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정부가 2004년 12월 발표한 벤처캐피털 집중지원 골자의 시장중심 벤처육성정책에 대해 시스템적 관점에서 그 진화 정도와 실행 타당성을 분석하는데 목표가 있다. 정부가 발표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513822
2005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52-186(35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정부가 2004년 12월 발표한 벤처캐피털 집중지원 골자의 시장중심 벤처육성정책에 대해 시스템적 관점에서 그 진화 정도와 실행 타당성을 분석하는데 목표가 있다. 정부가 발표한 ...
본 논문은 정부가 2004년 12월 발표한 벤처캐피털 집중지원 골자의 시장중심 벤처육성정책에 대해 시스템적 관점에서 그 진화 정도와 실행 타당성을 분석하는데 목표가 있다. 정부가 발표한 이번 시장중심 벤처육성정책은 정부가 벤처기업에 대해 투자와 융자형태로 직접적으로 자금을 지원하던 종전의 정책기조에서 탈피하여 향후 자금지원을 벤처 자금시장의 핵심인 벤처캐피탈을 중심으로 가져가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정부는 이번 정책이 벤처육성지원 정책에 있어 시장 중심적으로 진화하는 기회가 될 것이며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Upgrade) 된 벤처기업 정책으로 지원효과가 제고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 은 크게 두 가지의 정책적 분석을 수행 하였다. 첫째 본 논문은 사회연결망 이론을 이용하여 정부가 마련한 벤처캐피탈 중심의 벤처육성정책이 벤처육성시스템의 진화에 있어 얼마나 큰 기여를 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분석은 이번 정부의 벤처활성화 대책이 자금부분에 집중하고 있는 만큼 다양한 벤처 자원순환연결망 중 자금순환연결망 분석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본 논문은 진화된 벤처육성환경과 자금순환연결망 구조 하에서 정부의 시장중심 벤처육성시스템이 어느 정도 실행타당성을 갖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논문은 첫째 벤처캐피탈을 중심으로 한 정부의 벤처육성 정책은 과거 기업에 직접적인 자금지원을 하던 벤처지원정책에 비해 진화도가 높다는 분석결론을 도출하였다. 둘째 정부의 벤처캐피털 중심의 벤처육성정책은 회수시장 역할이 미흡하여 실행력이 종전보다 오히려 더 악화되어 정책의 타당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시장중심 벤처육성정책의 실행력을 제고하기 위해 벤처자금순환연결망 중 회수시장망의 애로해소에 초점을 두었고 이를 위해 제3시장을 활용하는 전략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targeting on analyzing the validity and degree of policy evolution for Korean new venture promotion policy, market- oriented venture promotion policy, released at the December of the year of 2004, in terms of system and network theories....
This paper is targeting on analyzing the validity and degree of policy evolution for Korean new venture promotion policy, market- oriented venture promotion policy, released at the December of the year of 2004, in terms of system and network theories. In particular, the focus of paper falls on the efficiency and evolution of new government venture policy evaluated as a sweeping change from direct to indirect involvement regarding to government supporting method of venture business. In specific, this paper carries out two distinct analysis. First, by utilizing social network theory, this paper analyze how much evolution of new government venture policy has brought up. Second, this paper assess the validity of implementing new government venture policy subject to given venture business environment. As results, this paper find outstanding evolution of new government venture policy in comparing with the previous one. However, this paper research new government venture policy face the significant level of bottlenecks due to insufficient exit market in bringing successful implement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벤처생태계의 진화과정과 미래전망" 2002
2 "창업투자회사의 투자실적 분석 현황" 중소기업청 2004
3 "제3시장의 개선방안" 한국증권연구원 2001
4 "제3시장 동향보고" 금융감독위원회 보고자료 2004
5 "사회연결망 이론" 박영사 2004
6 "벤처투자자산 위탁관리업무 방안" KTBI 2004
7 "벤처진화의 법칙" 삼성경제연구소 2004
8 "벤처생태계의 형성과 진화" 삼성경제연구소 2000
9 "벤처기업 M&A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청 2003
10 "벤처 활성화를 위한 금융, 세제지원방안" 재정경제부 & 금융감독위원회 2004
1 "한국벤처생태계의 진화과정과 미래전망" 2002
2 "창업투자회사의 투자실적 분석 현황" 중소기업청 2004
3 "제3시장의 개선방안" 한국증권연구원 2001
4 "제3시장 동향보고" 금융감독위원회 보고자료 2004
5 "사회연결망 이론" 박영사 2004
6 "벤처투자자산 위탁관리업무 방안" KTBI 2004
7 "벤처진화의 법칙" 삼성경제연구소 2004
8 "벤처생태계의 형성과 진화" 삼성경제연구소 2000
9 "벤처기업 M&A 활성화 방안" 중소기업청 2003
10 "벤처 활성화를 위한 금융, 세제지원방안" 재정경제부 & 금융감독위원회 2004
11 "Venture Investment and Its Exit of U.S. Venture Capital; Venture- Backed M&A and IPO" NVCA 2004
12 "Ucinet Manual for Windows: Software for Social Network Analysis. Harvard: Analytic Technologies" 2002
13 "The Economic Institutions of Capitalism" Free Press 1985
14 "Role of Kosdaq in Extending Financial Networks of Korean Venture firms" 8 (8): 2005
15 "2003년 코스닥시장 백서" 코스닥위원회 2004
새로 보완된 Cox검정법을 이용한 비선형 패널자료 모형 분석-비선형 특허권과 R&D관계에의 응용-
전공계열간 임금격차에 관한 연구-인문사회계열과 자연공학계열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 Revuew of Applied Economics -> Korea Review of Applied Economics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Revuew of Applied Economics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9 | 0.49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2 | 0.81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