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단행본] 인지 문법의 토대 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253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언어구조와 언어연구에 관한 새롭고 근본적으로 다른 개념들을 소개한 전공서. 선도적 가정들, 근본개념들,인지능력들, 원자가 관계, 상징단위들, 합성 등 12개 장으로 설명했다. 전2권.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52676)
      번역하기

      언어구조와 언어연구에 관한 새롭고 근본적으로 다른 개념들을 소개한 전공서. 선도적 가정들, 근본개념들,인지능력들, 원자가 관계, 상징단위들, 합성 등 12개 장으로 설명했다. 전2권. (...

      언어구조와 언어연구에 관한 새롭고 근본적으로 다른 개념들을 소개한 전공서. 선도적 가정들, 근본개념들,인지능력들, 원자가 관계, 상징단위들, 합성 등 12개 장으로 설명했다. 전2권.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52676)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차
      머리말
      역자서문
      서론과 개괄
      제1부 : 지향
      1장 선도적 가정들 = 11
      1.1. 일반적 가정들 = 11
      1.1.1. 상징화 = 11
      1.1.2. 인지 = 13
      1.1.3. 자연성 = 14
      1.1.4. 경계성 = 15
      1.1.4.1. 단순한 단언적 판단 = 15
      1.1.4.2. 범주화 모형들 = 16
      1.1.4.3. 이분적 조직 = 19
      1.1.4.4. 통합적 체계 = 20
      1.1.5. 실질성 = 23
      1.1.6. 복잡성 = 28
      1.2. 방법론적 가정들 = 33
      1.2.1. 방법론의 역할 = 33
      1.2.2. 사실성 = 36
      1.2.3. 경제성 = 43
      1.2.4. 명시성 = 45
      1.2.5. 일반성 = 48
      1.2.6. 예측성 = 51
      1.2.6.1. 예측 가능성 수준 = 51
      1.2.6.2. 제한성 = 55
      2장 근본 개념들 = 61
      2.1. 단위들 = 61
      2.1.1. 단위들 = 61
      2.1.2. 언어단위 = 65
      2.1.3. 관습적 언어단위들 = 67
      2.1.4. 관습적 언어단위의 목록 = 69
      2.1.4.1. 생성성 = 69
      2.1.4.2. 관습과 활용 = 70
      2.1.4.3. 완전 인가 = 71
      2.1.4.4. 부분 인가 = 74
      2.1.4.5. 언어 창의성 = 76
      2.1.5. 관습적 언어단위의 구조지어진 목록 = 78
      2.2. 문법구조의 본질 = 81
      2.2.1. 의미공간과 음운 공간 = 81
      2.2.2. 상징화로서의 문법 = 87
      2.3. 성분구성과 대응관계 = 92
      2.3.1. 성분구성성 = 92
      2.3.1.1. 인지적 기초 = 92
      2.3.1.2. 단극 성분구성성 대 양극 성분구성성 = 94
      2.3.2. 대응관계 = 96
      2.3.2.1. 상징관계 = 97
      2.3.2.2. 범주화 관계 = 97
      2.3.2.3. 횡렬적 관계들 = 100
      제2부 : 의미구조
      3장 인지 능력들 = 105
      3.1. 심리적 경험 = 105
      3.1.1. 과정으로서의 마음 = 106
      3.1.2. 비교 = 107
      3.1.3. 구조 부여 = 111
      3.1.4. 주사 사슬 = 114
      3.2. 자립적 처리 = 116
      3.2.1. 영상 = 116
      3.2.2. 상상과 실상 = 119
      3.2.3. 주의 = 121
      3.3. 초점 조절 = 123
      3.3.1. 선택 = 123
      3.3.2. 원근법 = 127
      3.3.2.1. 모습과 배경 = 127
      3.3.2.2. 관점 = 130
      3.3.2.4. 지시 표현 = 133
      3.3.3. 주관성 / 객관성 = 135
      3.4. 변형 = 146
      3.4.1. 교체적 해석 = 146
      3.4.2. 복합 장면들 = 150
      4장 영역들 = 156
      4.1. 영역 유형들 = 156
      4.1.1. 기본영역 대 추상영역 = 156
      4.1.2. 차원성 = 156
      4.1.3. 위치영역 대 형상영역 = 159
      4.2. 사전과 백과사전 = 161
      4.2.1. 왜 백과사전인가? = 164
      4.2.2. 중심성 = 167
      4.2.3. 접근 = 167
      4.3. 운동, 순서 매기기 그리고 거리 = 175
      4.3.1. 공간적 운동 = 176
      4.3.2. 추상적 운동 = 177
      4.3.3. 순서짓기와 방향성 = 184
      4.3.4. 거리 = 187
      5장 물체들 = 194
