생태적으로 정의로운 ‘연대적 생활양식’으...

      오늘날 독일에서는 ‘탈성장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 중이다. 탈성장 운동은 무제한의 성장에 기초한 ‘제국적 생활양식’의 극복과 사회적・생태적으로 정의로운 ‘연대적 생활양식’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한다. 이 목표에 이르기 위해서는 자본주의적 성장사회를 지금과 같은 방향으로 추동해 온 주체에 대한 반성적 고찰이 무엇보다 필수적이다. 자본주의적 성장사회의 출현은 특정한 남성적 주체화 방식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성장지향성과 업적지향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자율적인 남성적 주체라는 이상이 지배하는 가운데, 돌봄과 자연을 비롯한 모든 의존적인 활동들의 중요성은 무시되거나 보이지 않게 가려지고 있다. 오늘날 독일에서 돌봄이 남성과 여성 간에 분배되는 것이 아니라 이주 여성의 어깨 위로 떠넘겨짐으로써 ‘초국가적 돌봄 채굴주의’가 확산되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돌봄의 부족에 따른 사회적 재생산 위기가 남성의 돌봄 참여를 통한 젠더 관계의 민주화가 아니라, 지구적 차원에서의 새로운 위계적 젠더 관계의 확산으로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돌보는 남성성’ 논의는 돌봄을 남성성 구성에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남성적 주체화 방식을 넘어설 수 있는 새로운 대안적 남성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따라서 탈성장 운동의 맥락에서 볼 때, 돌보는 남성성 논의는 인간과 자연에 대한 돌봄을 그 중심에 놓음으로써 제국적 생활양식과는 완전히 다른 형태의 사회적, 생태적 및 젠더적 재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출발점의 하나가 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Brand, Ulrich, "제국적 생활양식: 전 지구적 자본주의 시대의 인간과 자연에 대한 착취" 에코리브르 2020

      2 Hickel, Jason, "적을수록풍요롭다: 지구를 구하는 탈성장" 창비 2021

      3 Kallis, Giorgos, "디그로쓰: 지구를 식히고 세계를 치유할단 하나의 시스템 디자인" 산현재 2021

      4 안숙영, "독일에서의 젠더 돌봄 격차 논의와 그 함의" EU연구소 null (null): 443-470, 2022

      5 Mies, Maria,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여성, 자연, 식민지와 세계적 규모의 자본축적" 갈무리 2014

      6 Eversberg, Dennis, "Über die Selbstproblematisierung zur Kapitalismuskritik. Vier Thesen zur entstehenden Degrowth-Bewegung" 29 (29): 2016

      7 Kastein, Mara, "Zwischen Suchbewegung und Sichtbarkeitsbestreben. Gleichstellungsorientierte Männerpolitik unter Legitimationsdruck" Friedrich-Schiller-Universiät 2018

      8 Leitner, Sigrid, "Wohlfahrtsstaat und Geschlechterverhältnis im Umbruch. Was kommt nach dem Ernährermodell?"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2004

      9 Heilmann, Andreas, "Warum Männlichkeit ein Thema der Degrowth-Bewegung sien sollte : Plädoyer für eine Perspektivenvertiefung" 31 (31): 2018

      10 안숙영, "The Discussion on Equal Care in Germany: Focusing on the Concept of Caring Masculinities" 한국유럽학회 40 (40): 251-271, 2022

      1 Brand, Ulrich, "제국적 생활양식: 전 지구적 자본주의 시대의 인간과 자연에 대한 착취" 에코리브르 2020

      2 Hickel, Jason, "적을수록풍요롭다: 지구를 구하는 탈성장" 창비 2021

      3 Kallis, Giorgos, "디그로쓰: 지구를 식히고 세계를 치유할단 하나의 시스템 디자인" 산현재 2021

      4 안숙영, "독일에서의 젠더 돌봄 격차 논의와 그 함의" EU연구소 null (null): 443-470, 2022

      5 Mies, Maria,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여성, 자연, 식민지와 세계적 규모의 자본축적" 갈무리 2014

      6 Eversberg, Dennis, "Über die Selbstproblematisierung zur Kapitalismuskritik. Vier Thesen zur entstehenden Degrowth-Bewegung" 29 (29): 2016

      7 Kastein, Mara, "Zwischen Suchbewegung und Sichtbarkeitsbestreben. Gleichstellungsorientierte Männerpolitik unter Legitimationsdruck" Friedrich-Schiller-Universiät 2018

