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항만부문 정책의사결정 지원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782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은 2016년 1월 스위스에서 개최된 46회 다보스포럼에서 ‘제4차 산업혁명의 이해(Maste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라는 주제로 기술혁명이 인간의 삶과 미래 세대에게 가져올 변화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즉 인류의 생활 및 생산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제4차 산업혁명(4th Industrial Revolution; 4th IR)’을 글로벌 의제로 다룸으로써 증기기관의 발명에 따른 기계적 생산체계를 구축한 1차 산업혁명, 전기동력 기반의 대량생산 체계를 구축한 2차 산업혁명, 전자기기 및 정보화 기술을 기반으로 자동화 체제를 도입한 3차 산업혁명에 이어 기존 3차 산업혁명과 연계한 4차 산업혁명을 물리적, 디지털, 생물학적 영역의 경계를 허무는 기술들의 융합이 이루어지는 디지털 혁명으로 정의하고 있다.
      번역하기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은 2016년 1월 스위스에서 개최된 46회 다보스포럼에서 ‘제4차 산업혁명의 이해(Maste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라는 주제로 기술혁명이 인간의 삶과 미...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은 2016년 1월 스위스에서 개최된 46회 다보스포럼에서 ‘제4차 산업혁명의 이해(Maste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라는 주제로 기술혁명이 인간의 삶과 미래 세대에게 가져올 변화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즉 인류의 생활 및 생산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제4차 산업혁명(4th Industrial Revolution; 4th IR)’을 글로벌 의제로 다룸으로써 증기기관의 발명에 따른 기계적 생산체계를 구축한 1차 산업혁명, 전기동력 기반의 대량생산 체계를 구축한 2차 산업혁명, 전자기기 및 정보화 기술을 기반으로 자동화 체제를 도입한 3차 산업혁명에 이어 기존 3차 산업혁명과 연계한 4차 산업혁명을 물리적, 디지털, 생물학적 영역의 경계를 허무는 기술들의 융합이 이루어지는 디지털 혁명으로 정의하고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정책제안_i
      • 요약_iii
      • Executive Summary_xi
      • 정책제안_i
      • 요약_iii
      • Executive Summary_xi
      • 01
      • 서론_1
      •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5
      •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6
      • 1. 연구 내용 6
      • 2. 연구 방법 7
      • 제3절 선행연구 검토 16
      • 1. 선행연구 16
      •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27
      • 02
      • 빅데이터 기반 정책의사결정_29
      • 제1절 정책의사결정의 정의 및 방법론 29
      • 1. 정책의사결정 29
      • 2. 정책의사결정 과정 31
      • 3. 정책의사결정 모형 및 방법론 33
      • 제2절 빅데이터 기반 정책의사결정 39
      • 1. 빅데이터 39
      • 2. 빅데이터 기반 정책의사결정 43
      • 제3절 빅데이터 기반 정책의사결정 사례 46
      • 1. 공공부문 빅데이터 기반 정책의사결정 사례 46
      • 2. 해운·항만·물류 빅데이터 기반 정책의사결정 사례 58
      • 제4절 시사점 61
      • 03
      • 항만부문 정책의사결정 빅데이터 적용 가능성_65
      • 제1절 항만부문 정책의사결정 66
      • 1. 항만부문 주요 정책 66
      • 2. 정책의사결정 주요 지표 72
      • 제2절 항만부문 데이터 시스템 82
      • 1.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PORT-MIS) 82
      • 2. 해상교통관제시스템(Vessel Traffic Service System) 98
      • 3. 선박자동식별시스템(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105
      • 제3절 빅데이터 적용 가능성 118
      • 1.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 전망 118
      • 2. 항만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127
      • 3. 항만 서비스 수준 평가 130
      • 제4절 소결 134
      • 04
      • 정책의사결정 지원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방안_137
      • 제1절 국내외 항만 및 물류 데이터 시스템 138
      • 1. 국내 항만 및 물류 데이터시스템 138
      • 2. 해외 항만·물류 데이터 146
      • 제2절 정책의사결정 지원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방안 151
      • 1. 항만부문 정책의사결정 주요 지표 발굴 151
      • 2. 지표 평가 모형 선정 159
      • 3. 데이터 표준화 및 연계 방안 수립 161
      • 4. 빅데이터 기반 플랫폼 168
      • 제3절 소결 169
      • 05
      • 결론 및 정책제언_171
      • 제1절 요약 및 결론 171
      • 1. 요약 171
      • 2. 결론 173
      • 제2절 제언 174
      • 1. 본 연구 기여 174
      • 2. 제언 175
      • 참고문헌_1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