      5.1. 윤곽과 바탕 = 194
      5.2. 경계지어진 영역 = 200
      5.2.1. 경계지어진 영역 = 200
      5.2.2. 구조 짓기 = 205
      5.3. 추상적 특징규명 = 209
      5.3.1. 상호 연결성 = 209
      5.3.2. 물질명사 = 214
      5.3.3. 추상명사 = 218
      5.4. 공간적 경계짓기와 모양 = 220
      6장 비시간적 관계
      6.1. 관계윤곽 = 225
      6.1.1. 물체들 대 관계들 = 225
      6.1.2. 탄도체 대 지표 = 228
      6.1.3. 상태성 = 231
      6.2. 기본적인 개념적 관계 = 234
      6.2.1. 관계 분해 = 234
      6.2.2. 포함 = 237
      6.2.3. 다른 관계들 = 240
      6.3. 탄도체와 지표 = 243
      6.3.1. 모습으로서 탄도 6.3.2. 탄도체/지표 부합 = 248
      6.3.3. 비시간적 관계 부류들 = 254
      7장 과정 = 257
      7.1. 시간 윤곽 = 257
      7.1.1. 부호 = 257
      7.1.2. 윤곽부여 = 259
      7.1.3. 요약주사와 연속주사 = 261
      7.2.2. 시간 경계짓기 = 273
      제3부 : 문법조직
      8장 원자가 관계 = 293
      8.1. 대응관계 = 293
      8.1.1. 대응관계의 의의 = 294
      8.1.2. 자질들 = 299
      8.2. 구문들 내의 윤곽부여 = 304
      8.2.1. 윤곽 결정성 = 305
      8.2.2. 분석 가능성 = 309
      8.3. 자립성과 의존성 = 315
      8.3.1. 단극적 의존성 = 315
      8.3.2. 양극적 의존성 = 317
      8.3.3. 정교화터 = 321
      8.3.4. 문법적 의의 = 323
      8.4. 성분조직 순서 = 328
      8.4.1. 구성요소 = 328
      8.4.2. 성분조직순서의 가변성 = 334
      8.4.3. 의미 구성요소와 음운 구성요소 = 339
      8.5. 규범적 원자가 관계 = 342
      9장 상징 단위들 = 347
      9.1. 음운극 = 347
      9.1.1. 음운구조 = 347
      9.1.2. 구 나무구조 = 352
      9.1.3. 의미형태소 = 355
      9.2. 의미극 = 367
      9.2.1. S/T 비대칭성 = 368
      9.2.2. 의존서술 = 369
      9.3. 상징관계들 = 375
      9.3.1. A/D 배열 = 375
      9.3.2. 성분조직순서에 내포된 것들 = 381
      10장 범주화와 맥락 = 388
      10.1. 복합범주들 = 388
      10.1.1. 범주화 : 종합 = 388
      10.1.2. 어휘범주 = 392
      10.2. 도식망 = 397
      10.2.1. 정적 견해 = 397
      10.2.2. 동적 견해 = 401
      10.3. 양극망 = 406
      10.3.1. 범주들의 출현 = 406
      10.3.2. 복합범주로서 음소 = 408
      10.3.3. 형태소 변이형들 414
      10.3.4. 일관성과 분화 = 416
      10.4. 맥락 = 421
      10.4.1. 체계적 맥락과 상황맥락 = 421
      10.4.2. 횡렬적 결합 맥락 = 425
      11장 인가와 분포 = 430
      11.1. 구문들과 분포 = 430
      11.1.1. 복합범주호서의 구문들 = 430
      11.1.2. 분포 = 432
      11.1.2.1. 복합범주로서의 구문들 = 432
      11.1.2.2. 추가 예시 = 435
      11.1.3. 분포부류들 = 442
      11.2. 체계적 동기부여 = 447
      11.2.1. 표현들 = 447
      11.2.2. 구조기술 = 451
      11.2.3. 복합분석 = 455
      11.3. 실현, 연산과 유추 = 459
      11.1.1. 전이 = 460
      11.3.2. 실현화로서의 연산 = 462
      11.3.3. 연산 사슬들 = 465
      11.3.4. 규칙 대 유추 = 469
      12장 합성
      12.1 분석 가능성과 관계된 현상들 = 472
      12.1.2. 건축 벽돌 은유 = 472
      12.1.3. 분석 가능성의 성질 = 476
      12.1.4. 기술적 의의 = 481
      12.2. 범주화로서 합성 = 484
      12.2.1. 통일 = 490
      12.2.2. 확대 대 영(Zero)형태소 = 494
      12.2.3. 합성어휘 단위들 = 498
      결론과 전망
      참고사항
      용어해설 = 511
      참고문헌 = 521
      찾아보기 = 535
      번역하기

      목차 머리말 역자서문 서론과 개괄 제1부 : 지향 1장 선도적 가정들 = 11 1.1. 일반적 가정들 = 11 1.1.1. 상징화 = 11 1.1.2. 인지 = 13 1.1.3. 자연성 = 14 1.1.4. 경계성 = 15 1.1.4.1. 단순한 단언적 ...