      8 Leitner, Sigrid, "Wohlfahrtsstaat und Geschlechterverhältnis im Umbruch. Was kommt nach dem Ernährermodell?"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2004

      9 Heilmann, Andreas, "Warum Männlichkeit ein Thema der Degrowth-Bewegung sien sollte : Plädoyer für eine Perspektivenvertiefung" 31 (31): 2018

      10 안숙영, "The Discussion on Equal Care in Germany: Focusing on the Concept of Caring Masculinities" 한국유럽학회 40 (40): 251-271, 2022

      11 Khanna, Pierre Smith, "Sustainable Masculinities and Degrowth: Pathways to Feminist Post-Growth Societies" Institute for Politcal Ecology

      12 Winker, Gabriele, "Solidarische Care-Ökonomie. Revolutionäre Realpolitik für Care und Klima" Transcript Verlag 2021

      13 Lengersdorf, Diana, "Männlichkeiten und der Strukturwandel von Erwerbsarbeit in globalisierten Gesellschaften" Verlag Barbara Budrich 2019

      14 Pangritz, Johanna, "Männlichkeit, Care und Gleichstellung. Fürsorgende Männlichkeiten als Chance für das Geschlechterverhältnis?" 10 : 2021

      15 Simon, Sibylle, "How Can Connections Between Eco- Masculinities and a Degrowth Mindset be Understood?: Exploring an Ecovillage to Find Out" Uppsala University 2020

      16 Wichterich, Christa, "Globalisierung analysieren, kritisieren und verändern. Das Projekt Kritische Wissenschaft" VSA Verlag 2016

      17 Kastein, Mara, "Gleichstellungsorientierte Männerpolitik unter Legitimationsdruck. Eine wissenssoziologische Diskursanalyse in Deutschland, Österreich und der Schweiz" Budrich UniPress 2019

      18 Maihofer, Andrea, "Geschlecht als Existenzweise" Ulrike Helmer 1995

      19 Laufenberg, Mike, "Fürsorge, Männlichkeit und Postwachstum – Ein Kommentar" 35 (35): 2017

      20 Bauhardt, Christine, "Feministische Kapitalismuskritik und postkapitalistische Alternativen" 35 (35): 2015

      21 Burkhart, Corinna, "Degrowth: In Bewegung, um Alternativen zu stärken und Wachstum, Wettbewerb und Profit zu überwinden"

      22 Brand, Ulrich, "Degrowth: Der Beginn einer Bewegung?" 10 : 2014

      23 Konzeptwerk Neue Ökonomie, "Degrowth in Bewegung(en). 32 alternative Wege zur sozial-ökologischen Transformation" Oekom Verlag 2017

      24 Schmelzer, Matthias, "Degrowth & Postwachstum" 150/151 : 2018

      25 Maier, Friederike, "Das Gespenst der Care-Krise. Ein kritischer Blick auf eine aktuelle Debatte" 195 : 2019

      26 Wichterich, Christa, "Covid-19, Care und die Krise als Chance : Zur Aktualisierung des Konzepts der imperialen Lebensweise" 205 : 2021

      27 Fraser, Nancy, "Contradictions of Capital and Care" 100 : 2016

      28 Wichterich, Christa, "Comment: The Imperial Mode of Living and the Present Global Situation"

      29 Elliott, Karla, "Caring Masculinities? Männlichkeiten in der Transformation kapitlaistischer Wachstumsgesellschaften" Oekom Verlag 2019

      30 Scholz, Sylka, "Caring Masculinities? Männlichkeiten in der Transformation kapitalistischer Wachstumsgesellschaften" Oekom Verlag 2019

      31 Gärtner, Marc, "Caring Masculinities : Über Männlichkeiten und Sorgearbeit" 45 : 2020

      32 Elliott, Karla, "Caring Masculinities : Theorizing an Emerging Concept" 19 (19): 2016

      33 Winker, Gabriele, "Care Revolution : Schritte in eine solidarische Gesellschaft" Transcript Verlag 2015

      34 Wichterich, Christa, "Care Extractivism and the Reconfiguration of Social Reproduction in Post-Fordist Economies" Kassel University Press 2019

      35 안숙영, "A Research on the EU’s Policy Changes and the challenges for reducing emissions of short-lived climate pollutants in the Arctic region (Focus on the EU Directive)" The Korean Association of Area Studies 39 (39): 107-136,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Area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6 0.76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