      목차
      머리말
      역자서문
      서론과 개괄
      제1부 : 지향
      1장 선도적 가정들 = 11
      1.1. 일반적 가정들 = 11
      1.1.1. 상징화 = 11
      1.1.2. 인지 = 13
      1.1.3. 자연성 = 14
      1.1.4. 경계성 = 15
      1.1.4.1. 단순한 단언적 판단 = 15
      1.1.4.2. 범주화 모형들 = 16
      1.1.4.3. 이분적 조직 = 19
      1.1.4.4. 통합적 체계 = 20
      1.1.5. 실질성 = 23
      1.1.6. 복잡성 = 28
      1.2. 방법론적 가정들 = 33
      1.2.1. 방법론의 역할 = 33
      1.2.2. 사실성 = 36
      1.2.3. 경제성 = 43
      1.2.4. 명시성 = 45
      1.2.5. 일반성 = 48
      1.2.6. 예측성 = 51
      1.2.6.1. 예측 가능성 수준 = 51
      1.2.6.2. 제한성 = 55
      2장 근본 개념들 = 61
      2.1. 단위들 = 61
      2.1.1. 단위들 = 61
      2.1.2. 언어단위 = 65
      2.1.3. 관습적 언어단위들 = 67
      2.1.4. 관습적 언어단위의 목록 = 69
      2.1.4.1. 생성성 = 69
      2.1.4.2. 관습과 활용 = 70
      2.1.4.3. 완전 인가 = 71
      2.1.4.4. 부분 인가 = 74
      2.1.4.5. 언어 창의성 = 76
      2.1.5. 관습적 언어단위의 구조지어진 목록 = 78
      2.2. 문법구조의 본질 = 81
      2.2.1. 의미공간과 음운 공간 = 81
      2.2.2. 상징화로서의 문법 = 87
      2.3. 성분구성과 대응관계 = 92
      2.3.1. 성분구성성 = 92
      2.3.1.1. 인지적 기초 = 92
      2.3.1.2. 단극 성분구성성 대 양극 성분구성성 = 94
      2.3.2. 대응관계 = 96
      2.3.2.1. 상징관계 = 97
      2.3.2.2. 범주화 관계 = 97
      2.3.2.3. 횡렬적 관계들 = 100
      제2부 : 의미구조
      3장 인지 능력들 = 105
      3.1. 심리적 경험 = 105
      3.1.1. 과정으로서의 마음 = 106
      3.1.2. 비교 = 107
      3.1.3. 구조 부여 = 111
      3.1.4. 주사 사슬 = 114
      3.2. 자립적 처리 = 116
      3.2.1. 영상 = 116
      3.2.2. 상상과 실상 = 119
      3.2.3. 주의 = 121
      3.3. 초점 조절 = 123
      3.3.1. 선택 = 123
      3.3.2. 원근법 = 127
      3.3.2.1. 모습과 배경 = 127
      3.3.2.2. 관점 = 130
      3.3.2.4. 지시 표현 = 133
      3.3.3. 주관성 / 객관성 = 135
      3.4. 변형 = 146
      3.4.1. 교체적 해석 = 146
      3.4.2. 복합 장면들 = 150
      4장 영역들 = 156
      4.1. 영역 유형들 = 156
      4.1.1. 기본영역 대 추상영역 = 156
      4.1.2. 차원성 = 156
      4.1.3. 위치영역 대 형상영역 = 159
      4.2. 사전과 백과사전 = 161
      4.2.1. 왜 백과사전인가? = 164
      4.2.2. 중심성 = 167
      4.2.3. 접근 = 167
      4.3. 운동, 순서 매기기 그리고 거리 = 175
      4.3.1. 공간적 운동 = 176
      4.3.2. 추상적 운동 = 177
      4.3.3. 순서짓기와 방향성 = 184
      4.3.4. 거리 = 187
      5장 물체들 = 194
      5.1. 윤곽과 바탕 = 194
      5.2. 경계지어진 영역 = 200
      5.2.1. 경계지어진 영역 = 200
      5.2.2. 구조 짓기 = 205
      5.3. 추상적 특징규명 = 209
      5.3.1. 상호 연결성 = 209
      5.3.2. 물질명사 = 214
      5.3.3. 추상명사 = 218
      5.4. 공간적 경계짓기와 모양 = 220
      6장 비시간적 관계
      6.1. 관계윤곽 = 225
      6.1.1. 물체들 대 관계들 = 225
      6.1.2. 탄도체 대 지표 = 228
      6.1.3. 상태성 = 231
      6.2. 기본적인 개념적 관계 = 234
      6.2.1. 관계 분해 = 234
      6.2.2. 포함 = 237
      6.2.3. 다른 관계들 = 240
      6.3. 탄도체와 지표 = 243
      6.3.1. 모습으로서 탄도 6.3.2. 탄도체/지표 부합 = 248
      6.3.3. 비시간적 관계 부류들 = 254
      7장 과정 = 257
      7.1. 시간 윤곽 = 257
      7.1.1. 부호 = 257
      7.1.2. 윤곽부여 = 259
      7.1.3. 요약주사와 연속주사 = 261
      7.2.2. 시간 경계짓기 = 273
      제3부 : 문법조직
      8장 원자가 관계 = 293
      8.1. 대응관계 = 293
      8.1.1. 대응관계의 의의 = 294
      8.1.2. 자질들 = 299
      8.2. 구문들 내의 윤곽부여 = 304
      8.2.1. 윤곽 결정성 = 305
      8.2.2. 분석 가능성 = 309
      8.3. 자립성과 의존성 = 315
      8.3.1. 단극적 의존성 = 315
      8.3.2. 양극적 의존성 = 317
      8.3.3. 정교화터 = 321
      8.3.4. 문법적 의의 = 323
      8.4. 성분조직 순서 = 328
      8.4.1. 구성요소 = 328
      8.4.2. 성분조직순서의 가변성 = 334
      8.4.3. 의미 구성요소와 음운 구성요소 = 339
      8.5. 규범적 원자가 관계 = 342
      9장 상징 단위들 = 347
      9.1. 음운극 = 347
      9.1.1. 음운구조 = 347
      9.1.2. 구 나무구조 = 352
      9.1.3. 의미형태소 = 355
      9.2. 의미극 = 367
      9.2.1. S/T 비대칭성 = 368
      9.2.2. 의존서술 = 369
      9.3. 상징관계들 = 375
      9.3.1. A/D 배열 = 375
      9.3.2. 성분조직순서에 내포된 것들 = 381
      10장 범주화와 맥락 = 388
      10.1. 복합범주들 = 388
      10.1.1. 범주화 : 종합 = 388
      10.1.2. 어휘범주 = 392
      10.2. 도식망 = 397
      10.2.1. 정적 견해 = 397
      10.2.2. 동적 견해 = 401
      10.3. 양극망 = 406
      10.3.1. 범주들의 출현 = 406
      10.3.2. 복합범주로서 음소 = 408
      10.3.3. 형태소 변이형들 414
      10.3.4. 일관성과 분화 = 416
      10.4. 맥락 = 421
      10.4.1. 체계적 맥락과 상황맥락 = 421
      10.4.2. 횡렬적 결합 맥락 = 425
      11장 인가와 분포 = 430
      11.1. 구문들과 분포 = 430
      11.1.1. 복합범주호서의 구문들 = 430
      11.1.2. 분포 = 432
      11.1.2.1. 복합범주로서의 구문들 = 432
      11.1.2.2. 추가 예시 = 435
      11.1.3. 분포부류들 = 442
      11.2. 체계적 동기부여 = 447
      11.2.1. 표현들 = 447
      11.2.2. 구조기술 = 451
      11.2.3. 복합분석 = 455
      11.3. 실현, 연산과 유추 = 459
      11.1.1. 전이 = 460
      11.3.2. 실현화로서의 연산 = 462
      11.3.3. 연산 사슬들 = 465
      11.3.4. 규칙 대 유추 = 469
      12장 합성
      12.1 분석 가능성과 관계된 현상들 = 472
      12.1.2. 건축 벽돌 은유 = 472
      12.1.3. 분석 가능성의 성질 = 476
      12.1.4. 기술적 의의 = 481
      12.2. 범주화로서 합성 = 484
      12.2.1. 통일 = 490
      12.2.2. 확대 대 영(Zero)형태소 = 494
      12.2.3. 합성어휘 단위들 = 498
      결론과 전망
      참고사항
      용어해설 = 511
      참고문헌 = 521
      찾아보기 = 53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